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MTB등산여행

관곡지 물왕리 가는길

by 한국의산천 2012. 1. 29.

물왕리 가는 길  [2012 · 1 · 29 · 매우 쌀쌀하고 차가운 바람이 앞가슴으로 불어오는 일요일 · 물왕리 라이딩 5명]

북서풍 그 바람이 세차게 불었지만 즐겁고 가볍게 라이딩을 다녀왔습니다  

 

▲ 혼자 라이딩하는 사람을 위해서 셀카 촬영(?)을 위한 반사경이 군데 군데있다, 우리나라는 자전거에 대한 배려가 많은 나라이다 ⓒ 2012 한국의산천

 

▲ 그대 심장이 뛴다면 달려라 ⓒ 2012 한국의산천

부평에서 약속장소인 소래 습지공원까지 아침 추운 바람을 가르며 40분만에 도착했다

 

[바람의 노래] 나의 님 - 이연실 

 

▲ 저 멀리서 양희님 부부팀이 달려옵니다 ⓒ 2012 한국의산천

인천 송도에서 그리고 옥련동에서 그리고 저는 부평에서 달려서 모두가 이곳에서 합류한 후 다음 코스로 이동합니다

 

▲ 자전거를 높이~! 꿈은 더 높이 ~! ⓒ 2012 한국의산천 

서해로부터 갯골을 향해 불어오는 바람이 세차지만... 그래도 즐거운 휴일이었습니다 

 

오늘 함께 달린 사람들 

 

▲ 관동인님 ⓒ 2012 한국의산천

 

▲ 양희님 ⓒ 2012 한국의산천

양희님은 너무 잘 달려요 멋진 신랑의 짝이라서 그런가요? 아름다운 부부입니다  

 

▲ 양희님 부군 ⓒ 2012 한국의산천

오늘 뵈어서 반가웠습니다. 상당한 실력의 내공이 보이네요. 영광이고 반가웠습니다  

 

▲ 양희님 부부 모습 ⓒ 2012 한국의산천

잉꼬 ~! 아름답고 멋지신 부부愛에 부러움과 찬사를 보냅니다 

 

▲ 한국의산천 ⓒ 2012 한국의산천

 

▲ 앞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차가웠지만 힘차게 박동하는 심장으로 인해 가슴은 뜨거웠습니다 ⓒ 2012 한국의산천

 

작은 두려움을 끝내 두려워하면 마침내 큰 두려움을 피하지 못 할 것이다.

작은 추위를 두려워한다면 깊은 겨울을 나지 못하고 화려한 봄을 맞지 못 할 것이다.

 

▲ 관곡지를 끼고 달리는 자전길 ⓒ 2012 한국의산천

 

 

▲ 제가 들고 있는것은 '억새'가 아니고  '갈대'입니다 ⓒ 2012 한국의산천  

살면서 가을 바람이 귓가를 스쳐 지나가듯 무심코 던져진 그말 한마디가 - 그래 그 말 한마디가 자전거보다 더 무겁더군   

 

잘 가라 잘 가라 손 흔들고 섰는 억새 / 때로는 억새처럼 손 흔들며 살고 싶은 것이다.
가을 저녁 그대가 흔드는 작별의 흰 손수건에 / 내 생애 가장 깨끗한 눈물 적시고 싶은 것이다.

 

가을 억새 
                     - 정일근

때로는 이별하면서 살고 싶은 것이다.
가스등 켜진 추억의 플랫홈에서
마지막 상행성 열차로 그대를 떠나보내며
눈물 젖은 손수건을 흔들거나
어둠이 묻어나는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터벅터벅 긴 골목길 돌아가는
그대의 뒷모습을 다시 보고 싶은 것이다.
사랑 없는 시대의 이별이란
코끝이 찡해오는 작별의 악수도 없이
작별의 축축한 별사도 없이
주머니에 손을 넣고 총총총
제 갈 길로 바쁘게 돌아서는 사람들
사랑 없는 수많은 만남과 이별 속에서
이제 누가 이별을 위해 눈물을 흘려주겠는가
이별 뒤의 뜨거운 재회를 기다리겠는가
하산길 돌아보면 별이 뜨는 가을 능선에
잘 가라 잘 가라 손 흔들고 섰는 억새
때로는 억새처럼 손 흔들며 살고 싶은 것이다.
가을 저녁 그대가 흔드는 작별의 흰 손수건에
내 생애 가장 깨끗한 눈물 적시고 싶은 것이다.

 

 

▲ 한달중에 보름은 해외에 출장하는 관동인님 ⓒ 2012 한국의산천

국내에 있는 날이면 매일 라이딩을 즐기는 관동인님 

 

▲ 솟대 ⓒ 2012 한국의산천

기러기인가? 오리인가? 

그대의 진정한 정체는 무엇인가?

그 누구를 기다리는가? 

무엇을 염원하는가?

 

 

 

 

▲ 내가 이대로 또 하나의 솟대가 되어 ⓒ 2012 한국의산천

 

▲ 산다는것은 기다림의 연속 ⓒ 2012 한국의산천

 

높은 곳에서 목을 길게 빼고 먼곳을 쳐다보는 솟대 위에 있는 오리? 기러기?

나는 그 솟대를 보면 제일 먼저 기다림이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그리고 그리움.

 

솟대와의 근본적인 뚯과는 거리가 먼....
솟대란 민간신앙을 목적으로 또는 경사가 있을 때 축하의 뜻으로 세우는 긴 대라고 설명되고 있다

 

두산백과를 살펴보면

전라도에서는 '소주', '소줏대', 함흥 지방에서는 '솔대', 황해도·평안도에서는 '솟댁', 강원도에서는 '솔대', 경상도 해안 지방에서는 '별신대' 등으로 부른다.

삼한(三韓)시대에 신을 모시던 장소인 소도(蘇塗)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소도에 세우는 솟대[立木]가 그것이며, 소도라는 발음 자체도 솟대의 음이 변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농가에서 섣달 무렵에 새해의 풍년을 바라는 뜻에서 볍씨를 주머니에 넣어 장대에 높이 달아맨다. 이 볏가릿대[禾竿]를 넓은 마당에 세워 두고 정월 보름날 마을 사람들이 농악을 벌이는데, 이렇게 하면 그 해에 풍년이 든다는 것이다. 또 민간신앙의 상징물인 장승 옆에 장대를 세우고 장대 끝에 새를 나무로 깎아서 달기도 하였다.

 이 밖에 경축의 의미로는 옛날 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위해 마을 입구에 주홍색을 칠한 장대를 세우고, 끝에 청색을 칠한 용을 만들어 붙이는데 이것도 솟대라고 한다.   

 

 

▲ 시상을 떠올리시는지요? 자연사랑? 하여간 멋집니다 ⓒ  2012 한국의산천

 

 

 

소금

        - 류시화-

소금이

바다의 상처라는 걸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소금이

바다의 아픔이란 걸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세상의 모든 식탁 위에서

흰 눈처럼

소금이 떨어져내릴 때

그것이 바다의 눈물이라는 걸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 눈물이 있어

이 세상 모든 것이

맛을 낸다는 것을  (류시화 시집,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

 

▲ 허물어지고 쓰러져가는 소금 창고 ⓒ 2012 한국의산천

 

소금 인형

                    - 류시화-

 

바다의 깊이를 재기 위해

바다로 내려간

소금인형처럼

 

당신의 깊이를 재기 위해

당신의 피 속으로

뛰어든

나는

 

소금인형처럼

흔적도 없이

녹아 버렸네

 

 

하산길 돌아보면 별이 뜨는 가을 능선에 / 잘 가라 잘 가라 손 흔들고 섰는 억새 / 때로는 억새처럼 손 흔들며 살고 싶은 것이다.
가을 저녁 그대가 흔드는 작별의 흰 손수건에 / 내 생애 가장 깨끗한 눈물 적시고 싶은 것이다.

 

 

 

 

 

 

 

 

 

▲ 경기 시흥시 하상동 관곡지 옆에 있는 강희맹 선생 묘소 앞에서 ⓒ 2012 한국의산천

 

강희맹 (姜希孟, 1424~1483)

우리나라 최초의 농학자이며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종의 이질이고, 화가 희안의 동생이다. 수양대군이 세조로 등극하자 원종공신 2등에 책봉되었다. 남이(南怡)의 옥사사건을 해결한 공로로 익대공신 3등에 책봉되었다.

당대의 뛰어난 문장가로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였을 뿐만 아니라, 맡은 일은 완벽하게 처리하면서도 겸손하여 나서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관인적 취향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농촌사회에서 널리 전승되고 있던 민요나 설화에도 남다른 식견으로 관인문학(官人文學)의 틀을 스스로 깨뜨려 버리는 면도 있었다. 이런 예는 당시 농정의 실상과 농민들의 애환을 노래한 '농구십사장(農謳十四章)'에 잘 나타나 있다.

문집으로는 '금양잡록(衿陽雜錄)' '촌담해이(村談解頤)'와 할아버지와 아버지 및 형 희안의 시를 모아 편찬한 '진산세고(晉山世稿)'가 있다. 이 밖에 서거정이 성종의 명을 받고 편찬한 '사숙재집(私淑齋集)'(17권)이 전한다. 세조 때 '신찬국조보감' '경국대전', 성종 때 '동문선' '동국여지승람'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서례' 등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 관곡지 옆에 자리하고 있는 강희맹 선생의 묘 연성문 앞에서 ⓒ 2012 한국의산천

 
연성동은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동으로 시흥시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 이름은, 세조 때의 농학자인 강희맹이 사신으로 중국 남경을 다녀올 때 전당의 붉은 연꽃 열매를 가져와 관곡지에 처음 재배하여 널리 퍼지자, 세조가 안산군의 이름을 연성군이라 한 데서 유래한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과 연성군 지역이었다.

문화재로는 하상동의 강희맹선생묘(경기기념물 87), 하중동의 관곡지(향토유적 8)가 있다

 

▲ 강희맹 선생 묘소 옆에 있는 노거수 느티나무 ⓒ 2012 한국의산천 

 

겨울

                      - 조병화

 

침묵이다
침묵으로 침묵으로 이어지는 세월,
세월 위로 바람이 분다

 

바람은 지나가면서
적막한 노래를 부른다
듣는 사람도 없는 세월 위에
노래만 남아 쌓인다

 

남아 쌓인 노래 위에 눈이 내린다
내린 눈은, 기쁨과 슬픔,
인간이 살다 간 자리를
하얗게 덮는다

 

덮은 눈 속에서
겨울은 기쁨과 슬픔을 가려 내어
인간이 남긴 기쁨과 슬픔으로
봄을 준비한다

 

묵묵히.

 

 

 

겨 울 나 무   

                       - 이수인  

 

나무도 생각을 한다

벗어버린 허전함에 눈물이 난다

빈가지 세워  올려다 본 회색빛 바다

구름 몇 점 잔잔한   파도를 타고

 

아직 남겨진 몇 개의 사연들은 

미련 없이 저 자유의 바다로 보내리라

 

나무는 제 몸에서 뻗어나간

많은 가지와  그 가지에서 피어나는

꽃과 이파리 열매를  위하여

그 깊고 차가운 어둠 속을 향해 치열하게 

뿌리를 내려가며  고독의 길을 끝없이 간다

 

인생 그 누구라도 겨울나무처럼   

홀로된 외로움 벗어버린 부끄러움에

울어보지 않았으리

수없이 많은 사연의 가지를 지니고

여러 갈래의 뿌리를 두르고도 

단 하나의 심장으로만 살아가지 않는가 

      

빈 가지마다  눈꽃  피어났던 자리에

봉긋 봉긋 솟아나는 봄의 푸르름도     

겨울가면 반드시  온다는 진리이기 보다

시련 뒤에  찾아오는  선물이라는 것을

겨울나무는  벌써 알고 있다

 

▲ 경기 시흥시 하상동 관곡지가 있는 한옥 앞을 지나서 달려 갑니다 ⓒ 2012 한국의산천

관곡지란 이 한옥 안에 있는 자그만 연못입니다

 

 

 

 

 

 

▲ 라이딩을 마치고 샤워하는 조갯집에서 생굴에 가볍게 한잔 ⓒ 2012 한국의산천

 

 

▲ 자징거 마니아 관동인님 / 이번에 최고의 풀샥(9kg)잔차를 또 영입해써요 - 자징거 진짜 조아요 ~ ⓒ 2012 한국의산천 

 

 

▲ 서편하늘을 붉게 물들이는 장려한 석양 노을 ⓒ 2012 한국의산천

 

저 아름다운 노을은 항상 존재했지만 날이 갈수록 그 붉은빛이 서글프도록 아름답다. 

손이 너무 시려워 내 손이 아닌듯한 아침 일찍 일어나 친구들과 같이 바닷가 그 옆에 지류 갯골을 달리며 무엇을 느꼈는가.

 

땀흘리며 패달링하여 목적지에 도착 했을 때 나는 빈손으로 무엇을 붙잡았던가?

한 줌의 청량한 공기?

비말처럼 부서지는 망상의 껍데기? 아니면 채울 수 없는 욕망의 앙금들?

알 수 없다. 내 마음을...

 

그래

그래도 내가 달리는 그 곁에는 웅혼하게 자리하고 있는 자연들이 있기에 앞으로도 열심히 달리고 싶은 마음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