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전문가칼럼
[김준의 맛과 섬] [157] 옹진군 모도 소라물회
김준 전남대 학술연구교수 입력 2023.09.27. 03:00
소라물회
소라는 갯벌이 발달한 서해안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사전에서는 ‘피뿔고둥’이라 하지만 주민들은 소라나 참소라라고 부른다. 그런데 사전에 등장하는 소라는 제주도나 남해안의 해녀들이 채취하는 뿔소라를 말한다.
뿔소라는 암초지대에 서식하며 해조류를 먹고 자라지만, 참소라는 갯벌에서 사체나 유기물, 조개류 등을 먹고 자라는 육식생물이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모도의 한 식당에서 참소라 전문점을 만났다.
소라찜, 덮밥(비빔밥), 무침, 물회 등 ‘참소라 한상’을 차려내는 식당이다. 소라물회를 주문했다.
모도는 시도, 신도와 더불어 ‘신시모도’라 부르는 삼형제섬이다. 세 섬은 다리로 이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영종도와 연도교 사업이 진행 중이다.
모도와 시도 사이 갯골은 젓새우로 유명했던 어장이었다. 지금은 모습을 볼 수 없지만 해선망이라는 무동력선을 이용해 젓새우를 잡았다.
모도에서 강화도로 이어지는 갯벌에는 참소라가 많다.
참소라는 봄과 가을에 형망이나 통발, 맨손으로 잡는다. 형망은 수심 10m 내외 깊이에서 바닥을 긁어 잡는다.
통발은 고등어 등 미끼를 넣은 통발을 하루 이틀 전에 바다에 넣어 두었다가 잡는다. 또 물이 빠진 조간대의 갯벌이나 바위틈에서 줍는 맨손어업도 있다.
여행객들이 바닷물이 빠지면 불을 켜고 소라 등을 줍는 해루질도 있다.
소라는 숙회, 죽, 무침, 젓갈 그리고 물회 등 다양하게 이용한다.
물회는 육수가 맛을 결정한다. 집집마다 장맛이 다르듯이 육수도 가게마다 다르다. 참소라는 어떻게 요리를 하든 잘 삶는 것이 먼저다.
된장을 풀어 비린내를 잡고, 식감이 부드럽게 너무 삶지 않아야 한다.
삶은 소라에서 꼭 제거해야 하는 것이 푸른색의 내장이다. 가장 쉽게 많이 만들어 먹는 방법이 숙회나 무침이다. 비빔밥은 갖은 채소에 소라 살을 얹으면 되지만, 소라물회는 육수를 만들어야 하기에 번거롭다.
참소라 외에도 간재미, 꽃게, 생굴, 낙지 등 계절에 따라 갯벌에서 나는 것을 만날 수 있다.
김준 전남대 학술연구교수 광주전남연구원 섬발전지원연구센터장
[김준의 맛과 섬] 인천 용유도 굴밥
김준 전남대 학술연구교수 입력 2023.11.22. 03:00
용유도 굴밥
음식을 가리지 않는 편이지만 외국에 나갔다 일주일 만에 우리 땅을 밟고 나니, 짭짤하고 칼칼한 맛이 그리웠다.
집으로 가는 버스 시간이 두 시간 정도 남아 있어 공항에서 가까운 곳으로 그리운 맛을 찾아갔다. 그곳이 용유도다.
지금은 섬 이름은 희미해지고, 카페가 많고 노을이 아름다운 마시안과 을왕리만 기억되는 섬이다.
인천국제공항을 만들면서 영종도와 이어지면서 생긴 일이다. 섬만 사라진 것이 아니라 심지어 영종도라고도 불린다.
한때 제법 어장이 활발해 염전이 발달한 영종도와 다른 섬살이를 했던 큰 섬이었다. 또 해변이 좋고, 무의도로 가는 길목이라 여름철이면 인천은 물론 서울에서 많은 사람이 찾던 곳이다.
옛길이나 골목에 아직도 그 시절 손맛들이 남아 있는 곳이 있다. 그렇게 찾아가 만난 음식이 굴밥이다.
용유도 굴밥
우리나라 굴밥에 들어가는 큰 굴은 대부분 통영에서 공급한다. 용유도에서 만난 굴밥도 마찬가지이다.
통영 굴은 양식을 시작해 뭍으로 나올 때까지 바다에서 자라는 수하식 굴 양식이다. 반대로 조차가 큰 서해에서는 물이 빠지면 햇볕에 노출되는 걸대식 굴 양식을 한다. 그래서 통영이나 거제의 굴 양식보다 먹이 활동 시간이 짧고 알굴 크기도 작다.
돌에 붙어 자라는 자연산 굴은 크기가 더 작아 손톱만 하다. 알굴은 작지만 맛과 향이 아주 강하다. 이런 작은 굴은 생굴로 먹는다.
다리가 놓이고 공항이 생기기 전에는 용유도에서도 작은 굴을 채취했다. 지금은 백령도에서나 작은 굴을 만날 수 있다.
오가는 사람이 많아지고, 여행객이 찾기 시작하면서 영양굴밥이 용유도를 대표하는 음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어리굴젓도 한 자리를 차지했다.
접근성이 편리해지면서 음식의 지역성은 점점 옅어진다. 그나마 국내산 식재료를 사용한다는 것으로 위안을 삼아야 한다.
외국에 있다 오면 우리 음식만으로도 반갑다. 용유도의 영양굴밥도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지역성을 띠기 시작한다.
통영에서 먹었던 굴밥과 상차림이 다르다. 그런데 간혹 용유도에서 먹은 굴밥이 ‘영종도 굴밥’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지역의 이름을 잃는 것은 음식의 맛을 잃은 것만큼이나 아쉽다. 날씨가 춥다. 굴 철이 시작되었다.
어리굴젓
김준 전남대 학술연구교수 광주전남연구원 섬발전지원연구센터장
11월에 걷기 좋은 길 >>> https://koreasan.tistory.com/15607483
11월 추천산행지 >>> https://koreasan.tistory.com/15607481
진천 농다리 초평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https://koreasan.tistory.com/15607851
12월 추천산행지 12월의 명산>>> https://koreasan.tistory.com/15607491
12월에 걷기 좋은 길>>> https://koreasan.tistory.com/15607493
1월 추천산행지 1월의 명산 >>> https://koreasan.tistory.com/15607699
1월에 걷기 좋은 길
1월 여행지 >>> https://koreasan.tistory.com/15607536
승봉도 트레킹>>> https://koreasan.tistory.com/15607848
봉화 승부역 분천역 세평하늘길 낙동정맥 걷기 >>> https://koreasan.tistory.com/15607847
지족불욕(知足不辱) 만족할 줄 알면 욕됨이 없고,
지지불태(知止不殆)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으니
가이장구(可以長久) 오래도록 편안할 것이다. - 노자 도덕경에서
건강하고 즐겁게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의산천 일상탈출 더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
'MTB등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준의 맛과 섬] 고흥 김국 신안 바위옷 묵무침 (0) | 2023.12.06 |
---|---|
[나홀로 우리 땅 걷기] 검단산 (0) | 2023.12.06 |
김준의 맛과 섬 부산 물메기회 진도군 조도 돌미역 (0) | 2023.11.29 |
정희원의 늙기의 기술 (0) | 2023.11.29 |
수능 끝나면 기도가 시작된다 기도명소 대학 합격 기원 여행 (1) | 202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