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분류 전체보기4243

창동 5층석탑 창동 미륵 중원 청명주 중원 돌아보기 답사 2007년 5월 5~6일.날씨 흐림 [한국의산천 ] 강물 따라 떠나는 충주 남한강 역사를 품고 유유히 흐르는 물줄기 우리 국토의 한가운데라고 말하는 중원(中原) , 중원문화권의 중심을 돌아보겠습니다 답사코스 목계나루터 - 봉황리 마애석불 - 장미산성 - 고구려비 - 중앙탑 - 누암리 고분.. 2007. 5. 6.
누암리 고분 중원 돌아보기 답사 2007년 5월 5~6일.날씨 흐림 [한국의산천 ] 강물 따라 떠나는 충주 남한강 역사를 품고 유유히 흐르는 물줄기 우리 국토의 한가운데라고 말하는 중원(中原) , 중원문화권의 중심을 돌아보겠습니다 답사코스 목계나루터 - 봉황리 마애석불 - 장미산성 - 고구려비 - 중앙탑 - 누암리 고분.. 2007. 5. 6.
장미산성 중원 돌아보기 답사 2007년 5월 5~6일.날씨 흐림 [한국의산천 ] 강물 따라 떠나는 충주 남한강 역사를 품고 유유히 흐르는 물줄기 우리 국토의 한가운데라고 말하는 중원(中原) , 중원문화권의 중심을 돌아보겠습니다 답사코스 목계나루터 - 봉황리 마애석불 - 장미산성 - 고구려비 - 중앙탑 - 누암리 고분.. 2007. 5. 6.
봉황리 마애불 중원 돌아보기 답사 2007년 5월 5~6일.날씨 흐림 [한국의산천 ] 강물 따라 떠나는 충주 남한강 역사를 품고 유유히 흐르는 물줄기 우리 국토의 한가운데라고 말하는 중원(中原) , 중원문화권의 중심을 돌아보겠습니다 답사코스 목계나루터 - 봉황리 마애석불 - 장미산성 - 고구려비 - 중앙탑 - 누암리 고분.. 2007. 5. 6.
박광희님 사진 ▲ ⓒ 2007 한국의산천  목계나루    여주에서 38번 자동차 전용도로를 타고 가다가 19번 도로로 접어들기 위해서 오른쪽으로 새로 길게 지어진 목계대교가 지나는 남한강 상류를 보며 목계교를 건너니 오른쪽으로 목계나루터라는 커다란 입석이 서있다. 그리고 이곳이 번성했던 그 예전의 라는 표석과  그옆에는 이곳 가까운 노은면 출생이신 신경림 시인의 시 와 ’ 판화가 이철수가 신경림의 시집 목록을 새긴 碑가 서있다.  남한강 목계나루는 나라의 세금을 거둬들이는 수곡선이 들어갈 수 있는 남한강 수운의 종점이었다. 곡식 사백 가마니를 실은 배 20여 척이 서로 교차할 수 있었고, 나루 건너편에 세금으로 거둬들인 곡식을 보관하는 가흥창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자리에 몇채의 민물매운탕집이 있을 뿐이다.   ▲.. 2007. 5. 6.
반차도 청계천 벽화 청계천에 그려진 능행 반차도 [ 답사 2007. 5. 5. 한국의산천 ] (아래의 모든 이미지는 클릭하시면 확대됩니다) 세계 최대규모의 도자기 벽화 정조대왕 능행 반차도(正祖大王 陵行 班次圖) ▲ 5월 5일 어린이 날을 맞아 행사준비중인 청계천 ⓒ 2007. 한국의산천 우관동 ▲ 반차도 소개 벽화 ⓒ 2007. 한국의산.. 2007. 5. 5.
가정의 달 추천 여행지 1. '5월의 꽃' 철쭉 향연 즐기세요 2. 수목원 둘러보기 가볼만한 철쭉 명소 가이드 "계절의 여왕 5월"의 꽃인 철쭉 둘러보기 [종합정리 : 한국의산천 ] 분홍빛 융단으로 수를 놓은 듯 온 산을 화사하게 물들인 철쭉의 계절 5월. ‘철쭉의 향연장’ 소개 서리산 축령산(경기 남양주) 국내에서 손꼽히는 자생.. 2007. 5. 3.
무의공 이순신 장군 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대해서는 자주 배우고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무의공 이순신 장군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배이름을 가지고도 의견이 분분하기에 답사를 통하여 그분의 생애를 다시 되돌아 보았습니다. 경기 광명 서독산 자락에 자리한 무의공이순신 묘역 답사 2007. 5. 2 (수요일) 무의공 이순신 (李純信, 1554~1611 명종9 ~광해군3) (참고: 충무공 이순신 1545년 - 1598년) 무의공 이순신은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이 원균( 元均)의 후임으로 다시 통제사가 되자 휘하의 중위장으로 활약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방답진첨절제사로서 충무공 이순신장군 막하에서 중위장으로 옥포해전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운 뒤 전부장으로서 항상 선봉이 되어 당항포, 한산, 부산포 등의 해전에서 적을 크게 무찔.. 2007. 5. 2.
배다리 한강 배다리 둘러보기 답사 2007. 5. 1 (화요일) [한국의산천 ] 하이서울 페스티벌 2007 충효의 배다리 건너기 체험 4월30일~5월 5일까지. ▲ 남산의 N 타워 ⓒ 2007. 한국의산천 서울 용산에서 한강대교를 타고 노량진으로 이동하다보면 중간에 노들섬이 있다. ▲ 노들섬에서 바라 본 63빌딩. 루믹스 Leica 28~90 mm.. 2007. 5. 1.
사육신 사육신(死六臣) 묘 (노량진) 둘러보기 답사 2007. 5. 1 (화요일) [한국의산천 ] 조선의 6대 임금인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세조 2년(1456) 처참하게 목숨을 잃게 된 6명의 신하의 무덤이라 하여 사육신 (死六臣)묘라고 하며, 지금은 공원으로 잘 꾸며 놓아 주민들의 산책,휴식공간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 노.. 2007. 5. 1.
오월의 유혹 五月의 유혹 김 용호 곡마단 트럼펫 소리에탑은 더 높아만 가고 유유히 젖빛 구름이 흐르는 산봉우리 분수인 양 쳐오르는 가슴을네게 맡기고, 사양(斜陽)에 서면 풍겨오는 것아기자기한 라일락 향기 계절이 부푸는 이 교차점에서청춘은 함초롬히 젖어나고 넌 이브인가푸른 유혹이 깃들여감미롭게 핀 .. 2007. 5. 1.
개심사 1 2023년 꽃대궐 개심사 둘러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5607927 서산 개심사마음을 여는 절 꽃대궐 서산 개심사 겹벚꽃 청벚꽃 둘러보기현재 겹벚꽃과 청벚꽃  만개 ( 2023년  4월 22일 토요일 ) 개심사 주차장은 주차 면적이 작으며 들어가는 길은 좁다 승용차와 대형버koreasan.tistory.com  꽃대궐 개심사 둘러보기   답사 2007. 4. 29 (일요일)  당진 면천읍성, 면천향교- 영탑사 - 사면석불-와우리 단군전-개심사-해미읍성   2편으로 나누어 실었습니다. 2편에는 꽃 이미지와 꽃 촬영을 하는 여러 포즈가 망라되어 있습니다.  ※ 꽃은 이번주 내에 만개하리라 예상합니다.(아직 다 피지 않았습니다) 작지만 아름다운 절 개심사(開心寺)   .. 2007. 4. 29.
개심사 2 (꽃풍경) 개심사 2 꽃풍경 개심사 1에는 사찰 소개가 되어있습니다. 답사 2007. 4. 29 (일요일) 당진 면천향교, 면천읍성- 영탑사 - 사면석불-와우리 단군전-개심사-해미읍성 [한국의산천 ] ▲ 개심사 왕벚꽃 ⓒ 2007. 한국의산천 우관동 스님들은 절에 피는 벚꽃을 '피안앵'(彼岸櫻)이라고 했다. 벚꽃이 극락을 상징한.. 2007. 4. 29.
사면 석불 예산 사면석불 (四面石佛) 답사 2007. 4. 29 (일요일) 예산 면천향교, 면천읍성- 영탑사 - 사면석불-와우리 단군전-개심사-해미읍성 [한국의산천 ] 작은 바위돌의 사면 모두에 불상에 새겨져있는 보물 794호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을 찾아서.. ▲ 도로가에 세워진 예산 화전리 사면 석불 안내판 ⓒ 2007. 한국의.. 2007. 4. 29.
해미읍성 해미읍성 돌아보기 답사 2007. 4. 29 (일요일) 당진 면천읍성, 면천향교- 영탑사 - 사면석불-와우리 단군전-개심사-해미읍성 [한국의산천 ]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충청도는 내포를 제일 좋은 곳으로 친다. (내포란 지금의 예산·서산·홍성·당진 지방과 태안·아산 일부 지역을 통칭하는 말이다.) ※ 아.. 2007. 4. 29.
영탑사 영탑사(靈塔寺) 답사 2007. 4. 29 (일요일) 당진 면천읍성, 면천향교- 영탑사 - 사면석불-와우리 단군전-개심사-해미읍성 [한국의산천 ] 충남 당진 면천면에 있는 작은 절로서 주변 산세가 아늑하고 느티나무가 많아 풍광이 아름다운 산사이다. 가을이 오면 갑사, 마곡사와 더불어 다시 찾고싶은 곳이다. ▲.. 2007. 4. 29.
면천 읍성 면천읍 풍경 답사 2007. 4. 29 (일요일) 당진 면천읍성, 면천향교- 영탑사 - 사면석불-와우리 단군전-개심사-해미읍성 [한국의산천 ] 면천은 문화유산을 면면히 이어와 국가지정 보물 제409호인 영탑사 금동삼존불과 도지정 유형문화재인 영탑사약사여래상을 비롯해 기념물인 면천 은행나무, 면천읍성은 .. 2007. 4. 29.
면천 향교 면천향교 면천향교 (沔川鄕校)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성상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충남기념물 제141호 지정연도 1997년 12월 23일 소재지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상리 513시대조선향교 ▲ 향교 앞에 세워져 있는 홍살문 ⓒ 2007 한국의산천 우관동 홍살문이 세워져 있는 곳은 신성한 곳임을 나타낸다. .. 2007. 4. 29.
군포 산본 철쭉동산 풍경 군포 산본의 철쭉 동산 풍경 [2007. 4. 28. https://koreasan.tistory.com/ ] 봄에는 많은 꽃이 피지만 봄을 대표하는 꽃을 말하라면 개나리 진달래 철쭉을 꼽는다. 진달래가 지면 철쭉이 피어난다. 그리 크지 않은 작은 동산의 공원이지만 철쭉 꽃으로 가득하여 이곳 시민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곳입니다. 군포8경 1경 수리산 태을봉2경 수리사 3경 반월호수4경 덕고개 당 숲5경 군포벚꽃길 6경 철쭉동산 7경 밤바위 8경 산본중심상가 ▲ 철쭉동산 야외 음악당 ⓒ 2007. 한국의산천 ▲ 철쭉동산의 인공폭포광장 ⓒ 2007. 한국의산천 철쭉동산 축제 주최/주관기관/군포시축제추진위원회 최초 개최년도 2003 축제성격 문화예술 ▶ 축제의 유래 및 특성 2003년부터 군포시 산본신도.. 2007. 4. 28.
관광공사 추천 '5월의 가볼만한 곳' 관광공사 추천 '5월의 가볼만한 곳' 가볼만한 전국의 유명 5일장 한국관광공사는 5월의 가볼 만한 곳으로 전남 보성, 경기도 여주, 강원도 동해, 경북 영천 등 4곳을 선정했다. [정리 2007. 4. 25.한국의산천 ] ▶ 전남 보성군 벌교읍 일대 기름진 들녘과 넓은 갯벌… 벌교5일장 전남 보성의 벌교5일장은 4, 9.. 2007. 4. 25.
이인로 VS 이규보 책 따라 가는 답사 여행 참고 서적 : 고전문학사의 라이벌 [정리 2007. 4. 25. 한국의산천] 세상사 모두 그러하듯, 산맥은 우뚝한 봉우리로만 이루어 지는것이 아니다. 정상에 가린 작은 봉우리 들은 말할 것도 없고, 정상을 좀더 우뚝하게 만들어 주는 깊은 계곡이야 말로 잊을 수 없는 풍경이다. 그러기에 우리의 앞을 가로막고 선 아득한 정상에만 시야를 뺐겨서는 안된다. 그뿐만 아니다. 우리가 기억하는 한 인간의 삶이란, 따지고 보면 그의 다채로운 일생 가운데 아주 특징적인 한 국면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서문에서 - 산이나 여행, 답사를 가기 전에 미리 여행지의 문헌을 찾아 보고 시대적 배경까지 알고 간다면 여행이 한층 즐거울 것입니다. 또한 답사지의 이곳 저것을 빠트리거나 놓치는 것 .. 2007. 4. 25.
불타는 고려산 불타는 고려산 진달래 명산 강화도 고려산 (백련사 방향) 진달래 능선 답사 2007. 4. 22 (일요일) 고려산 진달래 능선 - 지석묘 - 석주 권필선생 유허지 - 철종 잠저지 서울 근교 둘러보기 ◆ 환상적인 신도 구봉산 벚꽃 >>> https://koreasan.tistory.com/15606378 ◆ 가현산 진달래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5606364 ◆ 부천 도당산 벚꽃 >>> https://koreasan.tistory.com/15606366 ◆ 원미산 진달래 보기>> https://koreasan.tistory.com/15606360 ◆ 고려산 진달래 축제>> https://koreasan.tistory.com/15606373 ◆ 고려궁지 강화산성 북문 .. 2007. 4. 22.
백련사 백련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고려산에 있는 절)종파 :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시기 : 416년(장수왕 4) 답사 2007. 4. 22 (일요일) 고려산 진달래 능선 - 지석묘 - 석주 권필선생 유허지 - 철종 잠저지 ▲ 백련사 주차장 ⓒ 2007.한국의산천 ▲ 백련사 ⓒ 2007.한국의산천 백련사대한 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본사 조계사의 말사이다. 416년( 장수왕4)에 인도 승려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창건 뒤의 역사는 뚜렷하지 않으나 현존 자료로 가장 오래된 것은 1806년(순조 6)에 세운 의해당의 사리비와 부도이다. 그뒤 1881년(고종 18)에 벽담이 화주가 되어 현왕도를 조성하고, 1888년(고종 25)에도 벽담이 지장보살도·신중도·칠성도·독성도 등을 조성하여 법당에 봉안하였는데, 이.. 2007. 4. 22.
권필 석주 권필선생 유허비 진달래 명산 강화도 고려산 (백련사 방향) 진달래 능선 가는 길에 돌아 본 석주선생 유허지 답사 2007. 4. 22 (일요일)고려산 진달래 능선 - 지석묘 - 석주 권필선생 유허지 - 철종 잠저지 ▲ 북한산의 일출. ⓒ 2007. 한국의산천 강화로 가던 중 김포 신도로에서 05시 58분에 촬영 권필 유허비 : 강화군 송해면 하도리 892 (향토유적 제 27 호) 권필이 살던 강화도 오류내 언덕에 권필의 4대손인 강화유수 권적이 세운 비석하나가 쓸쓸히 서있다. 석주 권필선생은 조선 중기의 탁월한 시인으로서 한때 강화에서 많은 유생들을 가르치며 시화를 나눈 인연을 갖고 있다.유허비는 대리석으로 전면에 "석주권선생유허비"라고 새겨져 있다. 〈궁유시(宮柳詩)〉와 〈충주석(忠州石)〉은 그 .. 2007. 4. 21.
권필vs 허균 비극적 죽음도 닮은 동갑내기 [한국고전문학사 라이벌] 허균 vs 권필 - 체제의 아웃사이더 '홍길동전' 통해 정면으로 체제공격한 허균에 비해 권필은 남녀의 애정다룬 '주생전'통해 우회적 지향 1612년 4월7일 함경도 경원 유배길에 오르려던 권필(權韠)이 세상을 떴다. 국가 권력에 빌붙어 권세를 .. 2007. 4. 21.
고려산 낙조봉 고려산 낙조봉 가는 길   서울 근교 중부권의 진달래 명산 강화도 고려산 답사 청련사 - 고려 고종 홍릉 - 적석사 낙조봉  2007. 4. 17(화요일)(진달래 피기 시작하였으나 만개예정 2007년 4월 21일 이후 쯤...)   고려산은 진달래의 명산이라는 화왕산,비음산,영취산,무학산,비슬산 등 어느산 못지않게 넓은 면적과 조밀한 밀도를 가진 진달래밭이다. 고려산의 원래 이름은 오련산(五蓮山)이라고 한다 .  인도에서 온 조사가 이 산정의 연못에 피어난  적,황,청,백,흑색의 다섯송이 연꽃을 허공에 던져 그 꽃들이 떨어진 곳에 적련사 (현 적석사) ,황련사,청련사, 흑련사(묵련사) 의 5개의 사찰을 지었고 ,산 이름도 오련산이었다고 지었다.   ▲ 강화 대교를 넘어 강화 시내를 계속 직진한다.ⓒ 20.. 2007. 4. 17.
적석사 고려산 적석사 답사 청련사 - 고려 고종 홍릉 - 적석사 낙조봉 2007. 4. 17(화요일) ▲ 고천리 적석사 입구 ⓒ 2007 한국의산천 ▲ 적석사 ⓒ 2007 한국의산천 고려산에 자리한 적석사 고려산(高麗山)은 고리산이라고도 불려지며, 마식령산맥의 정맥이 강화 해협을 잠룡하였다가 융기하여 혈을 이룬 산이다. 동으로 뻗은 산줄기는 용장현을 거쳐 송악산을 이루고, 원줄기의 일맥은 자문고개와 학미산이 되고 옥포에 이르러 입수한다. ▲ 적석사 ⓒ 2007 한국의산천 고려산은 고려시대 때 몽고의 침략을 받아 강화도로 도읍을 천도한 후 고려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고려산이라는 이름은 송도의 고려산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라 한다. 고려산은 고구려 장수왕 4년(416년)에 창건됐다는 천년고찰 백련사와 적석사를 비롯해.. 2007. 4. 17.
홍릉(고려 고종) 청련사 청련사, 홍릉(고려 고종) 가는 길 답사 청련사 - 고려 고종 홍릉 - 적석사 낙조봉 2007. 4. 17(화요일) ▲ 강화 시내 끝에 위치한 교통안내 표지판 ⓒ 2007. 한국의산천 ▲ 강화산성 ⓒ 2007. 한국의산천 강화대교를 건너 계속 직진하여 강화시내 끝에서 강화산성을 지나면서 바로 왼쪽으로 꺽여들어간다. ▲ 청련사 올라 가는 길 ⓒ 2007. 한국의산천 ▲ 청련사 전경 ⓒ 2007. 한국의산천 청련사 고구려 장수왕 6년 (446년)에 천축조사가 창건하였다. 조사께서 고려산에 올라 오련을 발견하고 오색연꽃을 꺽어 공중에 날려 청련이 떨어진 곳에 가람을 짓고 청련사라 칭하였다 한다. 조선 순조 21년(1820년) 비구니 포겸스님에 의해 중수한 기록이 있으나 이후 수차례에 걸쳐서 중수되었다. 197.. 2007. 4. 17.
독산성 세마대 독산성과 세마대 ( 禿山城 洗馬臺 ) 사적 140호 위치: 경기 오산시 지곶동 162-1 답사 2007. 4. 15일. 일요일 날씨 흐림,차차 맑음 답사코스: 용주사 - 융건릉(융릉,건릉) - 독산성 세마대 ▲ 독산성 세마대 ⓒ 2007. 한국의산천 세월은 흘러도 아픔은 남아. 오늘 이곳을 찾아 본 이유는 독산성에도 사도세자와 정조의 흔적이 남아있다기에..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대왕의 지극한 효심이 다시 생각나 이곳에 올랐다. (사도)세자 제거의 음모가 계속되는 동안 흉흉한 소문이 돌더니 끝내는 땡볕이 내리쬐는 윤5월(1762년 영조 38년) 뒤주속에 갇히고 그 위에는 큰 돌이 얹혀졌다. 그 직전 열한살의 세손(훗날의 정조)은 관과 도포를 벗고 할아버지 영조에게 빌었다 " 아비(세조)를 살려주옵소서" 그리.. 2007. 4. 15.
융건릉 융건릉 답사 : 용주사 - 융건릉 - 독산성 2007. 4. 15. 1776년 3월 정조는 즉위 당일 빈전 문밖에서 대신들을 소견하면서 12년 넘게 가슴속에 담아 두었던 한마디를 꺼냈다. " 과인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아들이다" 라고 선포한 뒤 사도세자 추숭작업에 나섰다. 융릉(隆陵),건릉(建陵) 사적 206호 (위치: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 1-1) ▲ 신성한 지역임을 표시하는 홍살문 ⓒ 2007. 한국의산천 홍살문 궁전, 관아, 능, 묘, 원,사당 등의 앞에 세우던 붉은색을 칠한 나무문으로 홍살문, 홍전문, 홍문이라고도 한다. 양쪽에 둥근기둥 두 개를 세우고 위에는 지붕이 없이 화살 모양의 나무를 나란히 박아 놓고, 가운데에는 세가지 색깔의 태극 문양이 있다. 홍살문은 곧 신성한 구역임을 나타내는 표.. 2007.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