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MTB등산여행

면천 향교

by 한국의산천 2007. 4. 29.

면천향교 

 

면천향교 (沔川鄕校)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성상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충남기념물 제141호 
지정연도 1997년 12월 23일
소재지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상리 513시대조선향교

 

 

▲ 향교 앞에 세워져 있는 홍살문 ⓒ 2007 한국의산천 우관동

 

홍살문이 세워져 있는 곳은 신성한 곳임을 나타낸다. 

향교 제일 뒤쪽 상단 대성전 안에는 중앙에 공자, 맹자, 증자, 자사, 안자(안영) 등 중국 5성의 위패를 모시고, 그 양쪽에 송나라의 22현과 동국18현 (설총, 안향, 김굉필, 조광조, 이황, 이이, 김장생, 김집, 송준길, 최치원, 정몽주, 정여창, 이언적, 김인후, 성혼, 조헌, 송시열, 박세채의 위패를 모셨다.

 

 

 

▲ 하마비와 홍살문 ⓒ 2007 한국의산천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기념물 제141호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조선시대에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지방교육기관이다. 면천향교는 1392년(태조 1)에 또는 1413년(태종 13)에 세워졌다고도 하는 등 건립 시기가 정확하지 않다.

 

건물은 외삼문 (관청이나 대갓집의 대문은 세 개의 쪽문으로 되어 있어 삼문이라고 부름), 명륜당, 내삼문, 대성전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전학후묘 즉, 앞쪽에 배움터가 있고 뒤쪽에 사당이 있는 형태이다.

 

정문 격인 외삼문은 솟을대문 형식이며, 이곳에서 시작된 담이 향교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유생들이 배우는 공간인 명륜당은 팔작지붕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를 한 도리식 건물이며, 양 옆에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있다.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맞배지붕에 겹처마를 한 초익공방식의 건물이다. 대성전 양 옆에 있는 동무와 서무는 같은 규모와 형식의 건물로서 정면 3칸, 측면 1칸이며, 맞배지붕의 홑처마인데 박공 밑에 방풍판이 달려 있다. 동무와 서무 앞에 있는 내삼문은 평삼문 형식에 초익공 맞배지붕이다.

 

건립 시기는 정확하지 않지만, 여느 향교들과는 달리 처음 세워진 장소에서 위치를 옮기지 않은 몇 안 되는 향교로 조선 초기의 향교 입지 형태를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1716년(숙종 42)에 대성전 서쪽 벽 등을 수리한 기록이 있으며, 1983년 대성전 보수, 1985년 명륜당 보수, 1986년 동재와 서재의 보수가 이루어져 오늘에 이른다.

 

 

▲ 하마비 ⓒ 2007 한국의산천 

이곳에서는 누구나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표석이다. 지금 말하면 차량 진입금지 표시이다. 지금봐도 멋진 디자인. 멋스러운 글씨이다.

 

 

 

 ▲ 향교 전경 ⓒ 2007 한국의산천

  

 

▲ 향교 옆에 있는 관리사 학고재 ⓒ 2007 한국의산천

  

 

 

 

 ▲ 명륜당 ⓒ 2007. 한국의산천

 

 

▲ 명륜당 뒤에 위치한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문 ⓒ 2007. 한국의산천

 

 

▲대성전과 동무(東務) 서무(西務) ⓒ 2007 한국의산천

 

대성전 안에는 중앙에 공자, 맹자, 증자, 자사, 안자(안영) 등 중국 5성의 위패를 모시고, 그 양쪽에 송나라의 22현과 동국18현 (설총, 안향, 김굉필, 조광조, 이황, 이이, 김장생, 김집, 송준길, 최치원, 정몽주, 정여창, 이언적, 김인후, 성혼, 조헌, 송시열, 박세채의 위패를 모셨다. 해마다 음력 2월과 8월에 각각 석전 제향을 올린다.

 

 

 ▲ 대성전에서 바라 본 명륜당ⓒ 2007. 한국의산천

 

 

골정지와 건곤일초정

 

건곤일초정은 박지원이 면천군수로 있을 때 버려졌던 연못을 정비한 뒤 연못 한가운데에 돌을 쌓아 인공섬을 만들고 그 위에 지은 30여㎡ 규모의 6각 정자로, 인근 향교의 유생들이 찾아와 시를 읊고 학문을 익히는 등 은자의 정취가 있었던 곳이었으나 일제시대에 소멸됐다. 충남 당진군은 지난해 2006년 6월 16일 조선 후기 실학자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1737-1805)이 조선 정조 24년(1800년)에 세웠던 '건곤일초정'(乾坤一草亭.면천면 성상리)을 복원했다. 연못에 인공섬과 정자를 복원하고 돌다리로 만들었다.   

 

 

▲ 골정지와 건곤일초정 ⓒ 2007. 한국의산천

 

골정지

면천향교 앞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저수지 

 

 

▲ 골정지와 건곤일초정 ⓒ 2007. 한국의산천  

 

골정지는 면천면 성상리 즉 동문밖 면천향교로 가는 길옆에 조그만 연못이 있는데 이곳이 면양읍지에 기록이 남아 있는 골정지로 알려져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에 관한 기록은 없고 벽골지가 동쪽에 있다 하는데 이 골정지와 연관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다만 규모는 작아 주위 319m, 수심 3.3m이다. 당시 북학을 주창한 박지원의 아들 박종채가 쓴 아버지의 전기 <과정록(過庭錄)>에는 면천향교와 못에 관한 얘기가 나온다. 비록 향교 앞에 사방 100보쯤 되는 연못에 황폐해진 땅의 지력을 얻기 위해 아버지는 술과 음식을 마련한 후 백성들을 모집해 연못을 준설하여 도랑물이 그 곳으로 흐르도록 만들었다. 그 못에 물이 가득 모여 넘실거렸으며 가뭄에는 농사를 짓고 물이 줄어들지 않았다.

 

연못 한 가운데에는 돌을 쌓아 작은 섬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곳에 6각의 초정을 세워 <건곤일초정(乾坤一草亭)>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이는 두보의 시에서 따른 말이라 한다. 현재 그 연못은 면천향교 앞에 있으며 일초정은 최근에 다시 복원되었다.

당시 연암 박지원이 면천군수 시절에 쓴 <과농소초(課農小抄)>에는 이 연못을 언월지(偃月池)라고도 불렀다.

 

 

골정지(骨井池)와 건곤일초정(乾坤一艸亭) 안내판 ⓒ 2007 한국의산천

  

 

 

  

 

연암 박지원 (朴趾源 ; 1737~1805)

조선 후기의 실학자, 소설가로서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자는 중미(仲美)이다. 그리고 호는 연암(燕巖)이다.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 필균(弼均)이며, 아버지는 사유(師愈)이다. 그의 가문은 노론(老論)의 명문세신(名門世臣)이었지만, 그가 자랄 때는 재산이 변변치 못해 100냥도 안 되는 밭과 서울의 30냥짜리 집 한 채가 있었을 뿐이었다.

1752년 이보천(李輔天)의 딸과 결혼했다. 그의 처삼촌이며  이익(李瀷)의 사상적 영향을 받았던 홍문관교리 이양천(李亮天)에게서 글을 배우기 시작했다. 3년 동안 문을 걸어 잠그고 공부에 전념, 경학(經學)·병학·농학 등 모든 경세실용의 학문을 연구했다. 특히 문재(文才)를 타고난 그는 이미 18세 무렵에 <광문자전 廣文者傳>을 지었다. 1757년 <민옹전 閔翁傳>을 지었고, 1767년까지 <방경각외전 放經閣外傳>에 실려 있는 9편의 단편소설을 지었다. 그리고 1759년 어머니가, 1760년에 할아버지가, 1767년에는 아버지가 별세했다. 아버지의 장지(葬地) 문제로 한 관리가 사직한 것을 알고는, 본의 아니게 남의 장래를 막아버린 것을 자책해 스스로 과거에의 뜻을 끊었다. 

 

30세부터 실학자  홍대용(洪大容)과 사귀고 서양의 신학문에 접하였다. 1768년 서울의 백탑(白塔:지금의 파고다 공원) 부근으로 이사했다. 주변에 이덕무(李德懋), 이서구(李書九), 서상수(徐常修), 유금(柳琴), 유득공(柳得恭) 등도 모여 살았고,  박제가(朴齊家),  이희경(李喜慶) 등도 그의 집에 자주 출입했다. 당시 그를 중심으로 한 '연암 그룹'이 형성되어 많은 신진기예의 청년 인재들이 그의 문하에서 지도를 받고, 새로운 문풍(文風)·학풍(學風)을 이룩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북학파실학(北學派實學)이었다. 문학에서는 당시 이덕무·유득공·이서구·박제가가 4대시가(四大詩家)로 일컬어졌는데 모두 박지원의 제자들이었으며, 이서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서얼 출신이었다. 

 

1777년 (정조  1년) 권신 홍국영(洪國榮)에 의해 벽파로 몰려 신변의 위협을 느끼자, 황해도 금천(金川)의 연암협(燕巖峽)으로 이사, 독서에 전념하다가 1780년 진하별사(進賀別使) 정사(正使) 박명원(朴明源)의 자제군관(子弟軍官) 자격으로 청(淸)의 베이징(北京)에 갔다. 박명원은 영조의 부마로서 그의 8촌 형이었다. 5월 25일에 출발해 8월 1일부터 9월 17일까지 베이징에 머물렀고, 10월 27일 서울에 돌아왔다. 이 연행에서 청의 문물과의 접촉은 그의 사상체계에 큰 영향을 주어 이를 계기로 그는 인륜(人倫) 위주의 사고에서 이용후생(利用厚生) 위주의 사고로 전환하게 되었다. 

귀국하고 나서 기행문 <열하일기(熱河日記)>를 통하여 청나라의 문화를 소개하고 당시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비판과 개혁을 논하였다. 즉, <열하일기>는 단순한 일기가 아니라,  <호질 虎叱>, <허생전 許生傳>등의 소설도 들어 있고, 중국의 풍속·제도·문물에 대한 소개·인상과 조선의 제도·문물에 대한 비판 등도 들어 있는 문명비평서였다.

1783년 무렵에 일단 탈고되었으나,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개작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수습은 그가 죽은 뒤 1820년대 초반의 어느 시기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열하일기>는 공간되기도 전에 이미 필사본이 많이 유포되었는데, 특히 자유분방하고도 세속스러운 문체와 당시 국내에 만연되어 있던 반청(反淸) 문화의식에의 저촉 때문에 찬반의 수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고루하고 보수적인 소화의식(小華意識)에 젖어 있는 지식인들의 비난 때문에 정조도 1792년에는 그에게 자송문(自訟文:반성문)을 지어 바치라는 처분을 내리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시기 그는 양반사회에 대한 비판과 부패의 폭로가 더욱 원숙해졌고, 사회모순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드러냈으며, 이용후생의 실학을 대성하기도 했다. 

 

1786년 왕의 특명으로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이 되고 1789년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 이듬해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제릉령(齊陵令), 1791년(정조 15) 한성부판관을 거쳐 안의현감(安義縣監)을 역임한 뒤 사퇴했다가 1797년 면천군수(沔川郡守)가 되었다. 이듬해 왕명을 받아 농서(農書) <과농소초(課農小抄)> (부록으로-한민명전의(限民名田義)-을 붙임) 2권을 찬진(撰進)하고 1800년 (순조 즉위) 양양부사(襄陽府使)에 승진, 이듬해 벼슬에서 물러났다.

당시 홍대용 ·박제가 등과 함께 청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이른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의 실학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 당시의 양반계층 타락상을 고발하고 근대사회를 예견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창조함으로써 많은 파문과 영향을 끼쳤다.

 

이덕무(李德懋) ·박제가(朴齊家) ·유덕공(柳得恭) ·이서구(李書九) 등이 그의 제자들이며 정경대부(正卿大夫)가 추증되었다. 한편,  그는 해박한 자연과학 지식의 소유자였다. 홍대용(洪大容)과 더불어 지구설(地球說)·지전설(地轉說)을 주장해 주자성리학에서의 지방지정설(地方地靜說)에 반대했다. 그는 세계는 천체로부터 자연 만물에 이르기까지 객관적으로 실재하며, 티끌이라는 미립자가 응취결합(凝聚結合)하고 운동·변화하는 과정에서 우주만물이 생성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교의 천주재설(天主宰說)을 비판하고, 자연은 자연필연성을 가지고 자기운동을 할 따름이며, 그 어떤 목적의지도 없다고 했다. 그리고 하늘이 의지를 가지고 인간의 도덕적 행동에 감응한다는 천인감응설(天人感應說)에도 반대했다. 또한 미신적·신비적인 참위설(讖緯說)과 오행상생상극설(五行相生相克說)에 반대했다.

그는 이러한 과학적 지식에 기초해, 물질적 기(氣)의 일차성을 주장했다. "만물이 발생함에서 무엇이나 기 아닌 것이 없다. 천지는 커다란 그릇이다. 차 있는 것은 기이며 차는 까닭은 이(理)이다. 음과 양이 서로 작용하는 그 가운데 이가 있으며 기로써 이를 싸는 것이 마치 복숭아씨를 품은 것과 같다"라고 했다. 만물의 시원은 기이고, 이는 그 가운데 내포되어 있는 운동변화의 법칙성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는 또 감각의 원천은 객관적 외부세계이며, 감각·의식은 객관적 외부세계의 사물이 감각기관에 작용한 결과 발생한다는 인식론을 전개했다. 이와함께 그는 청년기와 장년기에 11편의 소설을 썼는데, 현재는 9편이 전해지고 있다. <광문자전 (廣文者傳)>에서는 광문이라는 거지의 의리있는 도덕행동과 사리사욕과 명예에 눈 먼 양반을 대치시킴으로써 양반의 가식적 도덕을 폭로·비판했다. <마장전 (馬傳)>에서도 가난하고 천한 사람들의 건강한 도덕성과, 고결성이 퇴색되고 비속화된 양반들의 사교를 대비시킴으로써 양반의 허식적 생활을 풍자·비판했다.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에서는 똥거름 치는 근로자인 주인공 엄행수(嚴行首)의 삶에서, 서민적 덕성(德性)으로서의 건실한 생활철학을 형상화했다. 근로 인민의 도덕이야말로 진실한 도덕이라고 강조하고, 엄행수는 성인(聖人)도 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했다. 

 

장년기의 작품인 <양반전(兩班傳)>은 양반도덕의 허위성, 위선적인 양면성, 몰염치한 착취에 기반한 무위도식, 양반의 무능성에 대한 날카로운 규탄과 폭로로 관통되어 있고, 양반 몰락의 역사적 현실성과 필연성을 묘사한 작품이다. 그는 양반을 다음과 같이 풍자했다. "하늘에서 사람을 낼 때 4가지 종류로 만들었는데, 그중에서 선비란 것이 가장 고귀하다. 선비는 양반이라고도 부르는데 잇속이 그보다 더 큰 것이 없다. 농사도 하지 않고 장사도 하지 않고 책권이나 대충 훑으면 크게는 문과에 급제하고 적어도 진사는 떼놓았다.

(중략) 우선 이웃집 소를 끌어다가 밭을 갈리고 동네 백성들을 끌어다가 김을 매게 한다. 누가 감히 나를 괄시하겠는가. 만일 그런 자가 있다면 그 놈의 코에 잿물을 부어 넣으며 상투를 잡아 휘두르고 귀쌈을 때린들 감히 원망하지 못할 것이다." 그는 인간관계가 엄격하게 신분제에 의해 규제되고 게다가 양반사회는 당론(黨論)으로 분열되어 있어서, 인간과 인간 사이의 자유로운 교제에 바탕을 둔 평등윤리로서의 우정이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을 폭로하고, 그 평등윤리인 우정의 세계를 희구하면서, 그것을 서민의 생활도덕에서 찾고자 했다. 그러나 그 자신이 서민군상(庶民群像)과 함께 호흡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지식인 체질이었으며, 서민군상 자체가 새로운 사회의 주도층이 될 수 있는 사회층으로 성립되어 있지도 못했다. 따라서 박지원은 역시 허생(許生)처럼 기재(奇才)를 가지고 고독하게 숨어 살면서 세상을 풍자하고 개탄하는 한 양심적 지식인일 수밖에 없었다. 

 

그는 학문에서 귀중히 여길 것은 실용(實用)임을 강조했다. "글을 읽고서 실용을 모를진대 그것은 학문이 아니다. 학문이 귀한 것은 그의 실용에 있으니, 부질없이 인간의 본성이니 운명이니 하고 떠들어대고 이(理)와 기(氣)를 가지고 승강질하면서 제 고집만 부리는 것은 학문에 유해롭다"라고 하면서 학문의 초점을 유민익국(裕民益國)과 이용후생(利用厚生)에 맞추었다. 유민익국의 요체로서 생산력의 발전을 급선무라고 인식하고, 생산력의 발전을 위해서는 북(北), 즉 청에서 선진 기술을 배울 것을 주장했다. 그는 "그것이 백성들에게 유익하고 국가에 유용할 때에는, 비록 그 법이 오랑캐로부터 나왔다 할지라도 주저없이 배워야"하며 "다른 사람이 열 가지를 배울 때에는 우리는 백 가지를 배워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나라 백성들에게 이익을 주어야 한다"라고 했다. 그는 생산력을 복구·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생산도구의 개선과 영농법의 개량, 농업시설의 복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방책을 《과농소초(課農小抄)》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 농사 절기, 전답(田畓)의 구획법, 농기구의 개량, 토지의 경작과 개간 및 수리사업과 그 설비, 토양, 거름, 곡물의 품종, 종자의 선택, 파종, 김매기, 해충구제, 수확, 곡물저장 등의 개선대책을 제시했다. 또한 관개수리사업의 복구·발전을 강조하면서, 저수지를 구축해수차(水車)와 기타 수리시설을 광범위하게 이용할 방책을 제시했다. 수리사업은 국가비용으로써 강력히 추진할 것을 주장했다. 한편박지원은 당시 생산력의 발전을 생산관계가 저지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생산관계를 개혁할 것을 제기했다. 과농소초(課農小抄)》의 뒤에 부록으로 첨부한 한민명전의(限民名田義)》에서 토지제도의 개혁안을 제기했다. 당시의 토지소유관계의 형편에 대해 "농민들의 속담에 '일년 내내 뼈가 빠지게 일해도 소금 값도 남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농가 중에서 자기의 토지를 경작하는 자영농민은 열에 겨우 한 둘밖에 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토지소유관계의 개혁안으로서  한전법(限田法)을 제창했는데 전국의 토지면적과 호구를 조사하여 1호당 평균경작면적을 국가가 제정하고, 누구든지 그 이상으로 토지를 소유하는 것을 법률적으로 제한하되, 이 법을 시행하기 이전의 토지소유는 인정하고, 새로운 매입은 금지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렇게 하면 수십 년이 못 가서 전국의 토지는 고르게 나누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그는 국가가 확고한 화폐정책을 실시하여, 상평통보의 발행을 합리적으로 조절할 것과 은(銀)을 화폐로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또 생산품이 전국적 규모로 유통되지 못하기 때문에 수공업도 농업도 발전하지 못하므로, 우선 교통을 발전시켜서 생산품이 전국적 규모로 유통되도록 할 것을주장하는 한편 광범위하게 수레와 선박을 이용하여 국내상업과 외국무역을 촉진할 것도 제기했다. 이상에서와 같이 그는 생산력의 발전을 가장 중요시했고, 그것을위하여 한전법에 의한 농업생산관계의 개혁을 제기했으며 상품의 전국적 유통을 주장했다. 이는 객관적으로는 통일적 국내시장의 형성을 가져올 수 있는 개혁안이었다. 그는 또 이러한 개혁의 일차적인 책임이 지식인들에게 있음을 강조하면서, 이용이 있은 다음에야 가히 후생이 있고, 후생이있은 다음에야 가히 덕(德)을 바로 잡을수 있다는 이용후생 위주의새로운 사고방식을 종래의 인륜 위주의 사고방식에 대체함으로써, 한국 사상사에서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 

 

저서에  연암집(燕巖集)>,<과농소초(課農小抄)>, <한민명전의(限民名田義)>, 등이 있고, 작품에 <허생전(許生傳)>, <호질(虎叱)>, <마장전(馬埋傳)>,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민옹전(閔翁傳)>,  등이 있다. 

 

그의 묘는 지금 북한 땅인 장단(長湍) 송서면(松西面) 대세현(大世峴)에 있다. [브리테니커 백과 사전 참고]

 

 

 

 면천읍성 둘러보기 http://blog.daum.net/koreasan/11386134

 

'MTB등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탑사  (0) 2007.04.29
면천 읍성  (0) 2007.04.29
군포 산본 철쭉동산 풍경  (0) 2007.04.28
관광공사 추천 '5월의 가볼만한 곳'  (0) 2007.04.25
이인로 VS 이규보  (0) 2007.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