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華城) 둘러보기 [2005.11.27. 일요일] [ 한국의산천]
역사 깊은 문화유적이 살아 숨쉬는 수원은 조선조 22대 정조대왕이 실학 사상을 바탕으로 지역의 입지적 특성을 살려 건설한 계획도시로 수도 서울 남부의 관문 역활을 했다.
영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현륭원(現 융,건릉)으로 이장하면서 수원 신도시를 건설하고 성곽을 축조했으며 1790년에서 1795년(정조 14∼19년)에 이르기까지 서울에서 수원에 이르는 중요 경유지에 과천행궁, 안양행궁, 사근참행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화성행궁 등을 설치하였다.
화성은 정조의 극진한 사랑을 받던 실학의 대가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년)>을 지침서로 하여,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년 9월에 완공하였다.
축성시에 거중기, 녹로 등 신기재를 특수하게 고안·사용하여 장대한 석재 등을 옮기며 쌓는데 이용하였다. 화성 축성과 함께 부속시설물로 화성행궁, 중포사, 내포사, 사직단 등 많은 시설물을 건립하였으나 전란으로 소멸되고 현재 화성행궁의 일부인 낙남헌만 남아있다.
천천히 어둠이 내리자 성벽 아래 전등에서는 불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정조대왕의 효는 대단히 극진하였다.전해오는 일화를
따르면 <정조대왕은 그의 부친인 사도세자의 죽음을(뒤주속에 갇혀 죽음) 애석해하며 양주 배봉산에 있는 영우원을 현재의 화산으로 옮겼는데
어느날 아버지의 능주변 소나무에 송충이가 대단히 번식하여 소나무를 갉아 먹고 있다는 보고를 받고 행차를 서둘러 산에 와보니 송충이의 기승이
목불인견이라, 정조가 진노하여 송충이를 잡아 깨물면서 "아무리 미물일 망정 네 어찌 내가 부친을 그리워하며 정성껏 가꾼 소나무를 갉아 먹느냐"고
꾸짖고 돌아서자 천둥번개와 함께 장대비가 쏟아져 송충이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융건능은 용주사와 함께 정조대왕의 효심이 깃든
유적으로 효(孝)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우리의 자랑거리이며 늘 푸른 송림 속에서 언제 어느 때 둘러보아도 마음을 편안히
해주는 곳이기도 하다.
※ 사도세자(장헌세자) 장조와 그의 비 혜경궁 홍씨(현경왕후)를 모신 능은 융릉(隆陵)이고 정조대왕과 그의 비 효의왕후 김씨를 모신 능은 건릉(健陵)이다.
융건릉 상세보기 클릭 ■☞ 화산의
융건릉
축성 후 1801년에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는 축성계획, 제도, 법식뿐
아니라 동원된 인력의 인적사항, 재료의 출처 및 용도, 예산 및 임금계산, 시공기계, 재료가공법, 공사일지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성곽축성
등 건축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록으로서의 역사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화성은 사적 제3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 팔달문(보물 제402호),
화서문(보물 제403호), 장안문, 공심돈 등이 있다. 화성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바람 불어 좋은 날이다. ▲ 화홍문 근처의 언덕에 있는 방화수류정 옆의 연못인 용연
정자와 버드나무 사이에 보름달이 수면위에 비추어지는 아름다운 정취를
"용지대월"이라하여 수원팔경의 하나로 꼽는다. (조리개 2.8에 노출
2초인데 대낮처럼 환하게 나왔습니다.) 수원팔경
화산두견: 화산의 두견새 울음소리
소나무 꽃가루가 날리는 3월이 오면 진달래꽃이 화산(현 수원)을을 온통 물들이고 두견새가 화산을 날며 울어댄다. 화산에는 사도세자가
잠들고 그 아들이신 정조대왕 또한 유언에 따라 옆에 묻히셨으니 저승에 가서도 효성을 비치려는 뜻
화홍관창: 화홍문의 비단결 폭포수
화홍문 깊은 계곡에서 흘러 내려오는 수원천 맑은 물은 화홍문 일곱개 수문의 폭포수가 되어 무지개 빛으로 부서져 내린다. 또한 수원천의
물줄기는 천변의 수양버들과 더불어 아름다움을 보여 주었다.
서호낙조: 서호 노을에 드리운 산그림자
노송가지가 수면에 그림자를
드리우는경관을 따라가면 높이 2장이나 되는 폭로로 물줄기가 흘러내리고 그 위에는 아담한 황이정이 있다.
광교적설:광교산에 눈쌓인
모습
한 겨울의 백설도 장관이거니와 시루봉에 새봄이 찾아올 무렵의 춘설은 또한 비경이다.
남경장루: 긴 제방에
늘어선 버드나무
남경은 화홍문에서 화홍산앞까지 이르는 수원천의 긴제방이며 그 둑 양면에 늘어서 있는 수양버들을 일러 장류라고도 한다.
팔달정람: 안개에 감싸여 신비로운 팔달산
팔달산에 안개가 피어 오르는 정경과 팔달산 송림사이로 맑게 보이는 하늘, 산정상을
묽게 물들이는 저녁노을 또한 가경이어서 '팔달모운'이라고도 한다.
용지대월: 용지에서 월출을 기다리는 경치
용지는 방화수류정
아래 연못을 말하며 방화수류정의 그림자가 수면에 더오르면 무아경을 이루게 하는데, 수원천의 물이 용지를 거쳐 용머리를 본따서 만든 돌구멍으로
흘러 보냈기 때문에 일명 용지문이라고도 한다.
북지상면: 북쪽 연못의 흰색 붉은색 연꽃
지금의 일왕저수지인 북지의 본 이름은
연석거 또는 고구정으로서 흰색, 붉은색의 연꽃이 수면에 가득하였다. 연못이 만발하였을때 찬란한 광경을 영화정 정자에서 바라보면 저절로 취할
정도여다 한다.
▲ 북동포루
화홍문 서쪽에 있다. 루는 대체로 5좌(座)가 있는데, 그
구조는 모두 똑같다.
성의 몸체에 凸 자 모양을 붙여 치성과 비슷하게 하고 집을 지었는데, 높이는 포(鋪)와 같다. 3층으로 하여 그
가운데를 비운 점이 마치 공심돈의 구조와 비슷하다.
모두 벽돌을 사용하여 만들었는데, 아래 넓이나 위의 줄어든 넒이가 모두 옛날 제도의
재돌(再突)하는 형세를 따랐다. 화포를 많이 감추어 두어 위 아래에서 한꺼번에 쏘게 하였다.
▲ 봉돈
봉돈은 일자문성의 위에, 동2포(東二鋪)와 동2치(東二稚)의 사이에 있는데 행궁을 안조(案照)한다. 4성을 쌓고 나서 파수(把守)를 설치하여 정찰할 임무를 맡긴 것은 척후(斥候)의 의미를 가진 것이니, 멀리 육지나 바다에 대한 경보를 알리는 것을 더욱이 소홀히 해서는 안되기에 철성(凸城)의 제도에 의거하여 비로소 봉돈을 설치하였다.
벽돌로 쌓아올려 성의 몸체 위에다가 벽돌로 다시 높게 쌓았으며, 성 밖으로 18척이나 튀어 나오게 하여 마치 치(雉)처럼 생겼으면서도 그 보다 크다. 내면은 굴곡이 지게 하여 3층으로 만들었다.
양쪽 가장자리의 층계 끝에는 벽돌로 지은 집이 이어졌고, 용마루 없이 기와로 덮었다. 남북에 각각 한 간씩 있는데, 남쪽에 있는 것은 온돌로서 지키는 군졸이 거처하는 곳이고, 북쪽 것은 판자를 깔았는데 기계 따위를 넣어둔다.
▲ 봉돈
돌층계의 등에 기대어 하나의 네모진 성을 만들고, 층계 위에는 짧은 담을 3 층으로 만들었는데, 아래는 2집으로 이어지게 된다. 전면의 2간은 벽돌로 쌓은 담인데, 길이가 18척 6촌이고, 한 가운데에 작은 문을 홍예로 틀었다.
담의 높이 13척으로 높이가 집과 같다. 담의 안쪽 등()의 아래에 해당하는 곳은 남북이
32척이고 동서가 21척이다.
저녁마다 남쪽의 첫째 횃불 구멍에서 횃불 하나를 들면 동쪽으로 용인 석성산(石城山)의 육봉(陸烽)에서
봉화로 응하고, 서쪽이 없으면 횃불을 들지 못하게 되어 있다. 다만 흥천대의 바다 봉화는 너무 멀어서 곧 바로 전하기가 어려우며 또 다시
화성부의 서쪽 30리 서봉산(棲鳳山) 위에 새로이 간이 봉화를 두어 여기에서 오는 봉화를 이 곳에서 전담하도록 하였다.
▲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은 화서문 북치(北雉) 위에 있다. 성서(城書)에 이르기를 벽돌로 삼면을 쌓고 그 가운데를 비워둔다. 그 가운데를 2층으로 구분하여 널빤지로 누를 만들고 나무 사닥다리를 사용하며, 위아래에 공안(空眼)을 많이 뚫어서 바깥을 엿보는데 편리하게 한다. 불랑기(佛狼機) 백자총(百子銃)들을 발사하여도 적으로서는 화살이나 총탄이 어느 곳에서부터 날아오는지를 모르게 되어 있다고 하였다.
상청판(上廳板)과 하청판의 2판을 설치하여 누(樓)일 경우에는 2층으로 하고 포(鋪)일
경우에는 3층으로 하여 층마다 벽돌로 된 면에 불랑기를 쏘아댈 포혈(砲穴)[사방 1척]을 내었다.
상층의 벽돌로 된 면 위 쪽은 판자로 둘렀으며 문마다 각각 전안(箭眼)을 뚫었다. 단청은 3토를 사용하였고 대들보 위는 회를 발랐다. 중층과 상층에는 각각 청판(廳板)을 여는 사방 3척의 덮개판 하나를 만들어, 밀고 당겨서 열고 닫게 하여 나무 사닥다리로 된 오르 내리는 길과 통하게 하였다. 아래 층 안쪽에는 벽돌로 된 홍예 모양의 작은 문을 내었다.
....................................................덧붙이는 글...........................................................
장안문 옆 관광안내소의 친절한 안내와 팜플렛 자료를 참고 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화성의 전체길이는 약 6km. 손쉽게 둘러보기(화성 열차이용)
임금을 상징하는 용머리를 상징하는 동력차와 관광객 탑승차량
3량으로 구성된 화성관광열차는 앞부분의 경우 임금(정조대왕)을 상징하고 임금의 어가를 형상화한 객차로 54인승이다.
운행시간은 매일 오전
10:00 ~ 오후 17:50 (눈.비오는 날과 영하의 날씨와 매주 월요일은 운행하지 않는다.)
운행구간 : 팔달산(강감찬장군동상) -
화서문- 장안원- 장안문 - 화홍문 - 연무대(3.2km)
소요시간 : 편도 30분(팔달산↔연무대)
매표소(승하차):
팔달산(228-4683), 장안공원(228-4685), 화홍문(228-4684), 연무대(228-4686)
승차료: 성인1,500원,
청소년 1,100원 어린이 700원
주변 둘러볼 곳: 화성 행궁, 광교산, 원천 유원지, 융건릉, 용주사, 한국 민속촌.
관광
문의 안내소: (관광안내 대표전화 지역번호 031) 1330번
우리는 모두 바람에 흩날리는 먼지일 뿐입니다.
아무 것에도 매달리지 마십시요.
영원한 것은 하늘과 땅밖에 없습니다
바람
속에 먼지처럼
우리 모두가 바람에 흩날리는 먼지일 뿐입니다.
둘러보기 클릭 ■☞ 정약용 생가
떠나고 싶으십니까? 아래 원하는 곳을 클릭하십시요.
산찾기 | 레져정보 | 명승지 | 바 다 | 강여행 | 사 찰 | 겨울산행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