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백두대간1400km

백두대간 라이딩 10회차 2편 괘방령 우두령 마산령 부항령 덕산재 배태재 소사고개 오두재 신풍령 빼재 칡목령 남령 육십령

by 한국의산천 2015. 10. 5.

 

백두대간 10회차 2편 (고개 13령을 넘어서 / 183km)

[2015 10월 2 ~3일 금 · 토요일 : 날씨 매우 좋음. 다운힐시에는 추워서 윈드재킷 착용 필수] 

 

오늘 라이딩 거리 (183km : 거리 누계 1,209km

현재 지리산 성삼재를 거쳐서 귀가 터미널까지 남은 거리는 1박2일 코스 약 150km

추풍령 터미널에서 오전 10시 30분 출발

추풍령 ~ 괘방령 ~ 우두령 ~ 마산령 고개 2개 ~ 부항령 (삼도봉 터널) ~ 

덕산재 ~ 배태재 ~ 동네언덕 업힐(고제면 경계표지 나옴) ~

소사고개 ~ 오두재 ~ 빼재/신풍령/수령 ~ 칡목재 ~ 남령 ~ 육십령 ~ 장계 : 귀가 (185km)

 

백두대간 라이딩 전편 추풍령에서 부항령.

그리고 지도 보기 >>> https://koreasan.tistory.com/15606249

 

뜨거웠던 한 여름에 시작해서 지금까지 1,200 km를 달려왔네

돌아보니 지나온 산길은 멀고 아련하다.

 

둘째날 덕산재부터 육십령을 넘어서 장계도착 . 귀가

덕산재 ~ 배태재 ~ 동네언덕 업힐(고제면 경계표지 나옴) ~ 소사고개 ~ 오두재 ~ 빼재/신풍령/수령 ~ 칡목재 ~ 남령 ~ 육십령 ~ 장계 : 귀가 (183km) 

▲ 첫날 7시 인천터미널에서 대전 출발 ~ 대전에서 추풍령 출발 ~ 추풍령 터미널에서 오전 10시 30분 출발

▲ 오후 6시30분경 해는 넘어가고 부항령(삼도봉 터널) 도착

▲ 백두대간 부항령 표석 앞에서

▲ 삼도봉 터널에서 무한 딴힐 후 삼거리 신라 민박에서 식사후 취침  

그 다음날...

 

▲ 아침 4시30분 기상

산골이라 너무 어두워서 이리 저리 뒹굴다가 세면 후 6시 덕산재(대덕재)를 향하여 출발

▲ 평지를 가듯 기분 좋은 출발이다

▲ 눈비 올때는 거북이 처럼 천천히 가라는....

▲ 저수지에는 물안개가 살짝 피어오르는 듯하더니 사라지네.

 

▲ 이쪽에서 오르는 길은 길어서 그런지 순조롭게 이어지는 업힐이다

▲ 덕산재 생태통로를 지나면 백두대간 표석이 서있다

▲ 샤방 샤방 오르니 덕산재라네. 앞에 보이는 능선은 대덕산의 웅장한 능선

고갯마루 오른쪽이 대덕산이다

그래서 이 고개의 이름은 대덕재 또는 덕산재라고 부른다.

▲ 어젯밤에 부항령을 지나서 오늘 아침 이곳에 왔다

 

▲ 백두대간 표석옆에서 인증샷

▲ 인증사진 셀카 촬영의 주역인 미니 삼각대. 그 이름은 애칭으로 나의 삼순이   

▲ 덕산재. 일망무제의 파노라마 조망이 인상적이다/ 전라북도에서 다시 경상북도로 이동

 

대덕산(덕산재) 유래

  옛날 한 도인이 옛날 이 산에서 100일 기도 후 공덕을 쌓아 도가 통했다고 하여 대덕산이라 부른다’고 

현지에서는 산기슭의 마을에서 큰 인물과 부자가 나와, 산으로부터 ‘큰(大) 덕(德)’을 입은 결과라 하여 대덕산으로 불린다고 한다.

이웃한 초점산과 더불어 1,000m가 넘지만 산세는 유순한 편이다.

무엇보다도 산의 모습이 부드러워 마치 여인의 펑퍼짐한 엉덩이를 연상케 한다.

 

  과거에는 다락산(多樂山)·다악산(多惡山)·투구봉 등으로 불렸다.

다락은 높다는 의미이며, 투구는 산의 생김새가 장수들이 전장에서 쓰는 투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산정에는 기우단이 있어 기우제를 지냈다고 하니 예로부터 지역의 영산(靈山)이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대덕산 인근 마을에는 국난이나 천재지변을 피해 온 이들이 많았다.

특히 무풍마을은 조선 명종 때 예언가이자 학자인 격암 남사고(格庵 南師古)가 지목한

병화(兵火)와 흉년이 없는 십승지지(十勝之地) 중 한 곳이다.

 

▲ 웅혼한 기백이 살아 넘치는 백두대간 고개 덕산재를 넘으며 

 

산은 산을 가리지 않는다

                        

                - 이 하 (李 夏 : 시인, 교수)

 

비킬 뿐
산은 산을 가리지 않는다.
낮은 데로 낮추어
소리도 묻어나지 않게
앞은 앉고 뒤는 서고
크면 큰 대로 빛깔을 던다.
 

언젠가
강이 지나칠 무렵
한 자락씩 거두어 길을 내고는
은밀히 강바닥으로
무릎을 맞대어, 그저
그 자리에 있었다.
 
산은
산을 밀어 내지 않는다.
무성한 제 그림자를
강물에 담글 때면
건넛산이 잠길 어귀를
비워둔다.
 

때로 겹친 어깨가
부딪칠 때도
조금씩 비켜 앉을 뿐
산은
산을 가리지 않는다.

 

▲ 덕산재에서  

웅혼하고 유장하게 흐르는 수도산, 단지봉, 가야산 능선  

 

▲ 아침 운무에 정상을 보여주지 않는 큰산 대덕산의 우람한 자태

 

▲ 한참을 내려와서 이정표에서 우회전이지만 아침 식사를 위해서 좌회전하여 대덕식당에서 맛있는 식사

 

 

 

▲ 식당앞 슈퍼에서 간식을 구입하고 다시 거창방향으로 고고씽

▲ 3번 국도는 한때는 차량 통행이 많은 중요한 국도였는데 지금은 고속도로와 직선도로로 인하여 이 길가에는 폐업한 주유소가 많이 있기에 보는이의 가슴이 짠하다.

▲ 옛말에 진주라 천리길이라 했는데 이곳에서는 100km 남짓이다  

▲ 여기서 말하는 우두령은 수도산과 단지봉을 이어서 가야산 국립공원으로 이어지는 초입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가을 억새

                              - 정일근


때로는 이별하면서 살고 싶은 것이다.
가스등 켜진 추억의 플랫홈에서
마지막 상행성 열차로 그대를 떠나보내며
눈물 젖은 손수건을 흔들거나
어둠이 묻어나는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터벅터벅 긴 골목길 돌아가는
그대의 뒷모습을 다시 보고 싶은 것이다.
 

사랑 없는 시대의 이별이란
코끝이 찡해오는 작별의 악수도 없이
작별의 축축한 별사도 없이
주머니에 손을 넣고 총총총
제 갈 길로 바쁘게 돌아서는 사람들
사랑 없는 수많은 만남과 이별 속에서
이제 누가 이별을 위해 눈물을 흘려주겠는가
이별 뒤의 뜨거운 재회를 기다리겠는가

 

하산길 돌아보면 별이 뜨는 가을 능선에
잘 가라 잘 가라 손 흔들고 섰는 억새
때로는 억새처럼 손 흔들며 살고 싶은 것이다.
가을 저녁 그대가 흔드는 작별의 흰 손수건에
내 생애 가장 깨끗한 눈물 적시고 싶은 것이다.

 

▲ 업힐이 시작되는듯하더니 ... 바로 고갯마루에 올라선다

▲ 이곳에서 왼쪽산길을 따라 가면 우두령재를 넘어서 수도산과 단지봉을 이어서 가야산 국립공원으로 이어지는 능선이다.

딱 보니 알겠다 

오래전에 백두대간 걸어서 넘을 때 이길을 지났지.

 

 

▲ 아무리 힘들어도 웃자

 

▲ 이곳 삼거리에서 우회전 ~!@!! 우회전 !!!!

 

▲ 우회전 하면 나타나는 우뚝 선 업힐이 반긴다

▲ 눈이 내리면 돌아가시라니...

 

그래 이런 노래도 있지

가을엔 떠나지 마세요

차라리 하얀 겨울에 떠나요 ~~

 

돌아가시라 ... 죽음이라는 말의 높임말은 돌아가셨다고 하던데.

그래 하얀 눈이 오는날 돌아가시라는 아주 멋진 말이네

오래 산다고 다 좋은것은 아니지

▲ 그래 눈 올때 돌아가야징 큿 ~

▲ 정면에 전봇대가 보이는 짤록한 고갯마루로 올라야 하는 빡쎈 동네 업힐

▲ 올라온길을 뒤돌아보니 은근 빡쎈 업힐이다

▲ 힘들게 오르고 나니 역시 맥빠지게 심플한 고제면 경계 표지가 반긴다 

▲ 오르고 나면 보상은 있는 법

위 사진상의 오른쪽으로 무한 따운 힐... 과속 금지 ~

▲ 한참을 내려와서 소사고개는 또 다시 지겹게 눈과 귀에 익은  무풍 무풍 무풍 무풍 방변  

▲ 소사고개까지 길 양편으로는 끝없이 펼쳐지는 사과과수원 사과농장 사과농원 ...

▲ 가로수로 심어있는 앙징스럽게 작고 귀여븐 사과꽃나무 열매 

▲ 샤방 샤방 오르니 소사고개 정상

고갯마루에는 백두대간 복원사업의 하나인 고개를 이어주는 생태통로 다리 공사가 한창이다

 

▲ 소사고개에서는 내려가는 길은 가파르다 과속금지

▲ 경상북도에서 또 다시 전라북도로 ..아 헷갈려라 

▲ 주의 주의 여기서 주의

다운힐 하다가 오른쪽으로 저수지가 보이는 바로 그쯤 왼쪽으로 오름길이 보이는 삼거리.

 

▲ 이곳이 그 악명 높은 오두재 고개

이곳에서 왼쪽으로 슬슬 업힐 업힐 업힐

 

 

▲ 오를수록 경사는 쎄지고 앞을 보니 갈길은 먼데 발길은 안떨어지네

▲ 잠시 쉬면서 뒤돌아보니 높이 올라왔네

참 좋다 

▲ 직선도로를 다시 건설중이다

▲ 앞으로 오두재 정상이 보이는데...

▲ 우왕 정상 아래 터널이 뚫였네... 슬슬 다가갔다

저지선이 없기에 그냥 정면 돌파

그런데 불이 안들어오기에 라이트를 켜고 조금 달리니 터널의 끝이 보였다. 쫌 무서웠다  

 

 

▲ 터널을 빠져나와서 멋진 펜션이 보이는 곳을 지나서 내려오면 삼거리에서 왼쪽 거창 거창 방향으로 고고쓍 ~

 

▲ 오른쪽은 신풍령 ...직진하면 터널

망설임없이 당연히 신풍령 고개를 향하여 ~

▲ 신풍령 오름길에 저 아 래로 빼재 터널이 보인다

▲ 배가 고파서 이곳에 들르니 식사가 안된다기에  ㅠ 

▲ 그냥 길가에서 행동식으로 대신하고 또 출발

연양갱과 초콜렛과 자유시간을 각 1개씩 먹으며 배고픔의 자유를 만끽했다. 

▲ 신풍령 (빼재 / 수령고개) 도착

▲ 신풍령(빼어날 수자를 써서 수령? 또는 빼어난 고개라하여 빼재) 인증샷 ⓒ 2015 한국의산천

이곳을 빼재라고도 부르는데 이곳에는 수령이라고 써있다

빼어날 "수" 字를 써서 수령이고 빼어난 고개이기에 빼재인가? 아리송해 아리송해 ♬ 

 

셀카를 찍으며 웃는게 웃는것이 아니다

아무리 배고프고 힘들어도 인증샷 할때 만큼은 즐거운 표정처럼 

 

▲ 오래 전 야밤에 무박으로 이곳을 오를 때는 이런 계단이 없었는데...

▲ 신나게 다운힐을 하니 아까 그 빼재 터널의 끝을 만난다

▲ 터널에서 나와서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업힐 시작

칡목재로 오르는 길이다

▲ 은근히 빡세게 오른다

 

▲ 은근 빡쎈 칡목재 정상에서 한숨을 돌리고 - 배는 고픈데

▲ 왼쪽 북상 방향으로 고고씽

▲ 오랫만에 사람을 봤다

백두대간의 고갯길을 달리며 느낀점은 차도 없고 사람 보기도 힘들다는 것이다.

길가에는 페업한 주유소와 폐업한 휴게소가 간간히 있을 뿐이다

갈래길에서 방향을 물어볼수도 없는 상황이기에 지형도 숙지를 잘하여야 한다

▲ 수묵화처럼 점점 엷어지는 산. 산... 산 ......

 

언제나 변함없는 푸른 산과 같이 내맘에 남아있는 꿈, 구름에 살아있어

그리워 불러볼 수 없는 그대의 이름 같이 내맘에 변함없는 없는 사랑 영원히 살아있네

그리워 저 산을 바라봐 흘러가는 구름이 내맘에 남아있는 모습 눈물로 가려지고
올라도 오를수 없는 저 푸른 산과 하늘이 무어라 내게 말하는 지 나는 들리지 않네..

왜 난 사는 건지 무엇이 삶의 목적인지 왜 난 걷는건지 어디가 나의 쉴 곳인지

▲ 수승대로 가는 북상면 마을 입구의 풍경이 예사롭지 않은 고택들

 

▲ 이 마을에서 바로 우회전하여 길고 긴 업힐 남령으로

거창은 백두대간과 가야기맥, 진양기맥의 접경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싼 분지로

덕유산과 가야산, 지리산 등 3대 국립공원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으며

1000m이상의 높은 봉우리와 절경이 빼어난 산들이 많은곳으로 산꾼들에게는 인기 만점인 지역이다. 

▲ 남령은 백두대간에서 월봉산 금원산 기백산 이어지는 그 웅장한 산줄기 아닌가?

명성만큼이나 빡세고 높았다. 잠시 쉬고 끌바도 하고....약 13km 정도의 정말 길고 긴 업힐 정말 힘들었다

▲ 이곳이 남덕유에서 월봉산 ~금원 ~기백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중간의 고개렸다.

이곳에서 월봉산으로 올라 수망령을 넘어서 용추자연휴양림쪽으로도 내려가봤지

▲ 길고 긴 남령에 올라서 ⓒ 2015 한국의산천

남령은 백두대간 상의 고개는 아니다. 남덕유에서 가지치는 진양기맥 상에 있는 고개로서 월봉산으로 이어지는 중간에 있는 고개가 남령이다

 

진양기맥

 진양기맥은 백두대간의 남덕유산에서 남동쪽으로 가지를 쳐 월봉산, 수망령, 금원산, 기백산, 망설봉, 갈전산, 바랑산, 소룡산, 황매산, 철마산, 금곡산, 성현산, 산성산, 한우산, 자굴산, 망룡산, 천황산, 집현산, 광제봉을 일으키고 남강 유역인 진양호의 남강댐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 159.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진양기맥은  하동을 제외한 서부 경남의 전 지역인 함양, 거창, 합천, 산청, 의령, 진주 등 6개 시군을 지나며

진양기맥 산줄기는 주로 남강과 황강을 가르는 분수령으로 진양기맥의 서쪽과 남쪽의 물은 남강으로 흐르고 산줄기 동쪽의 물은 황강과 낙동강 본류로 흐른다. 

 

 

▲ 한참을 다운힐 하다가 삼거리에서 비포장 도로로 직진.. 지~익~찐 ~~~

 

▲ 눈에 익은 그 유명한 영각사 입구

 

▲ 학교를 지나서 저수지가 보이는 곳까지 직진

▲ 이제 뒤로는 덕유능선을 바라보며 육십령을 향해 고고쓍

▲ 저수지 100m 전방에서 시멘트 도로 삼거리를 찾아라 ~!!!!

중요 ~!! 중요 ~!!!! 밑줄 ~ 쫘~악 

중요한 팁

저수지 삼거리 100m 전방에서 오른쪽으로 난 세멘트 삼거리를 따라 가면 육십령으로 바로 올라감 약 6km, 단축하며 길 또한 편안한 길임.

▲ 이 길로 들어서서 잠시가면 앞으로 육십령 오름길이 보임

띵호아 ~~~

▲ 오른쪽 길로 올라와서 왼쪽 도로로 이어지면서 육십령으로 올라감

▲ 출발지점 삼거리가 보임

▲ 장계 터미널 까지 11km 약 40분 거리...

▲ 오늘의 마지막 미션 육십령 도착  

 

▲ 샤방 샤방 오른 육십령. 서울행 버스시간은 놓쳤지만 이제 안전한 다운 힐만 남았다.

 

 

 

 

 

 

 

▲한참을 딴힐하다가 뒤돌아보니 육십령 고갯마루에 있는 팔각정이 선명히 보인다 (렌즈 280mm 촬영)  

 

 

 

 

 

 

 

▲ 새로 신축한 장계 터미널

 

▲ 서울행 버스는 끝나서 장계 이곳에서 식사후 취침하기로 결정 

 

▲ 식사 후 터미널 뒤편 하얏트 모텔에서 숙박

▲ 장계터미널 뒤편 하얏트 모텔에서 숙박 (25000원)

▲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의 주인공 산티아고는 아프리카 대평원의 사자꿈을 꾸며 잠들었지만 나는 꿈을 꾸지도 않고 깊고 편안한 잠을 잤다

▲ 이제 장계를 떠나갑니다

한 여름 뜨거운 태양아래 1200km를 달려서 오늘 이곳까지 왔습니다

다음 주에는 이곳에 다시와서 출발을해야겠지요

잠시 머무르고 떠나가는 곳이지만 괜시리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다시오마  장~계 ~!!!!  

 

 

 

▲ 아침 8시 50분차를 타고 서을로 갑니다

 

 

 

 

아련한 시간들

아직 정리중....

 

  지금 각종 미디어에서는 노벨상에 대해 많은 관심을 두고있다. 지금부터 수상자 발표일이기 때문이다.

헤밍웨이는 그이 작품 '노인과 바다' 에 대해 "인생을 통틀어 내가 쓸 수 있는 최고의 작품"이라 말했다. 그 작품은 1953년 퓰리처상, 1954년 노벨 문학상을 안겨 주었다

 

  소설속의 주인공 어부 산티아고는 85일째되던날 큰 고기를 잡지만 항구로 돌아오던중 상어떼에게 다 뜯기고 앙상하게 뼈만남은 고기를 끌고 들어와서 깊은 잠에 빠져든다.

  그 노인의 진정한 도전 정신과 불굴의 투지를 느끼게하는 마지막 장면이다.

 

소설에서 노인은 몰려드는 상어떼를 물리치며 이렇게 말한다. "사람은 패배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다. 사람은 죽을 수는 있어도 패배할 수는 없다." 

헤밍웨이는 이 소설에서 노인을 이렇게 묘사한다. '머리가 허옇고 얼굴은 수척하지만 두 눈만큼은 바다 빛깔이고 쾌활함과 불굴의 의지로 불탄다.'고...

 

 그래 아직 축배를 들기에는 이르다 열심히 달리자. 죽을 수는 있어도 패배할 수는 없다.

 

지족불욕(知足不辱) 만족할 줄 알면 욕됨이 없고,

지지불태(知止不殆)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으니 

가이장구(可以長久) 오래도록 편안할 것이다.  - 노자 도덕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