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MTB등산여행

'50년 고향의 맛' 가득한 인천 노포로 떠나요

by 한국의산천 2020. 5. 5.

'50년 고향의 맛' 가득한 인천 노포로 떠나요

박준철 기자 입력 : 2020.01.25 12:29


'50년 고향의 맛' 가득한 인천 노포로 떠나요
설 연휴, 명절음식이 입에 물릴 때쯤 가족과 함께 50여 년 묵은 손맛을 자랑하는 노포를 찾는 건 어떨까.


인천관광공사는 <인천, 오랜 가게와 떠나는 시간여행>을 발간했다.

이 책에는 인천도시역사관이 발행한 <오래된 가게, 인천의 노포(老鋪)> 69곳 중 24곳의 창업 역사를 담았다.

24곳은 1970년 이전에 창업해 업종 변경을 하지 않고 50년이 넘는 시간동안 대(代)를 이어온 곳들이다.


인천시는 오래된 가게의 공식 명칭을 ‘대대로 물려받아서 계속 이어지는 가게’가 되길 바라는 뜻을 담아 ‘이어 가게’로 명명하고, 올해부터 홍보와 시설개선비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구수한 고향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이어가게’ 가운데서도 입소문난 음식점 몇 곳을 권역별로 소개한다.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인 평양옥의 해장국.|인천관광공사 제공
.
■중구 평양옥


1945년부터 3대째 이어온 신흥동의 ‘평양옥’은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해장국 집이다. 만주에서 공장을 운영하던 1대 김석하·조선옥 부부가 해방 후 재산을 빼앗기자 인천으로 내려와 차린 것이 평양옥이다.


평양옥의 대표 메뉴인 해장국은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얼큰한 국물이 아니다. 새벽에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맑은 해장국이다. 그 맛은 오래되고 깊다. 식재료 중 해장국과 갈비탕의 고기는 품질과 맛이 가장 중요해 1대부터 지금까지 한 곳의 정육점에서만 납품받고 있다. 또 농수산물시장에서 공수해 온 신선한 재료로 육수를 만든다. 해장국은 18시간, 갈비탕은 10시간 이상 우려낸다.


단골손님들은 “평양옥의 해장국은 우거지가 아주 연하고, 국물은 담백하다”고 입을 모은다.


중구에는 평양옥 이외에도 1946년부터 먹을수록 깊은 맛이 난다는 평양냉면 맛집 ‘경인면옥’, 북한 개성 고향집 인근 개울 이름을 붙였다는 ‘삼강 설렁탕’, 진한 국물로 속이 확 풀리는 삼선고추짬뽕이 유명한 ‘신성루’ 등이 오래된 음식점으로 꼽힌다.

 

간짜장이 맛있기로 소문난 부평에 있는 중국음식점 복화루|인천관광공사 제공
.
■부평 복화루


인천 부평동에 있는 중국음식점인 ‘복화루’는 1945년부터 2대째 이어오고 있다. 중국 산둥성 출신인 화교 요리사 이복충 사장이 일제 강점기 말 인천으로 와서 창업했다.


1930년대 부평에는 일본의 군수공장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다양한 음식점과 상점이 몰려 있었다. 부평시장 내에 있던 복화루는 당시부터 신선하고 품질 좋은 식재료를 사용해 단골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복화루의 간짜장은 맛있기로 소문이 파다하다. 얇은 면을 사용해 식감이 부드럽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달짝지근하면서도 불맛을 느낄 수 있는 짜장소스가 옛날 맛을 떠오르게 한다. 70년 동안 전해 온 옛맛을 잊지 못한 단골손님으로 늘 북적인다.


초창기의 한결같은 맛을 유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손자도 주방 일을 배우고 있다.


부평구 산곡1동에는 1951년 문을 연 ‘모임이 즐거운 곳’이란 뜻의 중국음식점 ‘회락춘’도 맛이 일품이다.

 

중독성이 강해 다시 찾는다는 강화 비빔국수|인천관광공사 제공
.
■강화국수


설 연휴 서울과 인천에서 자동차로 1시간 거리에 있는 강화로 나들이를 했다면 ‘강화국수’도 맛볼 만하다.

강화국수는 1960년대 강화 읍내에서 배고픈 서민들의 한끼 식사를 책임졌다.

처음에는 강화군청 앞 버스 종점인 차부에서 테이블과 의자 몇 개만 놓고 국수를 팔아 ‘차부국수’라 불렸다.


메뉴는 흔한 잔치국수와 비빔국수였지만 저렴하고 푸짐한 양으로 승객과 버스기사들이 많이 찾았다.

1988년 강화버스터미널이 강화경찰서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강화국수도 자리를 옮겼다.


강화국수는 초대 최선희·이혜주 사장 부부에 이어 지금은 며느리가 60년 전통의 가업을 이어받았다.

강화에서 도시로 떠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손님이 줄어 운영이 힘들 때도 있지만 오랜 역사를 갖고 지켜온 국숫집으로 알려지면서 외지인들의 발길이 늘고 있다.

무엇보다 중독성이 강한 비빔국수를 찾는 단골들이 많다.


강화읍에는 찰진 강화 쌀과 직접 재배한 농산물로 반찬을 만드는 63년 전통의 백반집 ‘우리옥’이 있다.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난 뒤 인근 관광서에서 점심을 만들어 달라는 부탁을 받고 방숙자 사장이 직접 음식배달을 시작한 우리옥은 특별한 상호가 없어 손님들이 ‘우리집 가서 먹자’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인천 동구 송미옥의 복어요리.|인천관광공사 제공
.
■동구 송미옥


1958년 문을 연 동구 ‘송미옥’은 당초 경양식 식당이었으나 지금은 복 전문식당으로 바뀌었다.

1·4 후퇴 때 평양에서 내려온 1대 김종연 사장은 당시 인천제철에 상주하던 독일 노동자들의 식사를 전담했다. 독일 노동자들은 2∼4년 후면 고향으로 돌아가야 했지만, 언제나 푸른 소나무처럼 변함없이 그 자리에서 그 맛을 유지하겠다는 의미로 ‘송미옥’이란 이름을 붙였다.


원도심인 동구에 인구가 줄면서 손님도 많이 줄었지만 단골이 많아 음식의 맛과 가게의 모습은 예전 그대로다.

벽과 바닥, 천장을 모두 나무로 꾸몄다. 대표 메뉴는 복 중탕이다.

복 중탕은 연평도와 동해바다에서 공수받은 자연산 생물 복어로 조리해 매운탕과 된장찌개 사이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

직접 담근 고추장과 된장을 사용해 국물 맛이 더 진하다. 복 맑은탕과 복 튀김, 복회 등 여러가지 복 요리도 맛볼 수 있다.


동구 만석동에는 북성부두와 만석부두에서 직접 들여온 쭈꾸미를 초장 양념으로 볶아내 입맛을 자극하는 50년 전통의 ‘우순임 할머니 쭈꾸미’ 식당도 있다.

매콤한 쭈꾸미 볶음과 볶음밥 맛을 잊지 못해 다시 찾는 손님들이 많다.

 

소머리국밥 맛이 일품인 호구포식당.|인천관광공사 제공
.
■남동구 호구포식당


소래포구 인근에 있는 ‘호구포식당’은 횟집이 아니라 국밥집이다. 1968년 안옥순 사장이 창업한 호구포식당은 아들이 이어받아 2대째 운영하고 있다.

식당 바로 옆에는 새벽에 출근하는 사람들과 밤늦게 퇴근하는 사람들이 항상 모여드는 버스 종점이 있다.

일을 끝낸 버스기사들이 새벽에 문을 두드리기도 하고, 막차를 운행한 뒤 와서 때늦은 식사를 하기도 했다.

당시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밥은 바쁜 일상 속에 허기를 채워주는 서민음식으로, 버스기사들에겐 든든한 한 끼였다.


이 식당의 인기 메뉴는 소머리국밥이다. 쫄깃한 당면과 소머리를 함께 얹어 후루룩 한입 먹고 나면 감탄이 절로 나온다.

밥을 말아 직접 담근 깍두기와 먹으면 입안이 즐겁다. 가격 대비 양도 푸짐하다.

  
인천관광공사 관계자는 “설 연휴 이들 음식점들이 쉴 수도 있어 휴무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경향신문



미슐랭 오른 숯불향 맛보고 싶다면…

인생의 매운맛이 필요하다면…

바닷바람과 함께하고 싶다면…


이혜운 기자 입력 2020.05.05 03:00

봄엔 주꾸미, 50년 내공의 '붉은 맛' 3대 노포


   봄 주꾸미, 가을 낙지라는 말처럼 주꾸미의 계절이 돌아왔다.

3~5월이 제철. 주꾸미만큼 서민을 상징하는 음식도 없다. 그래서 노포(老鋪)에서 지글지글 구워 먹어야 제맛이다. 대표적인 가게 세 곳을 가봤다.


①인천 우순임 할머니 쭈꾸미

"괭이부리말은 인천에서도 가장 오래된 빈민 지역이다. 지금 괭이부리말이 있는 자리는 원래 땅보다 갯벌이 더 많은 바닷가였다."


인천 우순임 할머니 쭈꾸미. /이혜운 기자
 
김중미 소설 '괭이부리말 아이들'은 이렇게 시작한다. 인천 동구 만석동이 배경. 이곳에서 50년 넘게 주꾸미 장사를 하는 곳이 '우순임 원조 할머니 쭈꾸미'다.


우 할머니의 고향은 황해도 연백. 50년 전 이곳에 터를 잡은 할머니는 원래 포장마차를 운영했다. 할머니는 "낙지보다 시세가 쌌던 주꾸미를 사다가 서울 무교동에서 먹은 낙지볶음 맛을 재현해 주꾸미 볶음을 안주로 팔았다"고 했다. 우 할머니 가게가 소문나면서 일대는 '만석동 주꾸미 거리'가 됐다.


노포라지만 가게는 리모델링해 깨끗하다. 주꾸미 볶음을 시키면 낙지만큼 큰 국내산 주꾸미가 양파와 함께 붉은 양념에 버무려져 나온다. 그 위에는 미나리가 소복이 올라가 있다. 주꾸미의 감칠맛이 달큰한 양파, 향긋한 미나리와 기분 좋게 어우러진다.


채소의 단맛에 홀려 방심하고 먹다 보면 뒷맛이 매워 물김치를 한 숟갈 먹어야 진화된다. 기본 찬으로 나온 오이무침, 김치, 콩나물, 우거지나물도 맛있다. 주꾸미 한 점에 소주 한 모금씩 먹다 보면 어느덧 술이 얼큰하게 오른다. 바닷바람도 불어오니 이보다 더 좋은 술안주는 없다.


②서울 나정순 할매 쭈꾸미

동네를 감싼 산의 모습이 '용의 머리' 같다고 해서 이름이 '용두동'인 마을엔 용 조각상 대신 주꾸미 동상이 있다. 2000년대 초반 '용두동 쭈꾸미 거리'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용두동 나정순 할매 쭈꾸미. /이경호 영상미디어 기자
 
원조는 50여 년이 넘은 '나정순 할매 쭈꾸미'. 전남 목포에서 옷 장사를 하다 1969년 상경한 나 할머니가 백반집 '호남식당'을 운영하다 주꾸미 볶음이 맛있다고 소문이 나자 전문집으로 바꿨다.


손님들은 본관과 별관 앞 간이 의자에 쪼르르 앉아 차례가 오기만을 기다린다. 순번이 돼 들어가면 따로 메뉴를 시킬 필요가 없다. 1인분에 350g 주꾸미 볶음이 다다. 기본 찬도 깻잎과 천사채, 락교와 당근이 전부다.


'매운맛은 고통이다'라는 과학적 사실을 알려줄 만큼 맵다. 단맛이 거의 없는 칼칼한 맛이다. 중화할 국물도 없다. 엽기떡볶이를 먹을 때처럼 쿨피스 한 병을 시켜야 한다.

시끌벅적한 가게에서 정신 쏙 빠지도록 매운 주꾸미를 소주에 곁들이면 '인생은 쓴맛'이란 말이 절로 떠오른다. 떠날 땐 '다신 오나 봐라' 했지만, 다음 날 '한 번 더 가볼까'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중독성이 있다. 나쁜 남자 친구 같은 매력을 지녔다.


③충무로 쭈꾸미 불고기

주꾸미 노포를 소개하며 이곳을 빼놓을 수 없다.

미슐랭 빕구르망(가격 대비 맛있는 곳)에 오른 '충무로 쭈꾸미 불고기'다.

전남 순천이 고향인 장영칠 사장이 한정식 식당을 운영했던 어머니에게 배워 1976년 이곳에 주꾸미 전문집을 냈다.

막걸리로 잡내를 제거하고 직접 담근 고추장으로 맛을 낸 후 숯불 향에 어우러진 주꾸미는 앞 가게들과 달리 고급스러운 맛이다.

앞의 집들보단 맵지 않아 외국인 손님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

장 사장은 "맵지 않으면서도 맛있는 중간 맛을 찾기가 어려웠다"고 했다.


 
충무로 쭈꾸미 불고기. /이경호 영상미디어 기자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한 주꾸미 특유의 맛을 즐기려면 불에 살짝 굽는 게 요령. 다만 숯불에 굽기 때문에 잠깐이라도 한눈을 팔면 타버린다.

석쇠 위에서 몸을 오그라뜨리며 탱탱하게 익어가는 걸 보면 술 생각이 절로 난다.

주꾸미를 생마늘과 함께 상추쌈으로 먹는다.

매운맛은 시원한 콩나물국으로 중화한다. 맏며느리가 만든 정갈한 맛이다.


 Copyright ⓒ Chosun.com


일상탈출 정보 더 보기 >>>

http://blog.daum.net/koreasan




'MTB등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버이날 딸이 한턱내는 저녁식사  (0) 2020.05.08
어린이날 손자들과 식사  (0) 2020.05.05
아라뱃길 라이딩  (0) 2020.05.03
영종도 신도 시도 모도 가는 길  (0) 2020.05.02
강화 나들길 8코스 라이딩  (0) 2020.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