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사실이 햇빛을 받으면 역사가 되고 달빛을 받으면 신화가 된다고 했다
역사란 긴 세월에 걸쳐서 쌓여진 금맥(金脈)이다. 그 금맥은 미래를 내다 볼 수 있는 황금사다리가 되어준다.
과거가 없는 현재가 없고 역사가 없는 미래를 생각 할수는 없다. 역사를 단순히 지나간 일로 치부할 때는 미래를 알수없다. 우리가 조상의 역사와 문화유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 후손에게 물려 줄때에 우리의 미래는 빛날것이다.
한림(翰林) · 사관(史官)
후세에 바른 역사를 전하기 위해 붓한자루에 목숨을 걸었던 사관
나라는 망해도 역사를 없앨수는 없다.
조선시대 사관은 예문관 소속 8명의 전임사관이 있었고 이를 가르켜 한림이라 하였다.
사관이란 역사를 기록하는 하급관리이다. 중종실록에서 나오기를 "사관의 지위는 낮지만 만세의 공론을 쥐고 있으니, 위세를 두려워해서도 안되고 사사롭게 아부를 해서도 안된다. 크게는 임금의 득실과 작게는 대신의 선악을 붓으로 기록하되. 늠름하고 의연해서 압설(狎褻)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그래서 직책은 중하고 처지는 엄비(嚴秘)하니 진실로 삼공의 낭속(廊屬)이 아니다" 하였다.
사관을 추천하는 과정중 추천자의 이력서를 놓고 절하고 이렇게 축문을 읽었다.
" 유세차 모년 모월 모일 황천(皇天) 후사(後士)의 신께 감히 아뢰옵나이다. 사필을 잡은 임무는 국가에서 가장 높고 무거운 것이니, 추천된자가 적임이 아니면 반드시 앙화가 따를 것입니다" 사관 추천을 잘못하였을 때에는 어떠한 벌도 달게 받겠다는 뜻이다.
조선왕조실록은 세계 최대의 역사서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의 가치는 우선 양적, 질적으로 어느나라에서 찾아 볼수없는 세계 최대를 자랑하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를 창업한 태조 이성계로부터 철종 이원범까지의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편년체 형식으로 쓴 방대한 역사 기록이다.
이렇게 방대한 '조선왕조실록'의 이면에는 서릿발 같은 조선의 선비정신이 형형이 빛나고 있다. 바른 역사와 직필을 위해 일개 9품 벼슬아치가 하늘 같은 왕에 맞서간 감투가 있으며, 끝내 붓을 휘지 않고 초개처럼 목숨을 내던진 수많은 사관들의 붉은 자국이 선연히 남아 있다. 후세에 바른 역사를 전하기 위해 붓자루 하나에 목숨을 걸었던 조선의 사관들
국왕이 가장 겁냈던 사람은 사관이었다.사관은 보고 듣는 대로 기록하였다 사관 위로는 하늘뿐이었다. 호방한 태종은 사관을 싫어했다. 그렇지만, 사관들은 늘 태종의 뒤를 졸졸 쫓아다녔다. 어느날 역시 사관의 눈을 피해 사냥에 나섰던 태종은 노루를 쫓다가 그만 말에서 떨어졌다. 그의 첫마디는 "이 일을 사관이 알지 못하게 하라"였으나, 그 이야기까지 전해지고 말았다.
조선조의 국왕은 간관은 싫어하고, 사관은 겁냈다. 간관은 살아있을 때 듣기 싫은 소리를 하지만, 사관은 자신의 사후에 듣기 싫은 이야기를 기록하기 때문. 그래서 국왕과 사관 사이에 실랑이와 긴장관계가 끊이지 않았다. 사관들은 당대의 사초는 물론, 바로 선대왕의 실록도 국왕에게 보여주지 않았다. 세종대왕도 태조와 태종실록을 좀 보자고 했다가 변계량에게 점잖게 거부당했다. 사관들의 거부 이유는 분명하다. "국왕이 자꾸 보자고 하면, 역사를 똑바로 쓸 수 없다"는 것. 또 한 가지, 사관들이 가장 싫어한 것은 사관의 참석을 배제하는 이른바 '독대'였다.
▲ 조선시대 국왕이 겁냈던 사람은 사관이었다.ⓒ 2008 한국의산천
군왕이 싫어하는 자는 간관(諫官)이었고 군왕이 겁내는 자는 사관(史官)이었다. 간관은 서슴없이 면전에서 직간을 해대고, 품계가 보잘것 없는 사관은 항시 옆에 붙어서 역사의 붓 한자루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삼장(三長: 才·學·識)을 갖춘 지조있는 선비를 찾아라
사관의 붓은 엄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 추호도 개인 감정이 개입되서는 않된다. 사건을 호도하고 왜곡해서는 더더욱 안된다. 곡필을 배척하고 직필을 생명처럼 여겨야하는 역사의식을 지닌 자만이 사관의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전임사관은 7품이하의 봉교·대교·검열의 관직을 가진 보통 한림이라 불리던 자들이다. 한림은 과거 급제자 중에서 우수한자를 선발하며 젊은 패기가 있는 자들로 구성되었다. 그래야 때묻지 않은 곧은 절개를 지키며 과감하게 직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사관은 한림 8명과 겸사관 52명 등 총 60명 정도가 활약하고 있었다)
흐린 시대에 쓴 소리를 적은 사관 김일손은 고향인 청도에서 모친상을 당해 3년이 지나 상복을 벗자 지병인 풍병이 생겨 치유하다 의금부에 체포되어 가며 말하기를 "내가 잡혀가는 것이 사초(史草·실록의 기초기록) 때문이라면 반드시 큰 옥사(獄事)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하며 연산군에 의해 능지처참 당했다.
그리고 김일손의 핏줄은 폭군 연산의 거듭된 추적으로 완전히 끊어지고 말았다.(제일 아래 글 참고) 그에게 사초는 사관의 목숨을 걸고 후대에 전해야 할 진실이었다.영조때 사도세자를 왜 살리지 않았느냐고 호통친 사관 임덕제와 한림 윤숙 역시 귀향을 갔다.
대통령은 때를 잘 만나 운 좋으면 되지만
왕은 태어나며 원자때부터 엄격하고 명망있는 사부로부터 체계적으로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만들어진다.
국왕은 근신하기위해 스스로 반찬의 가짓수를 줄이기도 하였다. 가뭄이 들거나 홍수가 나서 농사 피해가 클 때도, 국왕은 명을 내려 반찬수도 줄였고, 간단하게 먹는 점심을 아예 없애기도 했다.
정조는 어려서부터 천성이 검소하여 기름진 음식이나 화사한 의복을 가까이 하지 않았고. 평상시 식사를 할 때에도 반찬이 세가지를 넘지 않았다고 한다.
겨울에는 곤룡포 이외에는 늘 입는것이 굵은 무명 베옷이라서 자주 만들었을 뿐 아니라 기워서 입기도 했다.[정조실록]
영조는 사도세자에게 이르기를..." 원손이 비록 소중하기는 하지만 백성이 있어야 임금 노릇을 할 수 있다. · · ·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군사(君師 : 왕이자 스승)가 백성의 재산을 빼앗거나 사랑하지 않는다면 나라가 반드시 망하는 법이다." 라고 백성이 소중하고 중요함을 가르쳤다.
군왕은 배이고
백성은 그 배를 띄우는 바다이다.
바다는 배를 띄워주기도 하지만 뒤 엎을 수도 있다. 그것이 백성의 마음이요 天理이다.
과거의 사실이 햇빛을 받으면 역사가 되고 달빛을 받으면 신화가 된다고 했다.
역사란 긴 세월에 걸쳐서 쌓여진 금맥(金脈)이다. 그 금맥은 미래를 내다볼수있는 황금사다리가 되어준다.
과거가 없는 현재가 없고 역사가 없는 미래를 생각 할수는 없다. 역사를 단순히 지나간 일로 치부할 때는 미래를 알수없다. 우리가 조상의 역사와 문화유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 후손에게 물려 줄때에 우리의 미래는 빛날것이다.
▲ 위의 책에서 보시다시피 정조와 세종, 실록위에는 사관(역사를 기록하는 사람)이 있다.ⓒ 2008 한국의산천
이제 모든 국민스스로가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올바른 사실을 적시 할 수 있는 사관이 되어야 한다.
왕이 나오는 연속극을 보노라면 왕아래 곁에서 아무런 말없이 고개를 숙이고 붓을 들고 글을 쓰는 사람이 있다. 그가 바로 사관이다.
사관의 역사는 중국에서 부터 시작되었고 고려시대에도 있었다. 사관은 국왕이 있는곳에는 항시 같이 있었다. 말 한마디 행동 하나 하나가 기록되고 있으니 국왕에게는 친숙하기보다는 지긋 지긋한 존재였는지도 모른다. 심지어 여자사관을 뽑아 잠자리가지 기록하자고 할 정도였으니...
조선시대 사관은 예문관 소속 8명의 전임사관이 있었고 이를 가르켜 한림이라 하였다. 그외 춘추관의 겸관들은 3정승을 비롯하여 52명쯤 된다. 그중에는 왕의 비서에 해당하는 6승지도 포함되어 있었은 그들은 왕의 측근으로 왕의 입과 혀가 아니었던가. 그래서 전임사관들이 입시하는 제도가 정착할때 까지는 군왕과 사관들간에 눈에 보이지 않는 혈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렇게 사관들이 모든 정사에 입시하게 된것은 사관을 비롯한 젊은 신진인사들의 부단한 노력의 결과였다.
세종시대에는 전 시대보다 사관의 입시에 관대한 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때론 신료 몇명만 만나도록 주선된 윤대에는 사관들의 입시를 거부했다. (윤대라는 제도는 아랫사람의 실정을 알아보기 위한 제도였다.)
보다못한 사간원에서는 직언을 했다.
" 옛적 각 나라가 사관을 두어 임금의 행동을 반드시 적고 그때의 사실을 기록하여 후세에 공도(公道)를 보였습니다. 지금 우리나라 윤대하는 법에 각 관청 4품이상을 매양 정부와 육조·대간이 조계한 뒤에 인견(人見) 독대하여 아랫사람들의 실정을 다 아뢰도록 하는데, 이것은 진실로 성대(盛代)의 아름다운 법입니다. 그러나 사관이 참여하지 못하니, 그 아름다운 말씀과 착한 행실을 어떻게 후세에 전하겠습니까. 전하께서 이제부터 윤대할 때에도 사관도 참여하도록 하시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세종은 꿈적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세종은 말년에 독대와 비밀회의를 많이 즐긴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원로대신들이던 영의정 황희, 우의정 하연, 우찬성 김종서, 우참찬 정분 등을 불러 비밀리에 만나는 일이 잦았고 그대마다 사관들은 그 자리에 입시하기 위해 별의 별 수단을 다 동원했지만, 세종은 그 자리를 피해달라고 노골적으로 요구하기도 했다.
그래도 그 상황에서 당시 실록은 그 상황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근래에 무릇 일을 의논할 때는 남들이 듣지 않게 하려고, 반드시 먼저 사관을 물리치는데, 사관또한 물러날 뿐이고 감히 말한마디도 못하게 되었다."
참고 : 죽음으로 지킨 '조의제문' ( 참고: 조의제문 전문보기 >>> http://blog.daum.net/koreasan/13862336 )
연산군 때의 사관 김일손(金馹孫)은 사림 영수 김종직의 제자였다. 그는 이미 죽은 스승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성종실록에 실으려다가 화를 입게 된다.
항우에게 죽임을 당한 의제를 단종에 비유하고 수양대군을 항우에 비유한 '조의제문'은 "신하(수양대군)가 임금(단종)을 찬시(簒弑·자리를 빼앗고 죽임)했다"는 기록을 후대에 남기기 위한 것이었다. 그래서 김일손은 '조의제문'에 "충분(忠憤)이 깃들어 있다"고 덧붙였는데, 이것이 유자광 같은 훈구 공신들에게 간파되면서 무오사화가 발생한다.
사화(士禍)는 '선비가 화를 입었다'는 뜻이지만 무오사화를 사화(史禍)라고도 쓰는 이유는 김일손·권경유·권오복 같은 사관들이 사지가 찢겨 죽는 능지처참을 당했기 때문이다.
경상도 청도군에서 지병인 풍병을 치유하다 의금부에 체포된 김일손은 "내가 잡혀가는 것이 사초(史草·실록의 기초기록) 때문이라면 반드시 큰 옥사(獄事)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에게 사초는 사관의 목숨을 걸고 후대에 전해야 할 진실이었다. 김일손의 핏줄은 폭군 연산의 거듭된 추적으로 완전히 끊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그가 자식보다 소중하게 전하고자 했던 '조의제문'은 '연산군일기'에 그의 국문 기록으로 고스란히 남았다.
어머니 윤씨가 서인으로 폐비당하고 사약을 받고 죽어가는 모습을 본 후 황폐한 삶을 살아가며 무소불위의 폭군정치를 했던 연산군은 말했다.
"내가 두려운것은 오직 사서(史書)뿐이다"
중종이 원자에게 주는 계잠(戒箴:훈계의 글)
1. 일찍 일어나고 밤이 되면 잠을 자되 학문에 힘쓰기를 게을리 하지 말라
1. 스승을 존대하고 道를 즐기며 善을 좋아하고 仁에 힘쓰라
1. 聲色을 가까이 하지 말고 재물을 늘리려 하지 말라
1. 禮가 아닌것은 보지 말고 듣지도 말며, 예가 아닌것은 말을 하디 말고 예가 아닌 행동을 하지 말라
1. 소인을 멀리하고 난잡한 놀이를 좋아하지 말라
1. 뜻은 고상하고 원대하게 세우되 金石처럼 굳게하라
1. 임금에게 충성하고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되, 날마다 문안하고 수시로 음식을 보살펴라
1. 사벽(邪僻)한 행동을 버리기에 힘쓰고 이단을 숭상하지 말라
1. 사사로운 욕심에 가리우지말고 착하고 공정한 마음을 보존하라
1. 환관의 말을 듣지말고 행동의 처음과 끝을 조심하라.
연보: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태조 1335~1408 재위년 1392~1398
정종 1357~1419 재위년 1398~1400
태종 1367~1422 재위년 1400~1418
세종 1397~1450 재위년 1418~1450
문종 1414~1452 재위년 1450~1452
단종 1441~1457 재위년 1452~1455
세조 1417~1468 재위년 1455~1468
예종 1450~1469 재위년 1468~1469
성종 1457~1494 재위년 1469~1494
연산군 1476~1506 재위년 1494~1506
중종 1488~1544 재위년 1506~1544
인종 1515~1545 재위년 1544~1545
명종 1534~1567 재위년 1545~1567
선조 1552~1608 재위년 1567~1608
광해군 1575~1641 재위년 1608~1623
인조 1595~1649 재위년 1623~1649
효종 1619~1659 재위년 1649~1659
현종 1641~1674 재위년 1660~1674
숙종 1661~1720 재위년 1674~1720
경종 1688~1724 재위년 1720~1724
영조 1694~1776 재위년 1724~1776
정조 1752~1800 재위년 1777~1800
순조 1790~1834 재위년 1800~1834
헌종 1827~1849 재위년 1834~1849
철종 1831~1863 재위년 1849~1863
고종 1852~1919 재위년 1863~1907
순종 1874~1926 재위년 1907~1910
조선 주요연보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1394년 10월 한양천도(漢陽遷都)
1398년 8월 제1차 왕자의 난 일어남, 정도전, 남은 등 죽임을 당함
1398년 (태조 7)년 9월 태조, 방과(芳果)에게 왕위를 물려줌(定宗)
1400년 (정종 2)년 1월, 제2차 왕자의 난 발생
1400년 11월 정종, 방원(芳遠)에게 왕위를 물려줌(太宗)
1401년 (태종 1)년 7월 신문고(申聞鼓)설치
1406년 (태종 6)년 3월 선교양종이 사사(寺社) 242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없앰. 사찰의 토지와 노비를 제한하고, 나머지는 몰수함.
1414년 (태종 14)년 경기좌우도를 경기도로 개편 : 전국 8도 체제가 완성됨.
1416년 (태종 16)년 8월 승려들에게 도첩을 지급함 : (度牒制)
1420년 (세종 2)년 3월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함
1425년 (세종 7)년 2월 처음으로 동전을 사용
1425년 4월 저화 사용을 금지하고 동전만 사용하도록 함
1429년 (세종11)년 정초(鄭招), '농사직설(農事直說)'을 편찬함
1434년 (세종 16)년 6월 장영실(蔣渶實), 자격루(自擊漏 : 물시계. 시간이 되면 종을 침)를 만듦. 이 해, 동북면에 6진(六鎭) 설치
1443년 (세종 25)년 2월 계해조약(癸亥條約)체결 : 통신사(通信使)가 쓰시마 도주와 세견선(歲遣船) 50척으로 정함.
1443년 12월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1445년 (세종 27)년 4월 정인지(鄭麟趾), 권제(權踶) 등,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0권을 편찬하여 올림.
1446년 (세종 28)년 9월 훈민정음 반포
1447년 (세종 29)년 7월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완성.이해 안견(安堅)이 '몽유도원도' 그림.
1452년 (문종 2)년 2월 김종서 등 '고려사절요' 편찬 : 연대순으로 정리한 고려 역사책. 5월 단종(端宗) 즉위.
1455년 (단종 3)년 윤6월 단종, 수양대군(世祖)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上王)이 됨.
1456년 (세조 2)년 6월 성삼문, 박팽년 등이 상왕의 복위를 도모하다 처형됨(死六臣).
1457년 (세조 3)년 6월,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하여 영월에 유배, 10월 영월에서 노산군(단종)사망.
1463년 (세조 9)년 11월 홍문관(弘文館) 설치.
1467년 (세조 13)년 5월 이시애의 난(李施愛亂) 발생.
1468년 (세조 14)년 10월 남이(南怡), 반역죄로 처형됨.
1470년 (성종 1)년 11월 '경국대전(經國大典)' 교정(校訂) 완성됨.
1478년 (성종 9)년 12월 서거정(徐居正), '동문선(東文選)'을 편찬함.
1482년 (성종 13)년 8월 폐비 윤씨(廢妃 尹氏)에게 사약을 내림.
1498년 (연산군 4)년 7월 무오사화(戊午士禍) 발생, 10월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모아 불태움.
1504년 (연산군 10)년 10월 갑자사화(甲子士禍) 발생.
1506년 (연산군 12)년 9월 중종 반정 : 박원종(朴元宗) 등, 왕을 폐하고(晋城大君)을 왕으로 옹립(中宗). 폐왕을 연산군(燕山君)에 봉함.
1510년 (중종 5)년 4월 삼포왜란(三浦倭亂) 발생.
1512년 (중종 7)년 8월 임신조약(壬申條約) 체결.
1517년 (중종 12)년 6월 축성사(築城司)를 비변사(備邊司)로 개칭.
1517년 12월 기묘사화(己卯士禍) 발생
1519년 (중종 14)년 4월 조광조의 건의에 따라 현량과(賢良科) 실시.
1522년 (중종 17)년 12월 소격서(昭格署)를 설치 : 도교 의식에 따라 하늘에 제사지내는 기관 조광조 등이 소격서는 이단이며, 하늘에 지내는 제사는 천자만 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1518년 폐지. 이때 부활되었다가 선조대에 다시 폐지됨.
1530년 (중종 25)년 8월 이행(李荇),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편찬 : 조선 전기 지리지의 완성본. 백과 사전식으로 지방의 정치,경제,역사,행정,사회,민속,인물 등을 기록했고, 각 도의 지도도 수록함.
1539년 (중종 34)년 4월 영조문(迎詔門)을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 : 명나라 사신이 머무는 모화관(慕華館) 앞의 문 이름을 명나라가 영은문으로 바꿀 것을 요구. 1896년 사대의 상징이라 하여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움.
1543년 (중종 38)년.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백운동 서원 건립 : 서원(書院)의 시초.
1545년 (인종 1)년 8월 을사사화(乙巳士禍) 발생.
1547년 (명종 2)년 2월 정미약조(丁未約條) 체결.
1550년 (명조 5)년 2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따라 백운동 서원에 소수서원(紹修書院)의 편액이 하사됨
1555년 (명종 10)년 5월 을묘왜변(乙卯倭變) 일어남.
1559년 (명종 14)년 3월 임꺽정의 난(林巨正亂) 발생.
1572년 (선조 5)년 이이와 성흔(成渾) 사이에 사단 칠정(四端七情)에 관한 서신 왕래가 시작됨(-1578)
1575년 (선조 8)년 7월 동서분당(東西分黨).
1580년 (선조 13)년 정철(鄭澈),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지음.
1589년 (선조 22)년 10월 정여립 모반 사건(鄭汝立謀反事件) 발생.
1590년 (선조 23)년 3월 황윤길(黃允吉), 김성일(金誠一)을 일본에 통신사로 파견. 이 무렵, 동인이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으로 나뉨.
1592년 (선조 25)년 4.13일 임진왜란 발발
1592년 4.30일 선조, 한성을 떠나 피난길에 오름.
1592년 5.29일 사천 해전에서 거북선을 처음으로 사용.
1592년 7월 말 곽재우(郭再祐)가 경상도 의령, 현풍, 영산 등지에서 왜군 격파.
1592년 8월 금산 전투에서 조헌과 영규의 의병 전산(七百義塚).
1592년 10월 진주대첩(晉州大捷).
1592년 6월 일본군, 진주성 공격, 논개(論介) 사망.
1593년 (선조 26)년 2월 행주대첩(幸州大捷) : 함경,평안도의 일본군, 한성으로 퇴각.
1594년 (선조 27)년 2월 훈련도감(訓練都監) 설치.
1597년 (선조 30)년 1월 정유재란(丁酉再亂) 발발.
1598년 (선조 31)년 11월 노량 해전 : 이순신 함대, 일본 수군을 대파시킴. 이순신(李舜臣) 전사.
1605년 (선조 38)년 4월 유정(惟政), 일본에서 포로 3000여 명을 데리고 돌아옴.
1607년 (선조 40)년 이 해 허균(許筠)이 '홍길동전'을 지음.
1608년 (선조 41)년 2월 광해군(光海君) 즉위. 이 해 경기도에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함.
1610년 (광해군 2)년 8월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완성함.
1618년 (광해군 10)년 1월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西宮)이라 칭함.
1619년 (광해군 11)년 3월 명에 보낸 원군 패배, 도원수 강홍립(姜弘立)은 금에 항복.
1623년 (광해군 15)년 3월 인조 반정 발생 : 이귀(李貴)를 비롯한 서인이 광해군(光海君)을 쫓아내고 인조(仁祖)를 추대함.
1626년 12월 병자호란(丙子胡亂) 발발.
1627년 (인조 5)년 1월 정묘호란(丁卯胡亂) 일어남.
1636년 (인조 14)년 2월 후금이 보낸 국서를 받지 않고 거절함.
1652년 (효종 5)년 이 해, 효종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이 본격적으로 추진됨.
1653년 (효종 4)년 8월 네덜란드인 하멜(Hamel, H) 일행의 제주도 표착이 보고됨 : 1666년 탈출하여 『하멜표류기』를 씀.
1654년 (효종 5)년 3월 제1차 나선정벌(羅禪征伐).
1659년 (효종 10)년 5월 제1차 예송논쟁(禮訟論爭).
1674년 (현종 15)년 2월 제2차 예송논쟁(禮訟論爭).
1680년 (숙종 6)년 4월 경신환국(庚申換局) : 남인이 쫓겨나고 서인이 정권을 장악.
1683년 (숙종 9)년 4월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나뉨.
1689년 1689(숙종 15)년 2월 기사환국(己巳換局) : 세자책봉문제로 노론 실각, 남인 집권.
1689년 6월 송시열(宋時烈), 사약을 받음.
1693년 (숙종 19)년 이 해 안용복(安龍福)이 독도에서 일본인을 쫓아 내고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일본에 확인시킴.
1694년 (숙종 20)년 3월 갑술옥사(甲戌獄事) : 노론이 정권을 잡고 남인은 몰락함.
1701년 (숙종 27)년 10월 장희빈(張禧嬪), 사약을 받음.
1712년 (숙종 38)년 5월 백두산 정계비(白頭山定界碑)를 세움.
1725년 (영조 1)년 1월 탕평책 실시
1728년 (영조 4)년 3월 이인좌의 난(李麟佐亂) 발생.
1741년 (영조 17)년 9월 난전(亂廛)을 엄히 금지함.
1750년 (영조 26)년 7월 균역법(均役法) 실시함.
1760년 (영조 36)년 6월 '일성록(日省錄)' 기록 시작(-1910) : 국왕의 언행과 정사를 기록한 책. 세손인 정조가 일기를 쓰면서 시작. 정조 즉위후 정부의 공식문서로 기록됨.
1762년 (영조 38)년 윤5월 사도세자(思悼世子), 뒤주 속에 갇혀 죽음.
1770년 (영조 46)년 8월 '동국문헌비고' 완성 : 정치, 경제, 문화 등 각종 제도와 문물을 분류하여 설명한 책.
1776년 (영조 52)년 3월 정조(正祖)즉위.
1776년 7월 홍국영(洪國禜), 도승지로서 세도를 부림.
1776년 9월 규장각(奎章閣) 설치.
1783년 (정조 7)년. 이 무렵. 박지원(朴趾源)이 '열하일기(熱河日記)'를 지음.
1790년 (정조 14)년. 안정복(安鼎福),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지음
1791년 (정조 15)년 2월, 신해통공(辛亥通共) : 금난전권을 폐지함.
1797년 (정조 21)년 이긍익(李肯翊,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편찬 : 조선태조부터 숙종대까지의 야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역사책.
1801년 (순조 1)년 9월 황사영 백서 사건(黃嗣永 帛書 事件) 일어남.
1805년 (순조 5)년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勢道政治) 시작.
1811년 (순조 12)년 12월 평안도 농민전쟁(平安道 農民戰爭) 일어남.
1814년 (순조 13)년 제주도에서 민란 일어남.
1817년 (순조 17)년 김정희,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힘.
1831년 (순조 31)년 9월 로마 교황청이 천주교 조선 교구를 설치함.
1840년 (헌종 6)년 12월 왕대비, 수렴청정을 거둠. 풍양 조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됨.
1846년 (헌종 12)년 7월 김대건(金大建), 순교함.
1848년 (헌종 14)년 이양선(異樣船)이 경상, 전라, 황해, 강원, 함경 등지에 계속 나타남.
1861년 (철종 12)년 김정호(金正浩),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간행함.
1862년 (철종 13)년 2월 진주 민란 일어남.
1863년 (철종 14)년 11월 동학교주 최제우(崔濟愚) 체포됨.
1863년 12월 고종(高宗)즉위 :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정권을 장악.
1864년 (고종 1)년 3월 동학교주 최제우(崔濟愚), 대구에서 사형당함.
1864년 4월 서원, 향현사(鄕賢祠) 등에 토지와 재산을 보고하도록 명령 : 대원군의 서원 철폐 정책 시작.
1865년 (고종 2)년 4월 경복궁 중건(景福宮重建)을 지시.
1866년 (고종 3)년 1월 병인박해 시작(-3월) : 남종삼(南鐘三) 등 천주교 신자 몇천명과 프랑스인 베르뉘를 비롯한 9명의 선교사를 처형하고 천주교 서적과 판목(版木)을 불태움.
1866년 3월 민치록(憫致祿)의 딸을 왕비로 정함(憫妃).
1866년 7월 제너럴 셔먼호 사건(General Sherman) 발생.
1866년 9월 병인양요(丙寅洋擾) 발생.
1866년 7월 고종, 경복궁으로 옮김.
1868년 (고종 5)년 4월 남연군묘(南延君墓) 도굴 사건 발생.
1871년 (고종 8)년 신미양요(辛未洋擾) 발생.
1873년 (고종 10)년 최익현, 대원군을 탄핵한 뒤 제주도에 유배됨. 고종, 친정(親政)을 선포. 민씨 일파의 세도 정치 시작됨.
1875년 (고종 12)년 운양호사건 발생.
1876년 (고종 13)년 1.17-19 강화에서 조일 수호 회담 열림.
1876년 4. 4 일본에 수신사(修信使) 파견 : 김기수를 단장으로 76명이 일본의 관청과 공장을 비롯한 문물을 시찰.
1879년 (고종 16)년 12월, 지석영(池錫永)이 충주 덕산에서 처음으로 40여명에게 종두법 실시.
1880년 (고종 17)년 8.28 김홍집(金弘集) 청의 황준헌이 저술한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을 왕에게 바침. 이 해 최시형의 '동경대전(東經大全)'이 간행됨.
1881년 (고종 18)년 4.10 신사유람담(紳士遊覽團) 파견.
1881년 6월 최시형 '용담유사(龍潭遺詞)'간행.
1882년 (고종 19)년 4.6 조.미 수호통상조약 조언.
1882년 6.9 임오군란(壬午軍亂) 발생.
1882년 7.17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체결됨.
1882년 8.1 민비 환궁.
1882년 8월 박영효가 일본으로 가는 배 안에서 태극기 고안(1883.1.27, 국기로 공식인정)
1882년 10월 조.중 상민수륙무역장정(朝中商民水陸貿易章程) 조인.
1882년 12.5 독일인으로 텐진 주재 독일 영사를 지낸 묄렌도르프(Mollendorff. P.G.von)를 외교 및 재정 고문으로 초빙.
1883년 (고종 20)년 10.1 박문국, 한성순보(漢城旬報) 발간.
1884년 (고종 21)년 10.7 갑신정변(甲申政變) 발발.
1884년 10.24 김옥균을 비롯한 갑신정변 주모자들이 일본으로 망명.
1885년 (고종 22)년 2.19 미국 선교 의사 알렌(Alen. H.N.)세브란스 병원의 전신인 광혜원(廣惠院)설립.
1885년 3.1 거문도 사건(巨文島事件) 발발.
1885년 8.3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Appenxeller, H.G)가 최초의 근대식 중고등 교육 기관인 배재학당 설립.
1886년 (고종 23)년 4.28 이화학당(梨花學堂) 설립.
1889년 (고종 26)년 9.14 함경도 감사 조병식(趙秉式)이 함경도에 방곡령(防穀令) 실시.
1892년 (고종 29)년 11.1 동학교도 삼례 집회(參禮集會)를 개최.
1893년 (고종 30)년 3.11 동학교도 보은 집회(報恩集會)를 개최.
1894년 (고종 31)년 1.10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발발. 고부관아 점령.
1894년 3.21 농민군, 고부 백산에서 봉기.
1894년 4.6-7 농민군, 황토현에서 관군과 보부상의 연합부대를 물리침.
1894년 6.8-9 일본측, 조선에 내정 개혁 강요.
1894년 6.25 갑오개혁(甲午改革) 시작.
1894년 6-7월 농민군 집강소(執綱所)를 설치하고 폐정 개혁안(廢政改革案)을 실시.
1894년 9.13 농민군 2차 봉기(農民軍二次蜂起).
1894년 11.28 전봉준(全琫準), 전라도 순창에서 체포됨.
1895년 (고종 32)년 4.1 유길준(兪吉濬), '서유견문록(西遊見聞)'간행.
1895년 8.20 을미사변(乙未事變) : 명성황후(明星皇后) 죽음.
1895년 11.15 단발령(斷髮令)을 내림.
1896년 (고종 33)년 1월 각지에서 을미의병(乙未義兵) 봉기.
1896년 2.11 아관파천(俄館播遷) 발생.
1896년 4.7 독립신문(獨立新聞) 창간 : 발행인 서재필(徐載弼).
1897년 (고종 34)년 8.14 연호 광무(光武)로 고침.
1897년 10.11 국호를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결정.
1897년 12.24 손병희 동학 3대 교주가 됨.
1898년 (고종 35)년 2.22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죽음
1898년 3.10 독립협회, 서울 종로에서 대중정치 집회인 만민 공동회 개최 : 열강의 이권침탈 철회를 주장.
1898년 4.9 배재 학당 협성회가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
1898년 5.29 서울 종현(鐘峴) 성당(현재의 명동 성당)준공.
1898년 9.5 장지연, 남구억이 <황성신문>을 발행.
1898년 10.29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개최 : ‘헌의 6조(獻議六條)’를 올림.
1898년 11.4 정부, 독립협회의 해산과 주요 인물 검거를 명령함.
1898년 12.25 정부, 군대를 동원하여 만민 공동회(萬民共同會)를 해산.
1899년 (고종 36)년 12.4 <독립신문> 폐간.
1901년 (고종 38)년 5.28 제주도 대정군에서 이재수의 난(李在守亂) 발생.
1901년 8월 국가(國歌) 재정 : 독일인 에케르트 작곡.
1901년 11.16 목포 부두 노동자 동맹 파업.
1903년 (고종 40)년 5.25 용암포 사건(龍巖浦事件) 발생.
1904년 (고종 41)년 2.23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체결.
1904년 9월 송병준의 일진회와 이용구의 진보회가 일진회(一進會)로 통합됨.
1905년 (고종 42)년 7.29 가쓰라.태프트 밀약 성립.
1905년 8.12 제2차 영일동맹
1905년 9.5 포츠머드 강화 조약
1905년 11.17 을사조약(乙巳條約) 체결.
1905년 11.20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1905년 11.30 시종무관장 민영환,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자결.
1906년 (고종 43)년 2.1 일제에 의한 통감부(統監府) 설치.
1906년 7.22 이인직(李人稙), 신소설 '혈의 누'를 만세보에 연재하기 시작 : 최초의 신소설. 일본 작품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음.
1907년 (고종 44)년 1.29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시작됨.
1907년 4월 고종, 헤이그 밀사 파견.
1907년 7.16 이완용, 송병준이 헤이그 밀사 파견을 이유로 고종에게 퇴위를 강요.
1907년 7.20 순종(純宗) 즉위.
1907년 7.24 한일 신협약(韓日新協約) : 정미7조약 체결
1907년 8월 전국 각지에서 항일의병봉기 : 정미의병(丁未義兵).
1907년 11.29 신민회(新民會) 설립.
1907년 12.6 13도 창의군(十三道倡義軍) 결성.
1908년 (고종 45)년 3.23 전명운, 장인환 스트븐스 저격.
1908년 11.1 최남선, 최초의 월간 종합지 '소년' 창간 :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발표.
1908년 12.28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
1909년 (고종 46)년 10.26 안중근(安重根) 이토 히로부미 사살.
1910년 (고종 47)년 4.15. 주시경(周時經) '국어문법'간행.
1910년 4월 이시영, 이동녕, 양기탁이 서간도 요령성 삼원보에 독립 운동을 위한 자치 기관인 경학사(耕學社)와 군사교육기관 신흥강습소 설치.
1910년 8.29 한일 합병조약 공포됨. 총리대신 이완용이 통감 테라우치 마사타케와 한국 통치권을 일본 왕에게 양도하는 문서에 서명함.
1910년 9.10 황현(黃玹) 자결함.
1910년 9.1 <황성신문>, <대한민보> 폐간됨. : <대한매일신보>는 <매일신보>로 고쳐 총독부 기관지로 삼음.
.
중략
.
2008년 2.10. 숭례문 화재 소실 (부동산 토지보상에 불만을 품은 한 백성이 저지른 화재)
불은 2월10일 오후 8시 40~50분 사이에 발생 10일 자정쯤 건물 천장에서 화염이 치솟았고, 11일 오전 1시경 2층 누각이 붕괴되기 시작했다. 불이 난지 5시간 뒤인 오전 1시50분부터 석반을 제외한 2층 누각 전체와 1층 누각 대부분이 무너졌다.
'숭례문'이란 이름은 조선의 개국 공신 정도전(鄭道傳)이 지었다. 인의예지(仁義禮智)를 따서 동대문은 흥인문(興仁門), 서대문은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은 숭례문(崇禮門)이라고 지은 것이다.
정조 관련 글
사도세자(장헌세자 장조)의 고백>>>>> http://blog.daum.net/koreasan/13737026
정조이산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http://blog.daum.net/koreasan/13691642
수원 지지대와 정조 이산의 효심 >>>>> http://blog.daum.net/koreasan/13675557
한중록 한듕록 읍혈록 혜경궁 홍씨 >>>>http://blog.daum.net/koreasan/14028037
정조이산 홍국영과 장태우 >>>>>>>>> http://blog.daum.net/koreasan/14266198
사당 경모궁 함춘원지 돌아보기 >>>>>>http://blog.daum.net/koreasan/14043881
한림(翰林)과 사관(史官)이란? >>>>>>http://blog.daum.net/koreasan/13886930
ⓒ 2008 한국의산천
참고 관련서적
사관위에는 하늘이 있소이다[가람 박홍갑]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박광용]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해냄 이한우]
조선의 왕세자 교육[김영사 김문식 김정호]
한중록 [청목사刊 엮은이 박동우]
한중록 [일신서적刊 엮은이 남용]
사도세자의 고백 [이덕일 著]
조선왕조실록 [들녘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이야기 조선 왕조사 [청아 출판사 이근호]
조선왕조사 [수막새 刊 김경수 ]
조선통사 1, 2권 [오월]
'문화문학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 (0) | 2010.01.22 |
---|---|
영조 정조의 새해맞이 (0) | 2010.01.21 |
2010 신춘문예 당선 詩모음 (0) | 2010.01.10 |
눈물 한 방울로 사랑은 시작되고 (0) | 2010.01.08 |
Spring summer winter and fall (0) | 201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