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MTB등산여행

의풍에서 주막거리 마구령 입구

by 한국의산천 2011. 5. 13.

의풍에서 주막거리 마구령 입구 [2011 · 5 · 12 · 목요일 · 날씨 영월지방 오전에는 비 오후에는 조금씩 개임 · 멤버 : 맑은샘, 한국의산천 2명] 

강원도, 경상도, 충청도 일원을 넘나드는 라이딩

자전거를 타고 백두대간 산길을 넘다.

 

▲ 비가 그치기를 기다리다보니 오후 1시가 다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시간관계상 코스를 줄여서 부석사와 선비촌 그리고 소수서원까지 가는 몇코스를 생략하고 이슬비를 맞으며 오후 1시부터 메인 코스인 마구령~고치령 라이딩을 시작했습니다.총거리: 45km ⓒ 2011 한국의산천

 

와석리, 의풍리, 남대리 세 마을은 실상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의 삼도가 어우러지는 심심산골 오지마을이다. 정감록 십승지지의 하나로 소개될만큼 세상과는 동떨어진 산골짜기에 콕 틀어박혀 있지만 의풍리 마을에 이르러서부터는 신기하게도 첩첩산중에 너른 평지가 전개되는 것이 다소 색다른 느낌의 산골마을임을 느끼게 해준다.

 

환란을 피할 수 있다는 예언의 땅 의풍에서 출발합니다.

정감록에 따르면 환란은 세상으로 부터 온다고 했다. 의풍은 소백산과 태백산 사이에 끼인 이름바 양백지간(兩白之間)으로 '정감록'이나 '남사고' 같은 비결서에 이르기를 세상의 환란과 핍박을 피할 수 있는 오목하고 포근한 땅인데 노루목, 어은, 용담, 중마, 송내, 텃골, 솔개실, 셋터, 솔밑, 와골, 어둔이 같은 마을이 그곳이다.  

 

▲ 의풍에서 출발하여 주막거리~마구령~부석~단산~ 고치령을 넘어 다시 이곳으로 겹치는 길이 없이 완벽하게 원을 그리고 돌아오는 지점이다. ⓒ 2011 한국의산천

 

많이 퍼붓던 비는 조금씩 잦아들고 보슬비가 내린다. 이곳까지 와서 그냥 돌아갈수는 없지 않은가. 비가 더 내리지 않을것으로 생각하고 라이딩을 시작했다.

마구령(馬駒嶺, 820m)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와 임곡리를 남북으로 이어주는 고개다. 장사꾼들이 말을 몰고 다녔던 길이라고 하여 마구령이라 불렀다고 한다.

 

 마구령 북쪽의 남대리는 '정감록'에서 이르는 십승지 가운데 한 곳이자, 남사고가 양백지간에 있다던 숨겨진 명당에 자리한 마을이다. 첩첩 산줄기에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펑퍼짐한 너른 터가 있어 순흥으로 유배 왔던 금성대군이 이곳에서 단종 복위를 위하여 병사를 양성했다고 한다.

  

▲ 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 2011 한국의산천

라이딩 멤버는 2명 (한국의산천 , 맑은샘님)  카메라는 3대를 가지고 달리며 서로 상대방을 촬영했기에 사진이 참 많습니다 ~ ㅋ

 

우리는 MTB 선수가 아니다.

우리는 MTB 타는것이 본업이 아니다

사소한 일에 목숨걸지 않는다. 

취미 생활에 목숨 걸지 않는다. 그저 즐겁게 달리며 즐길뿐이다.

안전 라이딩을 다짐하며 출발~~!   

28517

 별 바람 햇살,그리고 사랑 -김종국


눈이 부시도록 투명한 아침 싱그러운 햇살속에 잠든 너의 숨결위로 묻어나는 행복
별이 되어 바람이 되어 추억에 잠기면 어느새 잠에서 깨어 날 부르며 웃는 너

baby never say good bye 단 한사람 너만 있어주면 돼 이세상 무엇도 널 대신 할 순 없어
baby don't you ever cry 아름다워 니가 있는 이세상 사랑하기에 나는 행복하니까

내몸가득 배인 너의 향기와 입술가득 고인 미소 여기 이 모든 행복이 정말 내것인지
사라질까 잃어버릴까 두려운 마음에 살며시 너를 안고서 저 하늘에 기도해

baby never say good bye 단 한사람 너만 있어주면돼 이세상 무엇도 널 대신할 순 없어
baby don't you ever cry 아름다워 니가 있는 이세상 사랑하기에 나는 행복하니까

구름 속의 연인들처럼 늘 함께있어도 이렇게 안고 있어도 더 그리워 지는 너
baby never say good bye 단 한사람 너만 있어 주면 돼 이세상 무엇도 널 대신 할 순 없어

baby don't you ever cry 아름다워 니가 있는 이세상 사랑하기에 나는 행복하니까
영원히 지금 이대로 ~ 너만을 사랑하겠어

 

▲ 세상의 환란을 피할 수있는 정감록에서 말하는 예언의 땅 의풍을 지나서 주막거리로 달리기 ⓒ 2011 한국의산천

정감록에 따르면 환란은 세상으로 부터 온다고 했다.

의풍은 소백산과 태백산 사이에 끼인 이름바 양백지간(兩白之間)으로 '정감록'이나 '남사고' 같은 비결서에 이르기를 세상의 환란과 핍박을 피할 수 있는 오목하고 포근한 땅인데 노루목, 어은, 용담, 중마, 송내, 텃골, 솔개실, 셋터, 솔밑, 와골, 어둔이 같은 마을이 그곳이다.  

이곳 의풍에서 생산된 농산물마다 특산물이라서 생산하기 무섭게 팔려 나간다고 하며 특히 의풍대추는 임금께 진상을 하였다고한다.

 

십승지지(十勝之地)

참위설(讖緯說)과 풍수지리설을 신봉하던 술가(術家)들의 말로는 풍기(豊基)의 금계촌(金鷄村), 안동(安東)의 춘양면(春陽面), 보은(報恩)의 속리산(俗離山), 운봉(雲峰)의 두류산(頭流山), 예천(醴泉)의 금당동(金堂洞), 공주(公州)의 유구(維鳩)와 마곡(麻谷), 영월(寧越)의 정동상류(正東上流), 무주(茂州)의 무풍동(茂豊洞), 부안(扶安)의 변산(邊山), 성주(星州)의 만수동(萬壽洞)을 가리킨다.

 

한편 정감록(鄭鑑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보신(保身)할 땅이 열이 있으니 첫째는 풍기 예천이요, 둘째는 안동의 화곡이요, 셋째는 개령의 용궁이요, 넷째는 가야요, 다섯째는 단춘(삼풍, 의풍리)이요, 여섯째는 공주의 안산심마곡이요, 일곱째는 진목이요, 여덟째는 봉화요, 아홉째는 운산봉 두류산이요, 오래 살 땅이라 착한 정승과 좋은 장수가 이어 나리로다. 열째는 풍기의 대 ·소백산이니 길이 살 땅이라 장수와 정승이 이어 나리로다.”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는 물론 3 ·1운동 후 이러한 괴설(怪說)을 믿고 솔가(率家)하여 이사를 가는 일이 있었다.

 

▲ 달리면서 머리위로 카메라를 올리고 뒷사람을 촬영하였다. 음~ 잘 따라오고 있군요 ⓒ 2011 한국의산천

백두산에서 동해안을 따라 태백산까지 흘러내린 백두대간은 소백산에서 꺾어진다. 대간은 마구령과 고치령을 거쳐 국망봉과 소백산 비로봉을 지나 죽령을 넘고 대야산, 속리산으로 뻗어간다.

마구령은 고치령, 죽령과 함께 소백산을 넘는 세 개의 고갯길 중 하나였다. 영남 선비들의 과거길로 ‘영남대로’라 불렸던 죽령 길과 영월 하동과 이어지는 마구령 길, 그리고 단양 영춘과 이어지는 고치령 길 등이었다. 세 길은 모두 백두대간 주능선 중 하나다.

 

 

 

▲ 강원도 경상북도 경계를 넘어서 남대리를 향해 갑니다 ⓒ 2011 한국의산천

남대리는 부석면 소재이지만, 면소재지인 부석을 가려면 오늘 우리가 가야하는 길 높은 마구령을 넘어가야 한다. 지금은 고개가 포장이 되어서 그나마 넘기가 수월하지만 그 옛날에는 힘들고 먼길이었을것이다.

 

  

▲ 강원도에서 경상도 땅으로 넘어갑니다 ⓒ 2011 한국의산천

 

나는 언제나 꿈꾼다.

자전거를 타고 우리나라 방방곡곡을 다 돌아볼것이라고....

 

그래 떠나는거야

그날을 기다리며 준비하는 설레임

나는 알았다 삶은 단순히 생존하는 것 그 이상임을.

나의 기쁨은 도착이 아니라 그 여정에 있음을. 그래 아무 생각없이 달리는거야~!

 

 

 

▲ 맑은샘님 당신의 눈속에 내가 있군요 ⓒ 2011 한국의산천

 

 

▲ 싱그러운 오월의 숲속을 맑은샘님이 경쾌하고 싱그럽게 달립니다 ⓒ 2011 한국의산천

길가의 나뭇가지를 스칠때마다 물방울들이 튀었다. 수정처럼 맑은 물방울이....숲은 살아 숨쉬고 있었다. 풍성했다. 아름다웠다

 

 

 

▲ 주막거리에서 소백산 국립공원으로 접어들며 마구령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초반부터 조금 빡센 업힐구간을 맑은샘님이 열심히 오르고 있습니다

 

▲ 산풍경이 너무 좋은데 정말 좋은데...  뭐라고 표현할 방뻡이 없네요 ⓒ 2011 한국의산천

산 안개가 하늘로 피어 오른다. 오월에 내리는 이슬비에 젖은 촉촉하게 숲은 풍성하고 수채화처럼 아름다웠다. 비가 내리지 않았다면 이처럼 아름다운 광경을 만나지 못했을것이다.

 

 

▲ 오월의 신록속으로 ⓒ 2011 한국의산천

자전거를 타고 오르막을 오를 때, 길이 몸 안으로 흘러 들어올 뿐 아니라 기어의 톱니까지도 몸 안으로 흘러 들어온다. 내 몸이 나의 기어인 것이다. 오르막에서, 땀에 젖은 등판과 터질 듯한 심장과 허파는 바퀴와 길로부터 소외되지 않는다. 땅에 들러붙어서, 그것들은 함께 가거나, 함께 쓰러진다.

자전거를 저어서 나아갈 때 풍경은 흘러와 마음에 스민다. 스미는 풍경은 머무르지 않고 닥치고 스쳐서 불려가는데, 그때 풍경을 받아내는 것이 몸인지 마음인지 구별되지 않는다

 

 

  자전거를 타고 저어갈 때, 세상의 길들은 몸 속으로 흘러 들어온다. 강물이 생사(生死)가 명멸(明滅)하는 시간 속을 흐르면서 낡은 시간의 흔적을 물 위에 남기지 않듯이, 자전거를 저어갈 때 25,000분의 1 지도 위에 머리카락처럼 표기된 지방도·우마차로·소로·임도·등산로들은 몸 속으로 흘러 들어오고 몸 밖으로 흘러 나간다. 흘러 오고 흘러 가는 길 위에서 몸은 한없이 열리고, 열린 몸이 다시 몸을 이끌고 나아간다. 구르는 바퀴 위에서, 몸은 낡은 시간의 몸이 아니고 생사가 명멸하는 현재의 몸이다. 이끄는 몸과 이끌리는 몸이 현재의 몸 속에서 합쳐지면서 자전거는 앞으로 나아가고, 가려는 몸과 가지 못하는 몸이 화해하는 저녁 무렵의 산 속 오르막길 위에서 자전거는 멈춘다. 그 나아감과 멈춤이 오직 한 몸의 일이어서, 자전거는 땅 위의 일엽편주(一葉片舟)처럼 외롭고 새롭다.

  

 

  자전거를 타고 저어갈 때, 몸은 세상의 길 위로 흘러나간다. 구르는 바퀴 위에서 몸과 길은 순결(純潔)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연결되는데, 몸과 길 사이에 엔진이 없는 것은 자전거의 축복(祝福)이다. 그러므로 자전거는 몸이 확인할 수 없는 길을 가지 못하고, 몸이 갈 수 없는 길을 갈 수 없지만, 엔진이 갈 수 없는 모든 길을 간다.

  구르는 바퀴 안에서, 바퀴를 굴리는 몸은 체인이 매개하는 구동축(驅動軸)을 따라서 길 위로 퍼져 나간다. 몸 앞의 길이 몸 안의 길로 흘러 들어왔다가 몸 뒤의 길로 빠져나갈 때, 바퀴를 굴려서 가는 사람은 몸이 곧 길임을 안다.

 

 

  길은 저무는 산맥의 어둠 속으로 풀려서 사라지고, 기진(氣盡)한 몸을 길 위에 누일 때, 몸은 억압 없고 적의 없는 순결한 몸이다. 그 몸이 세상에 갓 태어난 어린 아기처럼 새로운 시간과 새로운 길 앞에서 곤히 잠든다.

  갈 때의 오르막이 올 때는 내리막이다. 모든 오르막과 모든 내리막은 땅 위의 길에서 정확하게 비긴다. 오르막과 내리막이 비기면서, 다 가고 나서 돌아보면 길은 결국 평탄하다. 그래서 자전거는 내리막을 그리워하지 않으면서도 오르막을 오를 수 있다.-김훈 자전거 여행 中에서-

 

 

 

" 깊은 산의 위엄을 길은 멀리 피해서 굽이 굽이 돌아간다.

산의 가장 여린곳만을 골라서 뻗어가는 그 길이 마침내 거친 산맥을 넘어 간다"

 

 

 

 

  

 

 

 

아래페이지에 계속해서 마구령으로 올라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