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MTB등산여행

무계정사 안평대군의 집

by 한국의산천 2008. 2. 17.

조선후기 신지식인 안평대군의 집과 별장

[답사·촬영.2008. 2. 17일 일요일 날씨 맑음]

 

자하문터널 위 부암동사무소 뒷길을 따라 올라가다 현진건 집터 표석이 나오고 돌계단을 오르면 무계동(武溪洞)이라 새긴 바위가 나타나고, 그 뒤에 정면 4칸, 측면 1칸반의 오래된 건물이 서있다.

주소로는 종로구 부암동 329-1, 서울시 유형문화재 22호인데, 이곳이 바로 무계정사 터이다. 

 

1. 진흥왕 순수비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82

2. 대원군 별장 석파랑 보기>>>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75

3. 대원군 별장 석파정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77

4. 무계정사 안평대군 집 별장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63

5. 총융청터, 장의사 당간지주, 조지서터 보기>>>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56

6. 창의문 (자하문)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34

7. 빙허 현진건 집터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23

8. 춘원 이광수 생가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18

9. 홍지문,세검정,탕춘대처,차일암, 보기>>> https://koreasan.tistory.com/13890262

10. 윤동주 시인의 언덕 >>> https://koreasan.tistory.com/15606343


세종이 당호를 지어준 비해당
안평대군(安平大君·1418∼1453)이 혼인하면서 경복궁에서 살림을 내어 나간 뒤에, 인왕산에 저택을 짓기 시작했다.1442년 6월 어느날 경복궁에 들어가자 세종이 물었다.

“네 당호(堂號)가 무엇이냐?”

안평대군이 대답을 못하자, 세종이 시경에서 증민(蒸民)편을 외워 주었다.

 

지엄하신 임금의 명령을 중산보가 받들어 행하고,

나라 정치의 잘되고 안됨을 중산보가 가려 밝히네.

밝고도 어질게 자기 몸을 보전하며,

이른 아침부터 늦은 밤까지 게으름없이 임금 한 분만을 섬기네.


이 시는 노나라 헌왕(獻王)의 둘째 아들인 중산보(仲山甫)가 주나라 선왕(宣王)의 명령을 받고 제나라로 성을 쌓으러 떠날 때에 윤길보(尹吉甫)가 전송하며 지어준 것이다.

 

이 시의 마지막 구절 원문은 “숙야비해(夙夜匪解) 이사일인(以事一人)”인데, 세종이 여기서 두 글자를 따 “편액을 ‘비해(匪懈)’로 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재주가 뛰어난 안평대군이 장자가 아니었기에, 자신이 왕위에 있는 동안은 물론, 동궁이 즉위한 뒤에도 “이른 아침부터 늦은 밤까지 게으름없이 임금 한 분만을 섬기라.”는 당부를 ‘비해(匪懈)’ 두 글자에 담아 집 이름으로 내려준 것이다.

인왕산 기슭 수성동에 비해당을 지은 뒤에 안평대군은 집 안팎의 아름다운 꽃과 나무, 연못과 바위 등에서 48경을 찾아냈다.

 

 

중국에서 소상팔경(瀟湘八景)을 그림으로 그리고 시를 짓는 문인들의 관습이 유행하자 조선에서도 그런 풍조가 생겼는데, 안평대군은 무려 48가지의 아름다운 경치를 찾아냈다.

 

48경은 다양한 장소와 시간에 따라 “매화 핀 창가에 흰 달빛(梅窓素月)” “대나무 길에 맑은 바람(竹逕淸風)” 등의 네 글자로 명명되었다. 누군가가 그림을 먼저 그리고 안평대군이 칠언 화제시를 지었다.

그 다음에는 당대의 문인학자들을 인왕산 기슭 비해당으로 초청하여 48경을 함께 즐기며 차운시를 짓게 했다. 우리 조상들은 요산요수(樂山樂水)라는 말 그대로 산과 물을 즐겼는데, 안평대군은 한강가에도 담담정(淡淡亭)이라는 정자를 세웠다.

 

‘동국여지비고’에는 담담정을 이렇게 소개하였다.

“마포 북쪽 기슭에 있다. 안평대군이 지은 것인데, 서적 1만권을 저장하고 선비들을 불러모아 12경 시문을 지었으며,48영을 지었다. 신숙주의 별장이다.”

 

안평대군은 서적만 1만권을 소장한 것이 아니라, 수많은 서화·골동품을 수집하였다. 신숙주가 1445년에 쓴 ‘화기(畵記)’를 보면 안견(安堅)의 그림 30점, 일본 화승 철관(鐵關)의 그림 4점, 그리고 송나라와 원나라 명품 188점을 소장했다고 한다.

그 가운데 곽희(郭熙)의 작품이 17점이나 되는데, 이 그림은 안견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안평대군이 문인 학자들에게 인심을 얻자, 수양대군은 김종서와 황보인을 죽이고 계유정난으로 정권을 잡은 뒤에 안평대군까지 처형하고는 이 정자를 빼앗아 신숙주에게 하사하였다.

 

안평대군이 주택이나 별장을 아름답게 꾸미고 완상하던 취미는 그가 역적으로 몰려 처형된 뒤에도 많은 영향을 끼쳐, 성종 때에는 호화주택과 별장을 금지하라는 명령까지 내릴 정도가 되었다.

 

▲ 무계동(武溪洞) 각자가 세겨진 바위 ⓒ 2008 한국의산천

몽유도원도를 인왕산에 실현한 별장 무계정사

 

1447년 4월20일 밤에 안평대군이 박팽년과 함께 봉우리가 우뚝한 산 아래를 거닐다가, 수십 그루 복사꽃이 흐드러진 오솔길로 들어섰다.

숲 밖에서 여러 갈래로 갈리며 어디로 가야할지 몰랐는데, 마침 어떤 사람이 나타나 “이 길을 따라 북쪽으로 휘어져 골짜기에 들어가면 도원(桃源)입니다.” 하고 알려 주었다. 말을 채찍질하며 몇 굽이 시냇물을 따라 벼랑길을 돌아가자 신선마을이 나타났다.

 

안평대군이 박팽년에게 "여기가 바로 도원동이구나."하고 감탄하면서 산을 오르내리다가 꿈에서 깨어났다. 복사꽃이 우거진 낙원에 다녀온 이야기를 도연명(陶淵明)이 ‘도화원기(桃花源記)’라는 글로 소개한 뒤에, 무릉도원은 중국과 조선 문인들에게 이상향으로 널리 알려졌다.

 

안평대군은 꿈에서 처음 가본 곳이지만 그곳이 바로 무릉도원임을 깨닫고, 화가 안견에게 꿈 이야기를 하며 그림을 그려 달라고 부탁하였다. 안견이 사흘 만에 그려 바친 그림이 바로 일본 덴리대학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이다.

 

도연명 이후에 많은 문인들이 무릉도원을 꿈꾸었고, 고려시대 문인 이인로는 청학동(靑鶴洞)을 찾아 글을 지었다. 안평대군은 그림이 완성 된지 3년 뒤인 1450년 설날에 치지정(致知亭)에 올라 ‘몽유도원도’라는 제첨(題簽)을 쓰고 시를 지었다.(유영봉 교수 번역)

 

세간의 어느 곳을 무릉도원으로 꿈꾸었던가?

산관의 차림새가 오히려 눈에 선하더니 그림으로 보게 되니 정녕 호사로다

천년을 전해질 수 있다면 ‘내가 참 현명했구나’ 하리니.

 

안평대군은 꿈속에 거닐던 복사꽃 동산을 인왕산 기슭에서 실제로 찾아 별장을 지었다. 안평대군과 사육신의 문장은 상당수 없어졌는데, 다행히도 박팽년이 그 별장에서 지은 시 아래에 안평대군의 글이 덧붙어 있어, 별장 지은 사연을 알 수 있다.

 

“나는 정묘년(1447) 4월에 무릉도원을 꿈꾼 일이 있었다. 그러다가 지난해 9월 우연히 유람을 하던 중에 국화꽃이 물에 떠내려오는 것을 보고는, 칡넝쿨과 바위를 더위잡아 올라 비로소 이곳을 얻게 되었다.

이에 꿈에서 본 것들과 비교해 보니 초목이 들쭉날쭉한 모양과 샘물과 시내의 그윽한 형태가 거의 비슷했다. 그리하여 올해 들어 두어칸으로 짓고, 무릉계(武陵溪)란 뜻을 취해 무계정사라는 편액을 내걸었으니, 실로 마음을 즐겁게 하고 은자들을 깃들게 하는 땅이다. 이에 잡언시 5편을 지어 뒷날 이곳을 찾아오는 사람들의 질문에 대비하고자 한다.” (유영봉 교수 번역)

 

▲ 무계동(武溪洞) 각자가 세겨진 바위 ⓒ 2008 한국의산천

 

안평대군 죽은뒤 무계정사 철거

무계정사(武溪精舍)라는 집 이름은 글자 그대로 '무릉계에 자리한 정사'라는 뜻인데, 한시 5수 뒤에 "경태(景泰) 2년 신미"라고 쓰여 있어 1451년에 창건했음을 알 수 있다. 창건연대는 유영봉 교수가 최근의 논문 ‘비해당 사십팔영의 성립 배경과 체제’라는 논문에서 밝혀냈다.

 

수성동에 있던 비해당에서 인왕산 기슭을 넘어 무계정사까지 가는 길은 그다지 멀지 않다. 안평대군은 꿈속에 노닐던 곳이라고 하며 별장을 지어 문인학자들을 초청하고 시를 읊거나 활을 쏘며 놀았다. 하지만 단종실록 원년 5월19일 기사에는 이곳을 방룡소흥지지(旁龍所興之地)라고 하며 안평대군을 비난했다.

왕기가 서린 곳인데, 장자가 아닌 왕자가 왕위에 오를 곳이란 뜻이다. 계유정난 직전에도 수양대군 파에선 안평대군이 무계정사 지은 뜻을 왕권탈취에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 무계정사 터 ⓒ 2008 한국의산천 

실제로 계유정난이 성공한 뒤인 10월12일에는 “처음부터 지을 장소가 아니었으니 무계정사를 철거하라.”고 사간원에서 아뢰었으며,10월25일 의정부에서 안평대군을 처형하자고 아뢴 죄목 가운데 첫번째가 바로 이 자리에 무계정사를 지었다는 점이었다.

 

‘몽유도원도’에는 김종서, 이개, 성삼문, 신숙주, 정인지, 서거정 등 당대 최고의 문신 23명이 참여하여 친필로 글을 썼다.

그러나 6년 뒤에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이 정권을 잡으면서 세종과 안평대군이 아꼈던 이들의 운명은 크게 둘로 갈라졌다.

신숙주·정인지 등은 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에 오르고, 안평대군과 김종서는 목숨을 잃었으며, 성삼문·이개·박팽년 등의 사육신은 3년 뒤에 단종 복위운동을 계획하다가 실패하여 모두 역적으로 처형당하고 집현전까지 폐지되었다.

무계정사는 곧 무너지고, 지금은 안평대군의 예언 그대로 그림만 1000년을 남아 전한다.

   

▲ 무계정사 터 ⓒ 2008 한국의산천  

▲ 무계정사 터 ⓒ 2008 한국의산천  

▲ 무계정사 안내판 ⓒ 2008 한국의산천 

▲ 무계정사 앞의 빈 공터는 빙허 현진건이 살던 집터이다. 

오랜 시간이 지난 유적지를 찾아가면 눈에 보이는것이 기대보다 못한 경우가 있지만, 그곳에 남아있는 벽돌 하나, 발에 채이는 기왓장 한 조각에서도 오랜 역사의 무수한 바람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가 있다면 그 답사는 보람있는 여행으로 남을 것이다. -한국의산천- 

 

1. 진흥왕 순수비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82

2. 대원군 별장 석파랑 보기>>>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75

3. 대원군 별장 석파정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77

4. 무계정사 안평대군 집 별장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63

5. 총융청터, 장의사 당간지주, 조지서터 보기>>>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56

6. 창의문 (자하문)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34

7. 빙허 현진건 집터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23

8. 춘원 이광수 생가 상세히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3936318

9. 홍지문,세검정,탕춘대처,차일암, 보기>>> https://koreasan.tistory.com/13890262

10. 윤동주 시인의 언덕 >>> https://koreasan.tistory.com/15606343

 

지족불욕(知足不辱) 만족할 줄 알면 욕됨이 없고,

지지불태(知止不殆)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으니 

가이장구(可以長久) 오래도록 편안할 것이다.  - 노자 도덕경에서

'MTB등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파정 부암동 대원군 별장  (0) 2008.02.17
석파랑 대원군 별장  (0) 2008.02.17
장의사 당간지주 총융청 조지서터  (0) 2008.02.17
창의문 자하문  (0) 2008.02.17
빙허 현진건 집터  (0) 2008.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