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강화53돈대탐방

강화 월곶진 월곶돈대 연미돈대 연미정 연미조범

by 한국의산천 2019. 4. 20.

강화 월곶진 월곶돈대 연미정

 

강화도 53개 돈대 둘러보기 클릭 >>> 강화돈대 둘러보기

 

 

월곶돈대(江華月串墩臺)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242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면 원형이고 둘레가 148m이다.

‘연미돈’이라고도 부르며 현재 복원되어 있다.

이 돈대는 한강 진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도와 마주하고 있다.

남으로는 염하와 연결되고, 북으로는 조강을 통하여 서해로 진출할 수 있어서

서울(동), 인천(남), 연백(서북) 등지로 교통할 수 있는 요지였던 까닭에 50년 전까지만 하여도 매우 번성한 포구였다

 

116. 월곶동(月串洞) : 강화읍 월곶리로 예전에 월곶진(月串鎭)이 있었다.

 

- 화남 고재형(華南 高在亨, 1846~1916)


鷰尾亭前鎭月移

연미정 앞에는 둥근 달이 기울어 가는데,


黃公舊屋別成規

황공의 옛집이 규모 있게 서있네.


一苞奇竹千松樹

기이한 대숲과 수천 그루 솔숲은,


認是當年種德基

그 당시 덕 베풀던 터인 줄을 알려주네.


○ 성종과 중종 때 창원 황씨 판서 지촌(芝村) 황형(黃衡)279)은 무로써 관직에 나아가 여러 번 전공을 세워서 관직이 공조판서에까지 올랐으며 일찍이 강화도로 물러나 거주하면서 월곶(月串)의 연미정(燕尾亭) 아래에다가 집을 짓고 종을 시켜 나무를 심었는데 수천 그루에 이르렀다. 어떤 이가 “무엇 때문에 이렇게 많이 심느냐?”라고 말을 하자 지촌은 “후에 저절로 알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임진년(1592) 난리 때에 첨병과 의병이 강도에 들어와 지켰는데 배와 목책들이 모두 마련되어서 모자람이 없게 되자 사람들은 비로소 그의 멀리 보는 식견에 탄복하였다.

 

○ 월곶에 진을 설치한 후에는 옛 집터를 진(鎭)의 관아로 삼았다.
지금 이미 수백 년이 지났는데도 새집처럼 견고하였다. 서로 전하기를

“바꾸려고 하면 재앙이 들었다. 섬돌 아래에는 대나무 숲이 있었는데 지촌이 직접 심은 것이다. 마도(馬島)에서 군대를 돌릴 때 옮긴 것이다.”라고 한다.

공은 휘가 형(衡)이며 시호가 장무(莊武)이다.


황형(1459∼1520)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언평(彦平).

 

 

 

 

 

 

 

 

 

 

 

 

 

 

 

 

 

 

 

연미정은 옛사람들이 강화 8경으로 경치가 뛰어난곳이다.

연미정에서 바라보는 달은 특히 더 아름다워서 동네 이름도 달 월(月)자가 들어간 월곶리이다.

또 한강이 두 갈래로 갈라져서 흘러가는 모양이 제비 꼬리와 닮았다고 하여 정자의 이름도 연미정(燕尾亭)이다.

 

117. 연미조범(鷰尾漕帆)

- 화남 고재형(華南 高在亨, 1846~1916)

 

燕尾亭高二水中     

연미정 높이 섰네 두 강물 사이에


三南漕路檻前通     

삼남지방 조운 길이 난간 앞에 통했었네


浮浮千帆今何在     

떠다니던 천 척의 배는 지금 어디 있나,


想是我朝淳古風     

생각건대 우리나라 순후한 풍속이었는데.


○ ʻ연미정 조운선의 돛대ʼ는 강화부 10경(景)의 하나이다.

삼남 지방의 조운선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모두 이 정자 앞을 경유하면 이것이 큰 볼거리였다.

지금도 정자가 여전히 있지만 조운선은 폐지되었다.

 

강화 해협은 서해를 거쳐 한양의 한강으로 진입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이었다.

삼남 지역과 관서와 해서 지방의 조운선들은 강화 연안을 따라 한양으로 올라갔다.

세곡은 한강이 얼어붙기 전에 서울로 운송하는 것이 원칙이었기 때문에 추수가 끝나고 부터 물이 얼기 전까지 강화 앞바다는 배들로 가득 찼다.

연미정 앞 바다는 천 여 척의 배들이 물때를 기다리며 정박하고 있었다고 하니 그 광경이 실로 대단하지 않을 수 없다.

그때의 정경을 '심도기행(沁都紀行)'에서는 이렇게 나타내고 있다.

 

연미조범이란 '연미정 조운선의 돛대'란 뜻으로, 삼남 지방에서 올라오던 조운선들이 돛을 활짝 펴고 연미정 앞을 경유하던 광경을 나타낸 것이다. 

 

 

▲  세곡을 부리고 한강을 내려오는 조운선. 19세기 후반에 찍은 사진

 

 

 

 

 

 

 

 

 

월곶돈대 연미정
강화8경중 제1경에 속하는 곳으로 삼포왜란을 승리로 이끈 장무공 황형장군에게 중종임금이 하사했다.

 

 

 

 

 

 

 

 

 

 

 

지족불욕(知足不辱) 만족할 줄 알면 욕됨이 없고,

지지불태(知止不殆)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으니 

가이장구(可以長久) 오래도록 편안할 것이다.  - 노자 도덕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