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MTB등산여행

수덕사

by 한국의산천 2007. 1. 28.

경허와 만공의 설법으로 가득한 예산 수덕사     

답사 [2007. 1. 28.   한국의산천  우관동]

 

서울 상암 경기장 - 서부간선도로 - 서해안 고속도로 - 해미 IC - 덕산터널 - 수덕사 - 한국 고건축 박물관 (편도 거리 112km, 2시간 소요)

 

고속도로 통행료 5,200원(편도)

수덕사 주차료 2,000원

수덕사 문화재 관람료 1인 2,000원(성인)

한국 고건축 박물관 입장료 1인 2,000원 

 

 ▲  해미IC에서 덕산 터널로 진입 중(오전 8시) ⓒ 2007.  한국의산천         

 

 ▲  덕숭산 안내도 ⓒ 2007.  한국의산천         

 

 

  ▲  수덕사 진입로 ⓒ 2007.  한국의산천         

 

'수덕사의 여승'이란 가요나 일제시대 신여성으로 유명했다가 출가한 일엽(一葉)스님 때문인지 일반인들에게 수덕사는 비구니의 절이라는 이미지를 풍긴다. 게다가 일주문 바로 옆에 있는 ‘수덕여관’은 자신을 버리고 제자와 프랑스로 떠난 이응노 화백을 그리며 수절한 본부인의 애틋한 사연마저 담고 있지 않은가.(수석여관은 현재 완전 해체하여 재 건축 중임)


그러나 수덕사는 5대 총림의 하나일 뿐 아니라 근세 불교의 선맥을 다시 이은 경허스님과 그 제자 만공스님이 주석했던 ‘선지종찰(禪之宗刹)’로 우리나라 근세 선불교의 고향과 같은 곳이다.

 
현재 우리 나라 2천 수백여 조계종 사찰 중 총림으로 지정된 곳은 수덕사의 덕숭총림, 해인사 가야총림, 통도사 영축총림, 송광사 조계총림, 백양사 고불총림 5곳뿐이다.
총림이 되기 위해서는 승려들의 참선 수행 전문 도량인 선원과 경전 교육 기관인 강원, 그리고 계율 전문 교육기관인 율원 및 염불 교육 기관인 염불원을 갖추어야 하며 총림의 어른이신 방장 스님이 계셔야 한다. 

 

경허의 선풍(禪風)이 아니었다면 어떻게 우리의 불교가 다시 명맥을 이을 수 있었을까. 그래서 수덕사 위쪽에 있는 암자인 금선대는 경허스님과 세 달로 불리는 제자인 만공·수월·혜월 스님의 진영(眞影)을 모시고 있다.  


전국 어느 사찰보다 활달하고 걸림없는 가풍을 지닌 덕숭총림 수덕사는 경허와 만공의 법맥을 잇는 덕숭문중을 이루며 범어문중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의 양대 맥을 형성하고 있는 당당한 선의 종가이다.(경향신문 발췌)

 

 

 

 ▲  수덕사 일주문과 매표소 ⓒ 2007.  한국의산천         

 

수덕사(修德寺)는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덕숭산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비교적 규모가 큰 절로 공주의 동학사, 청도의 운문사와 더불어 3대 비구니 도량으로 꼽힐 만큼 유명한 비구니 사찰이다.
백제 법왕 원년(599년)에 창건된 고찰(古刹)로 대웅전이 유명한 사찰이다. 수덕사의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에 지어진 건물로 국보 제49호이다. 


수덕사 대웅전은 현존하는 건물중 안동 봉정사의 극락전,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에 이어 세 번째로 오래된 목조건물이다. 규모면에서는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비슷해 보인다. 앞의 두 건물보다 크다. 이렇듯 규모도 큰 건물이 특이하게 팔작지붕이 아니고 맞배지붕 건물인 것이 특이하게 느껴진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이 팔작지붕의 효시라고 하니 아마 당시에는 대부분의 건물이 크기에 관계없이 맞배지붕이었을 것이다. 맞배지붕이라 고운 처마의 선이나 의젓함을 느낄 수 는 없고, 대신 단정하고 견고한 느낌을 준다. 또 전혀 단청을 입히지 않아 고풍스런 원목의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  수덕사 사천왕문 ⓒ 2007.  한국의산천

 

수덕사
수덕사는 사기(寺記)에 따르면 백제 말 숭제(崇濟)가 창건하고, 제30대 왕 무왕(武王) 때 혜현(惠顯)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강설하여 이름이 높았으며, 고려 제31대 왕 공민왕 때 나옹(懶翁:혜근)이 중수하였다. 일설에는 599년(신라 진평왕 21)에 지명(智命)이 창건하고 원효(元曉)가 중수하였다고도 전한다. 조선시대 제26대 왕 고종(高宗) 2년(1865)에 만공(滿空)이 중창한 후로 선종(禪宗) 유일의 근본도량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수덕사 대웅전 옆 길 1,020계단을 따라 미륵불입상(彌勒佛立像)·만공탑, 금선대(金仙臺), 진영각(眞影閣) 등이 있고, 그 위에 만공이 참선도량으로 세운 정혜사(定慧寺)가 있다.

 

부속 암자로 비구니들의 참선도량인 견성암(見性庵)과 비구니 김일엽(金一葉)이 기거했던 환희대(歡喜臺)가 있으며, 선수암(善修庵)·극락암 등이 주변에 산재해 있다. 특히 견성암에는 비구니들이 참선 정진하는 덕숭총림(德崇叢林)이 설립되어 있다.


주요문화재로 국보 제49호인 수덕사 대웅전은 국보 제18호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과 함께 현존하는 한국 최고(最古)의 목조건물이다. 이 밖에 대웅전 양 옆에 승려들의 수도장인 백련당(白蓮堂)과 청련당(靑蓮堂)이 있고, 앞에는 조인정사(祖印精舍)와 3층석탑이 있다.        

  

  ⓒ 2007.  한국의산천         

 

  ⓒ 2007.  한국의산천  

       

 ⓒ 2007.  한국의산천         

 

 ▲  덕숭산을 하산할 즈음 많은 관람객이 입장한다. ⓒ 2007.  한국의산천         

 

   ▲ 성보 박물관  ⓒ 2007.  한국의산천         

 

대웅전 앞에는 1990년 황하정루라는 큰 건물을 새로 지어 성보박물관(정확히 근역 성보관이란 이름으로 불린다)으로 쓰고 있다. 수덕사 대웅전 안의 괘불(의식용 불화)은 보물 제1263호이다. 

 

 ▲  수덕사 대웅전 전경 ⓒ 2007.  한국의산천         

 

 ▲  성보 박물관 지붕 ⓒ 2007.  한국의산천         

 

 ▲ 국보 제 49호 수덕사 대웅전  ⓒ 2007.  한국의산천         

 

목조건물 정면 3칸 측면 4칸. (1308 고려 충렬왕 34년) 

 

백제시대의 사찰인 수덕사 창건에 관한 문헌은 자세히 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나 하계에서는 대체적으로 백제 위덕왕(594~597년) 재위시에 창건된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가, 아미타, 약사 삼존불을 모신 대웅전은 1937년 수리 공사 때 발견된 묵서의 내용으로 보아 1308(충렬왕 34년) 건립되었다.

건축은 고려시대 유행한 주심포 양식이고,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이다. 기단에 사각형의 주춧돌을 놓았고 그위에 기둥을 세울 곳을 북돋아 조각한되 배흘림 기둥을 세웠다.

 

외부에 노출된 가구(架構)는 나무가 간직하고 있는 오랜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며 측면 맞배지붕의 선과 노출된 목부재의 구도는 아름다움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건축된 연대가 확실하고 조형미가 뛰어난 점으로 한국 목조건축물의 중요한 건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2007.  한국의산천         

 

 ▲  천정의 아름다운 공포와 배흘림 기둥ⓒ 2007.  한국의산천         

 

 ▲  단청이 없는 원목 그대로의 대웅전 처마 ⓒ 2007.  한국의산천   

      

 ▲ 오랜 세월의 풍상으로 조각한 예술품 대웅전 배흘림 기둥과 천정을 받치는 예술적인 공포( 栱包 )ⓒ 2007.  한국의산천          

 

 ▲ 오랜 세월의 풍상으로 조각한 예술품 대웅전 배흘림 기둥ⓒ 2007.  한국의산천  

지붕을 받치는 아름다운 조각물 공포.

 

공포( 栱包 )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짠 구조, 공포(包)는 기둥 위에도 있고 처마 아래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다       

 

 ▲ 예산 수덕사 대웅전의 '공포(栱包)' 축소 모형 ⓒ 2007.  한국의산천  

예산 수덕사에서 3.3km 떨어진 한국 고건축 박물관에서 촬영.  

 

 ▲  대웅전 옆 정혜사로 오르는 길에서 ⓒ 2007.  한국의산천  

       

 ▲ 정혜사로 오르는 길 ⓒ 2007.  한국의산천          

 

 ▲ 향운각의 관세음 보살 입상ⓒ 2007.  한국의산천 

정혜사로 오르는 도중 향운각에 있는 관세음보살입상.1924년 만공스님께서 조성 봉안 했다는 안내문이 있다.       

   

 ▲ 만공탑 ⓒ 2007.  한국의산천         

 

경허와 만공의 설법으로 가득한 수덕사

 

경허스님의 세 제자와 화광동진(化光同塵)
경허스님의 제자는 흔히 ‘세 달(三月)과 말없는 학’이라고 불리는 수월·혜월·만공 스님과 말년의 제자 한암스님이다. 수월스님(水月, 1855~1928)은 1883년 천장암으로 경허스님을 찾아가 허드렛일을 하면서 제자의 인연을 맺었다. 짚신 삼는 걸 즐겼던 경허스님으로부터 그 기술을 배워 훗날 북간도로 떠나 북녘을 밝히는 경허의 상현달로 일컬어진다. 수월은 백두산 골짜기에 움막을 짓고 짚신을 삼아 오가는 나그네들에게 밥을 해먹이고 짚신을 주어 보내는 무주상보시를 한 것으로 유명한데, 송광사 조실이 된 효봉스님은 한때 수월스님을 찾아가 함께 짚신을 신고 밥을 하면서 약 1년간 말없는 가르침을 전해받았다.
‘남녘의 하현달’ 혜월 스님은 크게 깨닫고 법인가를 받기 위해 해미 개심사에 주석하고 있던 경허스님을 찾아갔다. 법인가를 받은 후 혜월은 주로 남쪽인 통도사·내원사·범어사·선암사에 주석하면서 아이같은 ‘천진불’로 불리며 크게 선풍을 떨쳤다. ‘중천의 보름달’ 만공은 주로 수덕사에, 말없는 학 한암은 주로 오대산 상원사에 주석하며 경허의 선풍을 전국에 펼쳐 나갔다.
만공스님이 해인사 조실로 초청된 경허스님을 모시고 있을 당시의 일이다. 눈보라가 치던 어느날 밤 경허스님은 한 여인이 눈밭에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조실방인 해행당으로 데리고 들어갔다. 몇날 며칠을 방에서 나오지 않는 스승을 걱정하던 만공은 조용히 해행당으로 들어가 보고 너무나 놀랐다. 눈 코 입이 모두 썩어 문드러지고 손발이 제대로 없는 나병환자인 여인에게 팔베개를 해주고 잠들어 있었던 것이다. 훗날 경허스님은 심한 피부병으로 열반 때까지 고생을 했는데, 이 때의 일이 원인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수덕사 스님들은 평소에는 별로 눈에 띄지 않지만 큰 일이 있을 때는 자신의 공부도 뒤로 하고 온몸을 던져 앞장서는 전통이 있다고 전한다. 

 

경허스님은 승려의 생활을 마감하고 중생들 틈에 섞여 사는 ‘화광동진’을 선택한다. 1904년 만공스님에게 전법게를 내린 후 북으로 떠난 스님은 갑산에서 머리를 기르고 박난주라는 속명으로 글방을 열어 아이들을 가르치다 1912년 4월25일 열반에 든다. 경허스님의 열반은 1년후에야 만공스님이 확인한다. 시신과 함께 묻은 유품 중에 만공스님이 선물한 담뱃대와 쌈지가 있었던 것이다. 

 

마음달이 외로이 둥그니

빛이 만상을 삼켰도다

빛은 경계를 비추지 않고

경계 또한 있지 않나니

빛과 경계 함께 없으면

다시 이것이 무슨 물건인고 - 경허스님 열반송 -

 

경허(鏡虛)스님(1849~1912)의 출가
억불정책을 실시하던 조선시대에도 계속 이어지던 선맥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완전히 끊어져 버리고 말았다. 고려시대에는 엘리트 계층이던 스님들은 조선시대에 와서는 도성 출입도 금지될 정도로 하찮은 대접을 받아야 했다. 스님들은 사찰에서 스스로 어려운 살림을 꾸려 나가야 했기 때문에, 직접 농사를 짓고 집을 짓는 기술을 익혀 품을 팔면서 생계를 이었다.
1856년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한양 인근 청계사(淸溪寺)의 주지 계허스님에게 맡겨진 동욱(東旭)의 나이는 겨우 여덟살이었다. 어머니는 형 동석을 마곡사에서 출가시킨 후 막내마저 출가시키려고 청계사로 온 것이다. 스승 계허스님만이 살고 있는 청계사에서 어린 동욱은 밥값을 하기 위해 물을 긷고 나무를 하고 채마밭을 가꾸면서 5년을 보냈다. 스승 계허는 문자를 전혀 모르는 비승비속(非僧非俗)으로 경이나 외고 복이나 빌어주면서 겨우 연명을 했다. 그러던 중 박처사라는 선비가 청계사에 머물면서 동욱은 훗날의 ‘대선사 경허’가 되는 인연의 끈을 잡게 된 것이다. 박처사로부터 글을 배우게 된 동욱은 환속하려는 스승 계허의 소개로 당대의 강백인 동학사 만화화상의 제자가 된다. 그 밑에서 정진하던 경허는 10년 뒤 다른 제자들을 물리치고 동학사 강원을 물려받는다. 훗날 근세 선불교의 중흥조로 추앙받는 경허스님이 강백, 즉 교학(敎學)으로 일찍이 일가를 이루었던 것은 흥미로운 대목이다.

 

경허스님의 대오와 선풍진작
대강백으로 이름을 떨치던 경허스님은 17년 만에 스승 계허의 소식을 듣는다. 인편으로 온 소식은 ‘목수일을 하다가 지붕에서 떨어져 크게 다쳐서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다’는 것이었다. 계허를 찾아 한양으로 가던 중 경허스님은 전염병이 돌아 아수라장이 된 어느 마을에서 하루를 묵는다. 연신 사람이 죽어나가는 그 생지옥에서 경허스님은 문자공부가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크게 느끼고 그 길로 다시 동학사로 돌아와 강원을 철폐하고 깨달음을 구하기에 이른다.


'소가 되어도 고삐 뚫을 구멍이 없다’는 사미승의 말에 확철대오한 후 오도송을 읊는 순간 한국의 선불교는 재 속에서 다시 불씨가 되어 살아난다. ‘문득 사람들이 콧구멍이 없다고 하는 말을 듣고/즉시 삼천세계가 나의 집임을 알았네/6월 연암산 아래 길에서/야인이 한가로이 태평가를 부르네’. 경허스님은 춤을 추며 오도송을 읊었다.
이듬해 형과 어머니가 머물고 있는 서산 연암사 천장암에서 보림(깨우친 후 그 깨우침을 연마함)에 들어간다. 앞은 바다이고 뒤는 산인 천장암은 보림지로서는 최적의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먹고 용변을 보는 일 외에는 하루 온종일 잠도 자지 않고 천장암 쪽방에 앉아서 깨우침을 연마하던 경허스님의 몸에는 이가 들끓었지만 스님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어 경허스님은 일체의 걸림이 없는 선기 어린 행동과 법문으로 전국의 선방에 선풍을 일으킨다. 술과 고기를 즐기고 이해하기 힘든 기행을 종종 보인 경허스님은 1882년 이후 20여년간 개심사·문수사·부석사(서산)·수덕사·정혜사를 비롯한 숱한 호서지방의 사찰을 돌며 선풍을 일으켰고, 1899년에는 해인사 조실로 추대되어 영남지방의 사찰에도 선기를 불어넣는다.

2003년 눈이 소복이 쌓인 서산 도비산 부석사에는 100여년전 경허스님이 쓴 현판 ‘목룡장(牧龍莊)’ ‘심검당(尋劍堂)’과 함께 훗날 칠십이 된 만공스님이 썼다는 ‘부석사(浮石寺)’ 현판이 걸려 있었다. 수덕사의 말사인 부석사 주지 주경(宙耕)스님은 “만공스님이 경허스님의 시봉을 한 때가 그리 길지 않았는데, 부석사 시절은 젊은 만공스님이 산에서 나무를 하고 밥을 지으며 가장 엄격한 시봉을 들었던 기간일 것”이라고 말했다. 부석사에서 5분 거리의 도비산 중턱에는 경허와 만공이 수행을 했다는 굴이 아직도 남아있어 두 스님의 치열했던 수행과정을 엿보게 한다.


어머니와 형이 있는 천장암에서 보림을 끝내고 어머니를 위한 법문을 하던 날의 일화는 경허스님의 그릇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깨우친 아들을 자랑스러워한 어머니 박씨를 비롯해 구름처럼 몰려든 불자들 앞에서 경허스님은 법상에 올랐다. 좌중을 둘러본 스님은 갑자기 승복을 훌훌 벗어버렸다. 질색을 하는 어머니 앞에서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경허스님은 “자 보십시오”라고 한 뒤 주장자를 세번 내리치고 법상을 내려왔다. 즉 부모로부터 받은 육신 뒤에 가려진 법신(法身)을 보라는 뜻이었던 것이다.

 

스님의 걸림없는 무애행(無碍行) 중에는 천장암에 머물던 30대 후반, 속가의 김씨 처자와 사랑에 빠져 1년여간 결혼한 김씨처자를 찾아 그녀의 집에서 머슴을 살았던 일이 전해져온다. 중생의 어리석은 집착 중 하나인 애욕에 스스로 뛰어들어 그 무간지옥의 고통을 몸소 느껴 보았던 것으로 후세인들은 짐작할 뿐이다.

 

 ▲  덕숭산 정상 가까이에 있는 정혜사  ⓒ 2007.  한국의산천        

 

 ▲  덕숭산 설경 ⓒ 2007.  한국의산천         

 

 ▲  수덕사 부도 ⓒ 2007.  한국의산천         

 

  ▲  수덕사 입구의 상가지역 ⓒ 2007.  한국의산천         

 

 

등산코스:  수덕사 - 정혜사 - 덕숭산정상 - 정혜사 - 수덕사(6km, 3시간) 

 

클릭 ■☞ 수덕 여관과 고암 이응로 화백   

클릭 ■☞ 예산 덕숭산

클릭 ■☞ 사찰 답사 여행지 소개

'MTB등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고건축 박물관  (0) 2007.01.30
덕숭산  (0) 2007.01.28
관광공사 2월 추천 여행지  (0) 2007.01.27
만뢰산 진천  (0) 2007.01.22
보탑사, 보물 백비 진천  (0) 2007.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