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문화문학음악

사의재(四宜齋)와 관감당(觀感堂)

by 한국의산천 2006. 11. 28.

아침 출근 길 광명을 지나 오리동 구름산(옛지명)앞을 지나며 잠시 오리 이원익의 관감당앞을 지났다.

그리고 다산 정약용 선생과 오리 이원익 선생의 당호(堂號)와  生을 다시 기려보았다.  

답사,촬영 2006. 11. 28일. [ 한국의산천 ]

 

▲ 관감당 출입문  ⓒ 2006 한국의산천 

 

사의재(四宜齋)

생각은 마땅히 맑아야 하며, 용모는 마땅히 엄숙해야하며, 언어는 마땅히 과묵해야 하며 동작은 마땅히 후중하게 해야 하니 이런 때문에 그 발의 이름을 ‘ 네가지를 마땅하게 해야 할 방 ’이라고 하였다


정약용
다산은 영조 38년(1762)에 출생하여 헌종 2년(1836)에 사망하기까지 영.정조대의 문운부흥기에 활동하였다. 그는 남인 정재원의 아들이며 이승훈의 처남이었는데 이로 인하여 다산은 순조 원년(1801) 신유사옥으로 황사영 백서 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유배되었다.
일단은 정약용은 그의 인생을 3기로 볼 수 있는데 다산의 모습은 유배 즉 귀양살이 인데 제1기는 그가 관직에 재직하고 있을 때 제2기는 귀향을 갔을 때 제 3기는 그가 향리로 돌아 갔을 때로 나누어 생각 할 수 있다.

 

그는 신유사옥 사건으로 유배를 가지만 바로 여기 강진으로 간 것이 아니고 경상도에서 유배를 하다 강진으로 유배되어 4번이나 거처를 옮겼다.

1801년 강진의 동문 밖 주막집에서 4년 간 머물렀는데, 그곳을 사의재(四宜齋)라 하였다. 생각은 마땅히 맑아야 하며 용모는 마땅히 엄숙해야하며 언어는 마땅히 과묵해야 하며 동작은 마땅히 후중하게 해야 하니 이런 때문에 그 발의 이름을 ‘네가지를 마땅하게 해야 할 방’이라고 하였다. 
 

그 후 강진만을 한눈으로 굽어보는 강진군 도암면 만덕산에 자리를 잡고 그곳을 다산초당이라 하였다.

다산초당은 다산 정약용(1762~1836)이 실학을 집대성한 곳이다. 이곳은 정약용의 아름다운 자취가 남아있다. 다산은 차나무가 많았던 만덕산의 별명으로, 정약용의 호 다산은 여기서 유래한다. 

 

 

 ▲ 관감당 ⓒ 2006 한국의산천 

 

관감당 (觀感堂)

내가 이 일을 하는 것은 신민이 보고 느끼도록 하려는 것이니, 경은 굳이 사양하지 말고 거기에 살라 -인조-

관감당(觀感堂)의 뜻은 오리 이원익이 살아온 일생이 모든 사람에게 귀감이 된다 하여 백성에게 보고 느껴야할 것이라는 뜻으로 받은 사액이다.

 

 ⓒ 2006 한국의산천 

 

조선 시대 3대 임금에 걸쳐 영의정을 지낸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1547~1634)과 그 후손의 삶의 자취를 그대로 보존해놓은 곳이다.

이원익은 황희 맹사성과 함께 조선의 3대 청백리로 꼽혔을 만큼 청렴결백한 관리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청렴함이 드러난 일화는 '조선실록'에도 기록돼 있다. 

인조 9년(1623년) 정월 10일, 임금이 승지 강홍중을 보내어 이원익을 문안한 뒤 "그가 사는 집이 어떠한가"라고 물었다. 강홍중은 "두 칸 초가가 겨우 무릎을 들일 수 있는데 낮고 좁아서 모양을 이루지 못하며 무너지고 허술하여 비바람을 가리지 못합니다"라고 아뢰었다.  

 

 ⓒ 2006 한국의산천 

 

이 말을 들은 임금은 "재상이 된 지 40년인데 두어 칸 초가는 비바람을 가리지 못하니, 청렴하고 결백하며 가난에 만족하는 것은 고금에 없는 것이다. 내가 평생에 존경하고 사모하는 것은 그 공로와 덕행뿐이 아니다. 이공(李公)의 청렴하고 간결함은 모든 관료가 스승삼아 본받을 바이다"라고 했다. 그리고 5칸짜리 집 한 채를 이원익에게 하사했다. 하지만 이원익은 "신을 위해 집을 지으니, 이것도 백성의 원망을 받는 한 가지"라며 수차례에 걸쳐 받기를 사양했다고 '조선실록'은 전하고 있다. 

 

 

▲ 관감당(觀感堂)ⓒ2006  한국의산천 우관동  

 

관감당은 이원익이 은퇴한 후 인조가 사액과 함께 하사했으나 이원익이 네 차례에 걸쳐 받기를 사양했다는 5칸짜리 집이다. 계속된 사양에 인조가 "내가 이 일을 하는 것은 신민이 보고 느끼도록 하려는 것이니, 경은 굳이 사양하지 말고 거기에 살라"라고 하자 이원익이 더 이상 사양할 수 없어서 들어가 살았다고 한다. 

 

 ⓒ 2006 한국의산천 

 

오리 이원익이 손자 수약(守約)에게 쓴글

 

너희 아버지는 전후 고을을 맡을때마다 청렴과 간명으로 백성을 보호한다고 알려졌었다. 너는 네 아버지의 아들이니 마땅히 마음에 새겨 집안의 명성을 떨어트리지 말라.

 

1. 세상을 다스리는데에는 백성을 사랑하는것보다 더한것은 없다. 몸을 닦는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것보다 더한것이 없다.

2. 천하를 실정을 안후에 천하를 다스릴수있다.

3. 일에 다다라서는 포악함과 성냄을 경계하고 서서히 일의 실정을 파악하라

4. 사람을 다스림에 있어서 상벌이 있을 수가 없으니, 착한자에게는 상을 주라, 상을 주었으니 오랫동안 잊지말아야 한다. 악한자는 벌을 주어야 한다. 벌을 주었으니 시일이 지나면 (나쁜일에 대해서) 꼭 생각치 말라.

5. 한 이익을 일으키는것이 한폐단을 제거하는것만 못하고, 한일을 내는것이 한일을 더는것만 못하다.

6. 읍중에 일이 있거든 노련한 관리와 연로한 인민에게 널리 물어서 인정에 합하기를 힘써야 하고, 남에게 거만을 부리고 스스로 민심을 떠니게 해서는 안된다.

7. 백성은 마땅히 어루만져 돌봐야 하며, 관속을 대하는것도 각박하게 해서는 안된다. 

8. 모든일은 때에 따라 마음을 다해야 한다.    

 

진정한 여행은 새로운 풍경을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야를 갖는 것이다

 

  

클릭 ■☞ 오리 이원익 박물관  


클릭 ■☞ 다산 정약용 기념관

 

클릭 ■☞ 성호 이 익 기념관  

 

클릭 ■☞ 문화 유적 명소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