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문화문학음악

안개시인 기형도 시비 제막

by 한국의산천 2006. 6. 20.

안개시인 기형도 시비 제막   

 

흐린 아침 6시에 집을 나섰다. 출근 길에 광명에 세워진 기형도 시비를 보기위해서... 

 

 

 

 

 

 

▲ 기형도 시인 ⓒ2006. 6. 20 한국의산천 

 

 

 

▲ 2006. 6. 16일 광명 철산동 실내체육관 운동장에 세워진 기형도 시비. 시비에는 '어느 푸른 저녁'이 적혀 있다. 시인 기형도가 가장 좋아했던 자신의 작품이다. ⓒ2006. 6. 20 한국의산천 

 

어느 푸른 저녁                               -기형도-1
그런 날이면 언제나
이상하기도 하지, 나는
어느새 처음 보는 푸른 저녁을 걷고
있는 것이다, 검고 마른 나무들
아래로 제각기 다른 얼굴들을 한
사람들은 무엇엔가 열중하며
걸어오고 있는 것이다, 혹은 좁은 낭하를 지나
이상하기도 하지, 가벼운 구름들같이
서로를 통과해가는
나는 그것을 예감이라 부른다, 모든 움직임은 홀연히 정지
하고, 거리는 일순간 정적에 휩싸이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거대한 숨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가듯
그런 때를 조심해야 한다, 진공 속에서 진자는
곧,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검은 외투를 입은 그 사람들은 다시 저 아래로
태연히 걸어가고 있는 것이다, 조금씩 흔들리는
것은 무방하지 않은가
나는 그것을 본다
모랫더미 위에 몇몇 사내가 앉아 있다, 한 사내가
조심스럽게 얼굴을 쓰다듬어본다
공기는 푸른 유리병, 그러나
어둠이 내리면 곧 투명해질 것이다, 대기는
그 속에 둥글고 빈 통로를 얼마나 무수히 감추고 있는가!
누군가 천천히 속삭인다, 여보게
우리의 생활이란 얼마나 보잘것없는 것인가
세상은 얼마나 많은 법칙들을 숨기고 있는가
나는 그를 향해 고개를 돌린다, 그러나 느낌은 구체적으로
언제나 뒤늦게 온다, 아무리 빠른 예감이라도
이미 늦은 것이다 이미
그곳에는 아무도 없다.

 

2가장 짧은 침묵 속에서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 결정들을 한꺼번에 내리는 것일까
나는 까닭 없이 고개를 갸우뚱해본다
둥글게 무릎을 기운 차가운 나무들, 혹은
곧 유리창을 쏟아버릴 것 같은 검은 건물들 사이를 지나
낮은 소리들을 주고받으며
사람들은 걸어오는 것이다
몇몇은 딱딱해 보이는 모자를 썼다
이상하기도 하지, 가벼운 구름들같이
서로를 통과해가는
나는 그것을 습관이라 부른다, 또다시 모든 움직임은 홀연히 정지
하고, 거리는 일순간 정적에 휩싸이는 것이다, 그러나
안심하라, 감각이여!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검은 외투를 입은 그 사람들은 다시 저 아래로
태연히 걸어가고 있는 것이다
어느 투명한 저녁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모든 신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 이곳 체육관 뒤편 약수터로 가는 길목에 시비가 서있다.ⓒ2006. 6. 20 한국의산천

 

기형도 시인. 그를 알게 된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2001년 詩 하나를 찾기 위해 서점을 기웃거리던 중 한국의 명시 라는 책이 눈에 띠었다.

 

책표지에는 "최남선에서 기형도까지 한국명시 1005편 총수록!" 이라는 부제가 붙어있었다. 

 

   기형도?   그는 누구일까? ⓒ2006. 6. 20 한국의산천

 

 

 

▲ 시집을 잘 사지 않아 책장에 시집이 적은 편이다. ⓒ2006. 6. 20 한국의산천

 

'한국의 명시'에 기재된 기형도 시인의 약력을 소개합니다.

 

기형도(奇亨度: 1960~1989) 연세대 정외과 졸업. 중앙일보 기자 역임.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안개" 당선되어 등단함. 유고시집'잎속의 검은 잎"(1989)이 있음.  

 

그는 연세대 재학중 연세춘추에서 제정 시상하는 '박영준 문학상'과 '윤동주 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 당시는 주로 민중시, 노동시등 투쟁과 정치적인 詩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기형도 시인은 시류에 젖어들지 않고 자기만의 시세계를 다져나갔다. 

 

 

 

 

▲ 산서와 시집 ⓒ2006. 6. 20 한국의산천

 

 

 

 

 

▲ 지금은 맑아진 안양천 ⓒ2006. 6. 20 한국의산천  

 

안양천이 80년도 까지만 해도 안양과 광명쪽 공장에서 나오는 오폐수로 인하여 악취가 심하고 물은 검은색으로 변하여 흐르는 죽은 하천이었다.  지금은 하천 정비공사로 맑은 물이 흐르고 안양천 주변은 주민들의 편안한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했다.

 

 

▲ 기형도 시인의 詩 '안개'의 모티브를 제공한 안양천 뚝방.ⓒ2006. 6. 20 한국의산천

 

 

 

 

▲기형도 시인이 자주 걸었을 듯한 안양천 뚝길.    ⓒ2006. 6. 20 한국의산천 

 

시인 기형도(1960~1989)가 살았던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흐르던 샛강의 아침은 종종 안개에 휘감겼다. 이곳엔 외지의 수몰민과 이재민들이 새 터전 삼아 몰려왔다. 데뷔작 ‘안개’는 70년대의 산업화가 안개처럼 퍼지며 수도권을 잠식했던 시기와 그때 성장했던 시인의 내면 풍경을 모사(模寫)했다. 

 

 

 

▲ 지나가는 사람들 대부분이 새로운 시비에 관해서 관심을 가지며 한참이나 앞면을 다 읽고 빙빙 돌아가며 뒷면의 글까지 다 읽고 간다. ⓒ2006. 6. 20 한국의산천

 

 

 

 

▲ 약수터 입구에 세워진 시비  ⓒ2006. 6. 20 한국의산천  

    ⓒ2006. 6. 20 한국의산천

 

 

 

▲ 새로 새워진 시비를 보고 운동하는 사람, 약수를 뜨러온 사람들 모두 끝까지 시비의 앞뒷면에 적힌 글을 읽고 간다. ⓒ2006. 6. 20 한국의산천

 

  ▲ 시비 뒷면에 시인의 약력 ⓒ2006. 6. 20 한국의산천 

 

기형도 시인은 경기도 옹진군 연평도에서 태어나 다섯 살 (1965년) 때  당시 시흥군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로 이주해 유년시절을 보냈다.  

 

그는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래 시 '빈집' '안개' '정거장에서의 충고' 등 도시 배후의  전형적 농촌 모습을 가지고 있던 소하리를 배경으로 삼은 다수의 시를 발표했다. 

 

17년 전인 1989년 시집 출간을 준비하던 도중, 종로의 한 극장 안에서 뇌일혈로 숨진 채 발견됐다. 만 29세의 생일을 엿세 앞둔날이다.

 

 

 

시비는 이 지역 문화예술인들을 중심으로 2003년 결성된 기형도기념사업회가 제안해 광명시가 1천만 원을 들여 건립했다. 시비에는 이 지역이 배경으로 등장하는 시 '어느 푸른 저녁'이 새겨졌다.

 

그의 시집 ‘입 속의 검은 잎’(문학과 지성사) 은 90년대 젊은 시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책으로 꼽힌다. 등단 5년차의 신참내기 기형도는 시집 한 권 없었다. 그가 죽기 직전에 시집 출간을 위해 정리해 두었던 원고를 대학 시절 문예반 친구였던 소설가 성석제 원재길 등이 다시 추려서 평론가 김현이 시집 제목을 정했고 해설도 썼다. 기형도 17주기가 되는 올해까지 이 시집은 61쇄 40만부 찍었을 정도로 꾸준히 읽히고 있다. 

 

 

 

▲ 바닥의 고운 모래가 맑게 들여다 보이는 안양천 ⓒ2006. 6. 20 한국의산천  

 

1973년 시흥군에서 분리되며 1979년 서면이 소하읍으로 승격. 1981년 소하읍과 광명출장소가 광명시로 승격되었다.

 

 

 

안개                 -기형도 -

 

1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이 안개가 낀다.

 

이 읍에 처음 와본 사람은 누구나거대한 안개의 강을 거쳐야 한다.앞서간 일행들이 천천히 지워질 때까지쓸쓸한 가축들처럼 그들은 그 긴 방죽 위에 서  있어야 한다.문득 저 홀로 안개의 빈 구멍 속에 갇혀 있음을 느끼고 경악할 때까지.

 

어떤 날은 두꺼운 공중의 종잇장 위에 노랗고 딱딱한 태양이 걸릴 때까지.안개의 軍團은 샛강에서 한 발자국도 이동하지 않는다.출근길에 늦은 여공들은 깔깔거리며 지나가고긴 어둠에서 풀려나는 검고 무뚝뚝한 나무들 사이로 아이들은 느릿느릿 새어나오는 것이다.안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처음 얼마동안 보행의 경계심을 늦추는 법이 없지만,곧 남들처럼안개 속을 이리저리 뚫고 다닌다. 습관이란 참으로 편리한 것이다. 쉽게 안개와 식구가 되고 멀리 송전탑이 희미한 동체를 드러낼 때까지그들은 미친 듯이 흘러다닌다.

 

가끔씩 안개가 끼지 않는 날이면방죽 위로 걸어가는 얼굴들은 모두 낯설다. 서로를 경계하며 바쁘게 지나가고, 맑고 쓸쓸한 아침들은 그러나 아주 드물다. 이곳은 안개의 聖域이기 때문이다.

 

날이 어두워지면 안개는 샛강 위에 한 겹씩 그의 빠른 옷을 벗어놓는다. 순식간에 공기는희고 딱딱한 액체로 가득찬다. 그 속으로 식물들, 공장들이 빨려 들어가고 서너 걸음 앞선 한 사내의 반쪽이 안개에 잘린다.

 

몇 가지 사소한 사건도 있었다.한밤중에 여직공 하나가 겁탈당했다.기숙사와 가까운 곳이었으나 그녀의 입이 막히자 그것으로 끝이었다. 지난 겨울엔방죽 위에서 醉客 하나가 얼어 죽었다.바로 곁을 지난 삼륜차는 그것이 쓰레기 더미인 줄 알았다고 했다, 그러나 그것은개인적인 불행일 뿐, 안개의 탓은 아니다.

 

안개가 걷히고 굴뚝들은 일제히하늘을 향해 젖은 鋸身을 겨눈다, 상처입은 몇몇 사내들은 험악한 욕설을 해대며 이 폐수의 고장을 떠나갔지만재빨리 사람들의 기억에서 밀려났다. 그 누구도 다시 읍으로 돌아온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다.

 

2.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이 안개가 낀다.안개는 그 읍의 명물이다.누구나 조금씩은 안개의 주식을 갖고 있다.여공들의 얼굴은 희고 아름다우며아이들은 무럭무럭 자라 모두들 공장으로 간다.

 

    ▲ 택지 개발이 진행중인 소하동  ⓒ2006. 6. 20 한국의산천 

 

 

▲ 택지 개발이 진행중인 소하동  ⓒ2006. 6. 20 한국의산천

 

취재를 마치고 출근하는 길에 소하리 광명역사까지 택지재개발이 이루어지는 주택가에 철거 반대 깃발과 투쟁이라는 깃발이 간간히 눈에 들어왔다.   

  

그를 기리는 詩碑를 보며 아름다운 詩語로 노래하다가 짧은 生을 마감한 기형도 시인을 다시 생각해 봅니다. 

 

클릭 ■☞

못다이룬 사랑 이매창

클릭 ■☞

수주 변영로

클릭 ■☞

심훈 필경사

클릭 ■☞

소유언시 황동규 

   클릭 ■☞

2006년 신춘문예 당선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