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덕숭산4

12월 산행지 12월에 갈 만한 산 12월 추천산 2024년 12월 산 BEST 4 이재진 입력 2024.12.02 07:45 사진(제공) : C영상미디어 본문 글씨 키우기 본문 글씨 줄이기 기사스크랩하기 바로가기 조계산曹溪山(884m) 좌우 대칭의 모양을 갖춘 산이다. 가운데 장막골을 축으로 양쪽 산줄기와 물줄기들이 반대방향으로 같은 수로 뻗어 있다. 산세가 유순해서 어디 한 군데 모난 구석이 없다.기암괴석과 협곡이 빚은 절경은 없지만 숲속에 안기는 즐거움이 있는 산이다.  조계산이 명산 반열에 오른 건 기슭에 있는 두 군데 가람 덕분이다. 승보사찰 송광사와 태고총림 선암사다. 들머리는 선암사와 송광사 산문 가운데 마음 가는 곳을 따르면 된다. 산행은 두 명찰을 잇는 순례길이 대표적이다. 송광사~송광굴목재~선암굴목재(큰굴목재)~선암사로 이어지는 동서 .. 2024. 12. 2.
수덕여관 못다한 이야기 수덕여관 못다한 이야기 [글,사진, 기사참고 한국의산천 우관동] 부제: 신시대를 연 선각자. 질곡의 세월을 모질게 살아간 아름다운 여성이야기 아래의 글과 이어지는 글입니다. 새털같이 수많은 날을 살아가면서 인생의 굴곡은 누구에게나 있기 마련이다. 가슴 찢어지는 아픔과 슬픔, 애환이 없는 사람이 어디있으랴만 이곳 수덕사와 수덕여관에서 그 이른 시대에 여성의 자유와 자신의 정체성을 지니고 살아간 실존 인물을 소개합니다.(일부 글은 신문기사를 참고 했습니다 -한국의산천-) 아래 글은 지어낸 소설도 아니요 신파극 시나리오도 아닙니다. 사실 그대로의 가슴이 아려오는 픽션같은 논픽션 Fact 입니다. ▲ 이응노선생의 필체로 되살아난 수덕여관 옥호 ⓒ 2008 한국의산천 ▲ 한많은 이들의 숨은 이야기가 깃든 수덕여관.. 2008. 1. 1.
한국 고건축 박물관 한국 고건축 박물관 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대동리 152-18(수덕사에서 3km) 답사 [2007. 1. 28. 한국의산천] 전국에 산재된 국,보물급 고건축문화재를 1/10,1/5로 축소 전시하여 한국건축 발달사를 한자리에서 견학, 연구, 계승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우리 건축문화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본관 제 1전시실 내 [제1 전시관]국보 제1호 남대문을 비롯한 부석사 조사당, 도갑사 해탈문, 강륵 객사문 등의 축소모형을 전시하고 있다. 크고 웅장한 건축물을 축소하여 한 자리에서 다양한 건출물들을 감상할 수 있다. [3D 영상관]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위치하고 국보 제 15호로 지정된 고려말기의 건축물, 봉정사 극락전을 3D영상으로 만날수 있다. [제2 전.. 2007. 1. 30.
덕숭산 덕산 도립공원 덕숭산 답사 [2007. 1. 28. 한국의산천 우관동] 서울 상암 경기장 - 서부간선도로 - 서해안 고속도로 - 해미 IC - 덕산터널 - 수덕사 - 한국 고건축 박물관 (편도 거리 112km, 2시간 소요) 고속도로 통행료 5,200원(편도) 수덕사 주차료 2,000원 수덕사 문화재 관람료 1인 2,000원(성인) 한국 고건축 박.. 2007.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