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친호흡 몰아쉬며 ^^ 굽이치는 산맥넘어 손의 자유, 발의 자유, 정신의 자유를 찾는다. 기억은 희미해지기에 이곳에 기록을 남긴다

김옥균3

[박종인의 땅의 歷史] "역적 김옥균 시신을 즉시 능지처사하라" [박종인의 땅의 歷史] "역적 김옥균 시신을 즉시 능지처사하라" 조선일보 박종인 선임기자 입력 2020.08.19 03:14 | 수정 2020.08.19 11:13 [225] 조선형벌잔혹사 ③/끝 최후의 능지처사 - 김옥균 영조의 경고와 김옥균 재위 35년째인 1759년 한가위 나흘 뒤, 온갖 잔혹 형벌을 총동원해 정적을 다 처리한 영조가 명을 내렸다. 일체의 잔혹 형벌과 고문을 금한다는 하명이다. 아주 근엄하다. 그 가운데 역률(逆律) 추시(追施) 금지령이 들어 있었다. '추시'는 법을 소급 적용하는 조치다. 은전(恩典)이든 형벌이든 죽은 사람에게 적용하는 법적 조치가 추시다. 충남 아산에 있는 김옥균 유허. 1894년 양력 4월 서울 양화진에서 부관참시와 능지처사 당한 뒤 김옥균 시신은 사방으로 흩어.. 2020. 8. 19.
공주 정안 김옥균 유허 공주 정안 김옥균 유허 (생가) 답사 조선 후기 혼돈의 시대가 낳은 풍운아 김/ 옥/ 균/ 그는 개혁의 선구자인가 시대의 반역자인가? 김옥균 1851(철종 2)-1894(고종 31). 조선 말기의 정치가, 개화운동가. 갑신정변을 주도한 한말의 정치가 고균(古筠) 김옥균(金玉均, 1851~94)을 두고 흔히 풍운아, 혁명가 또는 진보적 정치가, 개혁파의 지도자라고 부른다. 그의 삶과 행동을 두고 이렇게 다양하게 부르는 것은 그의 활동영역이 그만큼 폭넓었기 때문이다. 한국 근대사를 논의할 때 고균(古筠) 김옥균(金玉均)은 가장 먼저 떠올리거나 빠뜨릴 수 없는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다. 1884년 12월 김옥균이 주도·추진하였던 ‘갑신정변’은 우리나라의 근대사에서 조선사회가 처했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개.. 2020. 6. 15.
실패한 혁명가에게 목숨은 허용되지 않았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실패한 혁명가에게 목숨은 허용되지 않았다 조선일보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 입력 2019.05.08 03:00 | 수정 2019.05.08 13:23 [164] 세상을 바꾼 서기 1543년 ⑭ 갑신년 겨울의 녹슨 총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뒤뜰에는 커다란 비석이 있다. 이름하여 '북묘묘정비'다. 1887년에 세운 비석이다. 문체는 웅장하고 글씨는 아름답다. 글쓴이는 조선 왕국 26대 왕 고종이고 글씨를 쓴 사람은 민영환이다. 그때 민영환은 이조참판 겸 친군 전영(親軍前營) 사령관이었다. 비석을 드문드문 읽어본다. '왕의 꿈에 관운장이 나타났다'… '임오년 병란에 관운장이 목숨을 구해주었다'… '관운장을 위해 사당을 짓고 북묘라 이름했다'… '갑신년에 역적들이 난을 일으켰다'… '.. 2019. 5. 10.